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하찬성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
사전(56)
- 문하찬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왕 5) 다시 평장사로 환원되었다. 그 뒤 1360년 평장정사(平章政事)로, 1362년 찬성사로 바뀐 뒤, 1369년 도첨의부(都僉議府)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되었다.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종1품, 정원 2인으로 정해졌으며...
- 문하평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中護)로 개칭되었다가 곧 첨의찬성사로 환원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문하평장사로 되었으며, 이 후 1360년 평장정사(平章政事)로, 1362년 다시 첨의찬성사로, 1369년 문하찬성사로 각각 변천되어갔다.이칭별칭평장사
- 父子不避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290 父子不避 관직 賜姓王, 門下贊成事, 門下右侍中, 政府 辛禑, 潘福海, 益淳 列傳 D_13_04_04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煙戶政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89 煙戶政 관직 門下贊成事, 宰樞, 市井, 工匠, 除拜 辛禑, 池奫 麗史 D_17_02_22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柳淵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965 柳淵 인물 三司使, 公廉, 將帥, 門下贊成事 晉州 之淀, 辛禑, 貞靖 D_05_01_36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3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0)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185 洪武二十年九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129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101 우왕(禑王) 13 1387 9 13 明太祖實錄185 洪武二十年九月 高麗國王王禑遣其門下贊成事張士溫 上表謝賜冠帶 貢馬一十六匹 賜士溫鈔錠 외교일반, 명, 외국정세, 洪武二十年은 1387...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우왕(禑王) 13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198 洪武二十二年十二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141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113 공양왕(恭讓王) 1 1389 12 30 明太祖實錄198 洪武二十二年十二月 高麗遣門下贊成事安宗源 上表 貢金銀器并方物 賜宗源及通事郭海龍等文綺鈔 有差 외교일반, 명, 외국정세, 洪武二十二...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양왕(恭讓王) 1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199 洪武二十三年正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145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117 공양왕(恭讓王) 2 1390 1 29 明太祖實錄199 洪武二十三年正月 高麗遣門下贊成事裴克廉等 上表 賀正旦 貢方物 賜克廉等文綺鈔 有差 외교일반, 명, 외국정세, 洪武二十三年은 1390...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양왕(恭讓王) 2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212 洪武二十四年九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157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129 공양왕(恭讓王) 3 1391 9 1 明太祖實錄212 洪武二十四年九月 洪武二十四年九月乙酉朔 高麗權國事王瑤遣門下贊成事趙俊等 琉球國山南王叔汪英紫氏遣使耶師姑及壽禮給智等 各奉表貢馬及方物 賀天壽聖節 ...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양왕(恭讓王) 3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214 洪武二十四年十二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160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132 공양왕(恭讓王) 3 1391 12 21 明太祖實錄214 洪武二十四年十二月 癸酉 高麗權國事王瑤遣其長子定城君奭門下贊成事偰長壽等 上表 貢馬及方物 賀明年正旦 詔賜奭等金織文綺衣服 외교일반, 명,...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양왕(恭讓王) 3
주제어사전(3)
-
문하찬성사 / 門下贊成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에 설치된 문하부의 정2품 관직. 1275년(충렬왕 1) 관제개혁에서 평장사가 찬성사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평장사로 환원되었다. 그 뒤 1360년 평장정사로, 1362년 찬성사로, 1369년 도첨의부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
최양 / 崔瀁 [종교·철학/유학]
였으며, 그 뒤 대사간 문하찬성사에 이르렀다. 저서로는『만륙일고』가 있다.
-
문하평장사 / 門下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56년(공민왕 5)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문하평장사로 되었으며, 이 후 1360년 평장정사로, 1362년 다시 첨의찬성사로, 1369년 문하찬성사로 각각 변천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