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하부” 에 대한 검색결과 3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3)

사전(24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러 번 바뀌었으며, 1369년(공민왕 18) 가 되었다. 이 때 관원으로는 영문하(領門下), 문하좌‧우시중(門下左右侍中),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참지사(參知事), 지사(知事), 좌‧우산기상시(左右散騎常侍), 좌‧우간의대부(左右諫議大...
  • TD_E2_D_0497 掾 관직 主事, 令史, 書藝, 書手 百官志 D_16_01_60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6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이속직(吏屬職). [내용] ()에만 소속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의 정원은 3인이었다.『고려사』여복지(輿服志) 범법가위장조(凡法駕衛仗條)의 의종 때 상정(詳定)된 내용을 보면, 임금이 거둥할 때 주보 1인이 자의(紫衣)...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간의대부(諫議大夫), 경력(經歷), 도첨의부(都僉議府) 문하녹사(門下錄事), 문하사인(門下舍人), 문하주서(門下注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문하평리(門下評理), 사간(司諫), 사의대부(司議大夫)...
    상위어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 하위어간의대부(諫議大夫), 경력(經歷), 도첨의부(都僉議府) 문하녹사(門下錄事), 문하사인(門下舍人), 문하주서(門下注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문하평리(門下評理), 사간(司諫), 사의대부(司議大夫), 산기상시(散騎常侍), 상시(常侍), 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 성랑(省郞), 수시중(守侍中), 시중(侍中), 영문하부사(領門下府事), 의정부(議政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지문하부사상의(知門下府事商議), 직문하(直門下),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 관련어의정부(議政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 조선 초 에 설치한 관직. [내용] 고려시대에는 종2품, 조선시대에는 정2품직이었다. 정원은 각 1인이다. 이는 1061년(문종 15) 중서문하성에 설치한 지문하성사를 1275년(충렬왕 1)에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로, 1...

고서·고문서(57)

  • 歐蘇手簡 第四卷 與伯修學士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1 與伯修學士 某閑居闊人寫奉狀不如禮想以情恕藥方二本已領感朖之至本州監監鄭推官信健吏也廉絜可保孤介無援家公知照不知可出惶恐惶恐
    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14804 B014804 강음현 江陰縣 정치행정 定宗實錄 元年(1399) 冬十月 정종실록_10110001_002 ○率宗親畋于江陰縣之原中浦, 路上射獐獲之。 是日, 上疏, 請勿遊畋, 上使承旨李叔蕃傳旨曰: “卿等以天變屢彰, 宜戒逸遊。 是則然矣, 但予久不運身, 致生疾病...
    출처전거定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36_384_307 1536년11월 ○서울에 머물렀다 1536년 11월 11일 계해, 맑음. ○서울에 머물렀다. 약을 먹고 병을 조리했다. ○주서(注書)()‧승정원(承政院)에 두었던 정7품 관직 민구(閔球)가 필공(筆工) 복근(卜斤)을 보...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40388 B040388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55 地理志 / 함길도(咸吉道) 세종실록_40011002 ... 伊川。】人物, 贈判事永興伯孝公 崔閑奇。【寔生懿惠王后, 配桓祖, 誕我太祖。 墓在府東南道存山。】墾田一萬五百二十九結。【水田只五百七十...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8945 B068945 동래 東萊 정치행정 太祖實錄 三年(1394) 春正月 태조실록_10301016_003 ○囚參贊事朴葳于巡軍獄。 初東萊縣令金可行、鹽場官朴仲質等, 以國家安危、王氏命運, 卜於密城盲人李興茂。 事覺, 執興茂來囚巡軍獄, 令省憲、刑曹, 同巡軍萬戶府, 案...
    출처전거太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4)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최고정부기관인 중앙 관청. 중서문하성의 후신이다. 1275년(충렬왕 1)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합쳐져 첨의부로 일원화되었다가, 그 뒤 도첨의사사·도첨의부·중서문하성·도첨의부로 이름이 여러 번 바뀌었으며, 1369년(공민왕 18) 가 되었다. 조선시대

  • 정당문학 / 政堂文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의 관직. 조선 건국 후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고칠 때 ()에 1인을 두었으나, 1401년(태종 1) 7월 를 의정부(議政府)로 개칭할 때 의정부문학으로 개칭되었다.

  • 문하주서 / 門下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의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로 개정될 때마다 내사주서·중서주서·도첨의주서·문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직임은 의 문서 또는 기록을 관장

  • 사간원 / 司諫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간쟁·논박을 관장하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의 신반관제에서는 고려 말의 낭사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러나 1401년(태종 1)에 를 혁파하고 의정부를 설치할 때 낭사는 독립되어 사간원이 되었다. 그 후 1401년에 독립된

  • 우보궐 / 右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에 소속된 종5품 관직.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정비할 때 에 소속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우헌납으로 바뀌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폐지되었다가 1463년에 다시 헌납이라 칭하여 이후 법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