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하평장사” 에 대한 검색결과 2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9)

사전(9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갖추고 있었으므로 평장사 역시 양성(兩省)으로 구분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서문하성이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장관으로 하는 단일 관부였으므로 평장사의 여러 관직은 병렬관계가 아닌 상하관계에 있었고, 그 가운데 는 중서시랑평장사의 아래, 중서평장사...
    이칭별칭평장사
  • 문하찬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에 설치된 문하부(門下府)의 정2품 관직. [내용] 고려 전기의 () 및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의 후신이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요구에 따른 관제개혁에서 평장사가 찬성사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
  • 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추원사 겸 삼사사(同知中樞院事兼三司使)를 역임하였다. 1068년(문종 2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이어 호부상서ㆍ중추사 권서경유수사(中樞使權西京留守使)ㆍ이부상서가 되었다. 51세에 중서시랑 동중서 판상서병부사 서북면병마사 겸서경...
    이칭별칭 정헌(貞憲)
  • 김기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고, 1256년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에 올랐다. 1259년 를 겸임, 1260년 판이부사(判吏部事)가 되었으며, 1262년 문하시랑동중서(門下侍郎同中書)가 되었다. 1268년에는 문...
  • 중서평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중서시랑평장시‧와 더불어 평장사의 관직을 구성하였다. 고려의 중서문하성이 당제(唐制)에 따라 중서령(中書令)‧중서시랑평장사‧중서사...

고서·고문서(111)

  • 0623 중국 정사 요사 열전 024 기타 遼史88 列傳18 蕭敵烈 (耶律世良伐高麗 還 加同政事 『요사』 본기에 의하면 요 聖宗 開泰 4년 4월 甲寅(5일)에 관련 기사가 있으므로 이에 근거하여 수정편년한다.
    국가중국 | 서명요사 | 왕대기타  
  • 14609 B0146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金台鉉 墓誌銘 文正公台鉉墓誌銘並序 公諱台鉉字不器金氏本光山望族自國初入仕代不絶人大王父神虎衛中郞將諱光世贈尙書左僕射王父金吾衛大將軍諱鏡亮贈父監察御史諱須累贈門下侍中⁄侍中嘗於乙卯歲登科質貌偉麗膽畧過人從▣中外...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琳謀沮,乃嬰城自守,數月而破.以功加同政事,錫賚甚厚.明年,擢忠順軍節度使...................重熙十七年,遷副部署,從點檢耶律義先討蒲奴里,獲其酋陶得里以歸.致仕,卒.上思其功,遺使祭于家.
    출처전거『遼史』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14957 B014957 강화군 江華郡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金仲龜 墓誌銘 金紫光祿大夫守大師門下侍郞同中書上將軍判吏部事致仕贈謚靖平公金仲龜墓誌 章乞退上不允則公之乞愈切至庚子年冬以守大師門下侍郞同中書判吏部事仍令致仕⁄公喜得讌閑冬之煖室夏之凉軒擁琴書品茶藥...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殿中少監寶文閣待制連按忠淸全羅有聲績官累國子大司成知御史臺事轉尙書右僕射翰林學士承旨進樞密副使拜中書平章事加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判吏部事⁄蒙古兵大至令三品以上各陳降守之策衆論紛紜滋與樞密使金寶鼎曰 江都地廣人稀難以固守出降便 一日滋邀金俊諸子宴其第時人譏之上章乞退自號東山叟 元宗元年卒年七...
    출처전거高麗史 권10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당대의 長史는 그가 속하는 관청에 따라 관장직책과 품질에 차이가 있었다. 장사는 16衛, 東宮官, 王府官, 外官, 大都督府·大都護府의 上州에 두어졌다. 平章事 平章事 : 당의 「同中書」의 약칭으로 재상에 해당한다. 등에게도 각각 물품을 하사하였으니, 구체적...
    대표표제어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56년(공민왕 5)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로 되었으며, 이 후 1360년 평장정사로, 1362년 다시 첨의찬성사로, 1369년 문하찬성사로 각각 변천되어갔다.

  • 최유선 / 崔惟善 [종교·철학/유학]

    984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충의 아들이다.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1047년(문종 1) 어사잡단을 거쳐 1052년 형부상서를 역임했다. 판상서예부사를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 문하시중

  • 최상국집 / 崔相國集 [문학/한문학]

    .”고 기록되어 있다. 그가 종2품 이상의 관원, 즉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同中書)를 지냈기 때문에 문집명에 ‘상국’이라 붙인 것이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그의 시문은 『동문선』에 부(賦) 2수, 한시 12수, 산

  • 문하시랑평장사 / 門下侍郎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문하시랑 또는 로 약칭되기도 한다. 성종 때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정2품으로 정하여졌다. 같은 시랑평장사이지만 중서시랑평장사보다 상위직이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강요에 따라 관제가 격하 개편

  • 최자 / 崔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하시랑, 동중서,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명유(名儒)인 문헌공 최충(崔冲)의 6대손이다. 우복야 최민(崔敏)의 아들이다. 1212년(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사록(尙州司錄)이 되었다. 치적이 우수하여 국자감 학유(國子監學諭)에 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