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하시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3)
사전(250)
- 문하시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얼마 뒤 정승으로 고치면서 정원을 좌‧우 각 1인으로 늘렸다. 1354년(공민왕 3) 도첨의시중으로 바뀌었다가 곧 도첨의정승으로 되었다. 1356년 반원운동(反元運動)의 일환으로 문종 때의 관제가 복구되면서 중서문하성이 부활되고 다시 문하시중이라...이칭별칭시중|첨의중찬|도첨의시중|중찬|도첨의정승|첨의정승|첨의시중
- 문하시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종1품 중서문하성의 수상직.정의고려시대 종1품 중서문하성의 수상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unha sijung | MR표기munha sij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문하시중(門下侍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문하시중 문하시중 門下侍中 문하부(門下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대재(大宰), 상재(上宰), 수상(首相), 총재(冢宰)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상위어문하부(門下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 동의어대재(大宰), 상재(上宰), 수상(首相), 총재(冢宰) | 관련어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첨의중찬(僉議中贊), 판상서사사(判尙瑞司事), 판이부사(判吏部事)
- 수문하시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1품 재신(宰臣)관직. [내용] 고려시대에도 조선시대에 빈번히 사용된 행수직(行守職)이 대체로 적용된 듯하다. 그러나 이 수문하시중은 그러한 행수직의 수직으로 수여된 것이 아니다. 1356년(공...
- 중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첨의부(僉議府) 및 그 후신인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의 종1품 관직. [내용] 고려 후기의 수상(首相)에 해당한다.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문하시중이 1275년(충렬왕 1)에 고려의 관제가 격하, 개편되면서 개칭되었다.
고서·고문서(51)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902 B014902 강음현 江陰縣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李資元 女 李氏 墓誌銘 慶源郡李氏女門下侍中昌和公子淵之曾孫女也祖景德公諱顥父諱資元官至司宰卿知御史臺事外祖姓金氏諱景庸門下侍中襄懿公閱其家世海東甲族也 閨門敦睦夫婦婉順其淑範懿行譪然稱于鄕黨生男二生女三皆率訓義⁄嗚...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현(江華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7 B017307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門下侍郞平章事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현(江華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8 B017308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門下侍郞平章事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243 B038243 다구 茶丘 인물 『高麗史』 27卷, 世家27 元宗3 元宗[甲戌]十五年 二月 甲子 遣別將李仁如元上書中書省曰 今年正月初二日陪臣門下侍中金方慶齎到省旨云 大船三百隻令就全羅耽羅兩處打造 又正月初六日到洪茶丘箚子 其所須工匠人巭及材木等物件分委陪臣許珙洪祿遒往各道...출처전거『高麗史』 27卷, 世家27 元宗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609 B0146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金台鉉 墓誌銘 文正公台鉉墓誌銘並序 公諱台鉉字不器金氏本光山望族自國初入仕代不絶人大王父神虎衛中郞將諱光世贈尙書左僕射王父金吾衛大將軍諱鏡亮贈門下平章事父監察御史諱須累贈門下侍中⁄侍中嘗於乙卯歲登科質貌偉麗膽畧過人從▣中外...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8 跋: 貞祐三年乙亥(1215)五月日無衣子慧諶跋 刊記: 萬曆三十二年甲辰(1604)秋能仁菴開刊移鎭雙溪寺 誌: 守大師門下侍中上柱國上將軍判吏部御使臺事崔沆誌 H4, p.732. 국립중앙도서관 한貴古朝-21-371 국립중앙도서관 전체제공(흑백) 고서...대표표제어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 | 대표서명看話決疑論 | 한글서명간화결의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6.5x16.1 跋: 守太沙門下侍中上桂國上將軍判吏部御使臺事崔沆(?~1257) 誌 刊記: 萬曆三十二年甲辰(1604)秋能仁庵開刊移御雙溪寺 H4, p.724. 경북 청도군 적천사 無 識記 : 萬曆三十八年庚戌三月日琵瑟山湧泉寺 合綴: 看話決疑論 韓國典籍...대표표제어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3 | 대표서명圓頓成佛論 | 한글서명원돈성불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8)
-
문하시중 / 門下侍中 [정치·법제/법제·행정]
다시 문하시중이라 하였다.
-
내사령 / 內史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의 장관. 내사령은 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과 품질이 같지만 격이 높으므로, 마땅히 내사성과 문하성을 합친 내사문하성의 장관이 되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내사령이 상설 관직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인원에 구애됨이
-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
최유선 / 崔惟善 [종교·철학/유학]
984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충의 아들이다.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1047년(문종 1) 어사잡단을 거쳐 1052년 형부상서를 역임했다. 판상서예부사를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
-
최충 / 崔沖 [종교·철학/유학]
984-1068. 고려시대의 유학자. 1005년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문종 초에 문하시중으로 있으면서 고려형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055년 9재학당이라는 최초의 사학을 창립하여 구경과 삼사를 가르쳤다. 고려 유학을 흥성시켰으며 해동공자라고 불리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