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하시랑평장사” 에 대한 검색결과 1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1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2품 관직. [내용] 문하시랑 또는 문하평장사로 약칭되기도 한다. 성종 때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정2품으로 정하여졌다. 같은 시랑평장사이지만 중서시랑평장사보다 상위직이다. ...
    이칭별칭문하시랑|문하평장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내사문하성과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정의고려시대 내사문하성과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unha sirang pyeongjangsa | MR표기munha sirang p’yŏngja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유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주국 대위 (銀靑光祿大夫上柱國大尉)가 되었다. 덕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양의(襄懿)이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이칭별칭 양의(襄懿)
  • 임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 1101년 판상서형부사(判尙書刑部事), 이듬해 판서북면병마사 겸 중군병마사가 되고, 1103년 ()에 올랐다. 이 때 동여진의 추장 오아속(烏雅束)이 별부(別部)의 부내로(夫乃老)와 사이가 좋지 않아 공형(公...
    이칭별칭 정평(貞平)
  • TD_L14_D_4043 奇洪壽 인물 工文, 武班, 善書, 三重大匡, 琴書, 自娛 幸州 太古, 煕宗, 景懿 D_17_04_56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5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5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7)

  • 28599 B028599 교동현 喬桐縣 정치행정 『高麗史』 39卷, 世家39 恭愍王2 恭愍王[庚子]九年 閏(五)月 癸酉 李承慶卒⁄倭焚喬桐縣
    출처전거『高麗史』 39卷, 世家39 恭愍王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307 B017307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
    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308 B017308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
    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威烈公 金就礪【高麗 高宗時人】子翊戴公 佺孫都僉議參理文愼公 賆【忠烈王時人】曾孫都僉議左政丞貞烈公 倫【忠肅王時人】厥土肥風氣暖墾田一千五百十八結【水旱田相半】土宜稻稷麥菽土貢蜂蜜黃蠟漆紙芝草乾竹笋石茸人蔘銀口魚獐皮鹿皮狸皮水獺皮藥材白茯苓人蔘土産沙鐵産縣西石南洞磁...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5393 중국 정서 고려도경 國相服 060 인종(仁宗) 1 1123 國相之服 紫文羅袍 毬文金帶 仍佩金魚 侍中 太尉 司徒 中書 參知政事 左右僕射 政堂文學 判尙書吏部事 樞密使副同知院奏事等官 通許服之 의생활, 이 글...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문하시랑 또는 문하평장사로 약칭되기도 한다. 성종 때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정2품으로 정하여졌다. 같은 시랑평장사이지만 중서시랑평장사보다 상위직이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강요에 따라 관제가 격하 개편될

  • 상국 / 相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2품 이상의 관원을 가리키던 재상의 또다른 칭호. 중서문하성의 시중 이하 다섯 개의 관직에 8인과 중추원의 판사 이하 일곱 개의 관직에 9인이 이에 해당한다. 널리 알려진 이규보의 문집 ≪동국이상국집≫에 ·중서시랑평장사·지추밀원사·추밀원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