[전체] “물명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128)
- 물명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물명유고(物名類考)에 관한 고찰(考察)」(양연희, 『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14, 1976) 「物名考解說」(高橋亨, 『朝鮮學報』16, 1960) 물명고 1820년대 유희가 쓴 어휘사전. 5권 1책 필...이칭별칭물명유고(物名類考)
- 물명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물명에 관한 어휘사전. [내용] 1책. 필사본. 유희(柳僖)의 『물명고(物名攷)』와는 다른 종류의 것으로 필사본의 『물명고』 중 가장 많이 전하고 있는 책이다. 『물명괄(物名括)』 또는 『물명류(物名類)』라고도 한...이칭별칭물명괄(物名括)|물명류(物名類)
- 물명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20년대 유희(柳僖, 1773-1837)가 여러 가지의 물명(物名)을 모아 한글 또는 한문으로 풀이하여 만든 일종의 어휘사전.정의1820년대 유희(柳僖, 1773-1837)가 여러 가지의 물명(物名)을 모아 한글 또는 한문으로 풀이하여 만든 일종의 어휘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ulmyeonggo | MR표기Mulmyŏng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𦐎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𦐎 𦐎 염 物有情類-羽蟲 조류. 새. 날개. 𦐎[音覽 翮下弱羽](物名考 乾:1a) 방편자찬물명고 건_1a 『物名考』乾:1a:5행 物名考 원흔현대음염 | 키워드조류. 새. 날개.
- 𦒎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𦒎 𦒎 혜 物有情類-羽蟲 조류. 새. 날개. 𦒎[六翮之末](物名考 乾:1a) 방편자찬물명고 건_1a 『物名考』乾:1a:5행 物名考 원흔 김...현대음혜 | 키워드조류. 새. 날개.
고서·고문서(8)
- 跋竹欄物名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420 跋竹欄物名攷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대표표제어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許份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擧萬壽觀知蔡州改揚州兼淮東兵鈐奏事除徽猷直學士靖康初除龍圖直學士再任揚州以疾請祠提擧明道宮告老紹興三年十月薨年五十四 知鄧州政尙寛厚務爲勸戒而人盡其情庭無留訟蓋一本于誠信故人愛服之鄰路饑流死載道鄧州賴公獨安詔公賑濟公置場列室具器用異旗物鳴鼔給食率三日一詣問飢飽而勞苦其病羸凡十月全活饑民二萬六千九百有...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대백과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찬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광해군 때 이수광(李睟光)이 편찬한 〈지봉유설(芝峰類說)〉 , 순조 때의 유희(柳僖)가 지은 〈물명고(物名攷)〉, 정조 때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과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들...대표표제어〈대백과사전〉 해제 | 편저자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 권수9책
-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편찬한 〈지봉유설(芝峰類說)〉 , 순조 때의 유희(柳僖)가 지은 〈물명고(物名攷)〉, 정조 때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과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들을 흔히 한국 고전 가운데 발견되는 백과사전의 오랜 원형으로 본다....대표표제어〈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해제 | 편저자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 권수30권
주제어사전(8)
-
물명고 / 物名攷 [언어/언어/문자]
1820년대 유희(柳僖)가 여러 가지의 물명(物名)을 모아 한글 또는 한문으로 풀이하여 만든 일종의 어휘사전. 5권 1책. 필사본. 원래 유희의 저술을 모은, 100여권이나 되는 유고(遺稿)인 『문통(文通)』 속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물명유고(物名類考)』라고도
-
물명고 / 物名攷 [언어/언어/문자]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물명에 관한 어휘사전.1책. 필사본. 유희(柳僖)의 『물명고(物名攷)』와는 다른 종류의 것으로 필사본의 『물명고』 중 가장 많이 전하고 있는 책이다. 『물명괄(物名括)』 또는 『물명류(物名類)』라고도 한다. 이본에 따라 대개 1,000∼1,6
-
물명찬 / 物名纂 [언어/언어/문자]
1890년(고종 27)에 지은 물명에 관한 유서(類書). 1책. 필사본. 유모(柳某)가 지었다고 전한다. 『온각서록(蘊各書錄)』이라는 책의 앞 18장이 ‘물명찬’으로 되어 있다.『물명고(物名考)』나 『물보(物譜)』와 유사한 것으로서 한자로 된 표제어 밑에 한글 또는
-
둥굴레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OHWI [과학/식물]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는 두응구라(豆應仇羅)로 기록되어 있고, 『산림경제』에는 둥굴례, 『물명고(物名考)』에는 둥굴레로 표기되어 있다. 높이는 30∼60㎝ 정도로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자란다. 줄기는 6개의 모가 지며, 잎은 어
-
두릅나무 / Aralia elata SEEM. [과학/식물]
00㎝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8월에 흰색의 작은 꽃이 피며, 10월에는 작은 공 모양의 검은 열매가 익는다. 나무의 껍질에는 가시가 있으며 약한 방향을 내는데, 이 방향은 한약에서 쓰이는 독활(獨活)과 비슷하다. 『물명고(物名考)』에서는 “총목은 꼭지에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