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하주서”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문하부로 개정될 때마다 내사주서‧중서주서‧도첨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 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6년(공민왕 5) 종7품 ()로 다시 내리고, 1362년에는 첨의주서로 고쳤으며 1369년 다시 로 고쳤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중서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4)에 충선왕에 의하여 도첨의주서(都僉議注書)로 바뀌었으며, 품계도 정7품으로 승격되었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에 문종관제가 대대적으로 복구될 때에도 ()로 되었으며, 1362년에 첨의주서로 되었다가, 1369년에는 다시 로 개칭되었으나...
  • TD_E1_D_0267 不事二姓 왕실 奉常博士, 辛氏之朝, , 女無二夫, 臣無二主, 節義 吉再 寶鑑 D_17_02_29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2_D_0172 抗節 윤리 , 棄官, 㱕家, 堅臥不起, 太常博士, 辭職, 上書, 臣無二主, 田里, 老母, 不事二姓, 古人 麗季 東宮, 京師 吉再, 我太宗, 權近, 嚴光不屈, 光武 行狀 D_19_05_08 대동운부군옥 ...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吉再抗節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洪武己巳冬注書吉再棄官歸家歲在庚辰恭定大王在東宮召之再至啓于恭靖大王授奉常博士再啓東宮辭職恭定大王曰子之所言實關綱常但召之者吾而官之者殿下也宜辭於殿下再乃上書曰再擢苐辛朝爲臣無二主乞放歸田里終養老母以遂臣不事二姓...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九十六口一千三百八十九軍丁侍衛軍一百六十五鎭軍二十四守城軍四十一船軍二百八十五本府土姓七金郭文林沈秦白來姓二崔趙賜姓一柳海平姓五金尹吉全孫來姓一葉緋山續姓二金朴道開續姓一金加德續姓一秦高雅續姓二郭朴人物吉再【高麗末人】厥土肥風氣暖俗尙華麗墾田九千一百七十結【水田三分之二少】土宜稻粟麥桑麻土貢...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라 是故로 斷以大義하야 使天下曉然皆知爲臣不忠者는 無所自容이요 而懷私結恩者는 雖至於活已나 猶以義不與也니 與는 許也라 戮一人而千萬人懼하니 其慮事 豈不深且遠哉아 子孫享有天祿四百餘年이 宜矣로다 書曰 四海困窮하면 天祿永終이라하다 吉再 仕高麗辛氏朝에 爲라가 吉은 姓也요 朝...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월 成均館學諭 ◦1372년(공민왕 21) 10월 進德博士 ◦1373년(공민왕 22) 정월 24일 諄諭博士 ◦同年 12월 28일 成均博士 ◦1374년(공민왕 23) 6월 25일 ◦1375년(우왕 1) 4월 25일 宣德郞通禮祇侯 ◦1376년(우왕 2) 정월 21일...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문하부로 개정될 때마다 내사주서·중서주서·도첨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직임은 문하부의 문서 또는 기록을 관장

  • 유창 / 劉敞 [종교·철학/유학]

    ?∼1421(세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개국공신. 아버지는 천봉이다. 1371년(공민왕 20) 문과에 급제, 성균학유가 되고, 박사와 를 역임하였다. 1375년(우왕 1) 통례문지후가 되고, 전공좌랑·예의정랑·군부정랑을 거쳐, 1389년(공양왕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