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천군” 에 대한 검색결과 5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6)

사전(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함경남도 남부에 있는 군. 동쪽은 영흥만(永興灣)을 사이에 두고 동해에 임하고, 서쪽은 평안남도 양덕군, 서남쪽은 황해도 곡산군, 남쪽은 원산시와 강원도 이천군, 북쪽은 고원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50′∼127°28′,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주(文州) 안변진관(安邊鎭管)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현대 김우철 1413년(태종 13) [정의]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함경도 문...
    동의어문주(文州) | 관련어안변진관(安邊鎭管)
  • 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9년에 편찬된 함경남도 읍지. [내용]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년미상의 『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제1책이 방리(坊里)ㆍ도로(道路)ㆍ건치연혁(建置沿革)...
  • 법동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쪽은 세포군(洗浦郡)‧판교군(板橋郡), 북쪽은 천내군(川內郡)‧()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6°59′∼127°19′, 북위 38°48′∼39°12′에 위치하며, 면적 849.1㎢, 인구 3만72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 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부(元山府)가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원산부ㆍ덕원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42년덕원군은 원산부와 에 병합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이칭별칭천정군(泉井郡)|어을매(於乙買)|정천군(井泉郡)|용주(湧州)|의주(宜州)|의천(宜川)

고서·고문서(202)

구술자료(3)

  • 정덕훈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정덕훈 정덕훈 역사 인물 현대 함남 구술자료 - 출생과 유년시절 함경남도 문천에서의
    구술자정덕훈 | 직업교사 | 지역함경도
  • 박태극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박태극 박태극 역사 인물 현대 한남 구술자료 - 구술자의 가족은 천주교도이고 부자라는
    구술자박태극 | 직업도민회장 | 지역함경도
  • 어르신 고향은 어디세요?] 고 향? 고향은 이북이야. [조사자1: 이북 어디요?] 원산. [조사자1: 원산이요?] [제보자 딸: , 좀 더 세밀하게 .] [조사자1: 그러면 여기 오신 건 전쟁 때문에 피난을 오신 거예요?] 어, 우리 는 해방, 우리 가족은
    조사지역경기 양평 | 조사일2012년 3월 23일

신문·잡지(136)

  • 演說各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슈 뎡유셥씨가 부로 보고기를 음력구월이십삼일오후에 양복쟈몃명아 도야 단발쟈 여명을 령솔하고 읍에 희동하야 보국민지을 연셜후에 각귀기가 하엿다더라
    게재일1904년 1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1947년 9월 21일 303 이천군, 철원군, , 복성면, 가평리 박명권 이천군 철원군 농민들의 뒤를 따라 에서도 현물세 납부이 봉화는 올랐다. 복성면 가평리 농민 박명권 (46) 동무는 19일 오후 4시에 벼 현물세 자기...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921_03 | 날짜1947년 9월 21일
  • 52년 2월 3일 30 송별립 인민군 창건 4주년 기념 준비 각지에서 활발히 진행 , 중국 인민군, 중국인민지원군, 조쏘문화협회 내 각 공장 제조소□ 비롯하여 각 농촌들에서는 인민군 창건 4주년을 더 높은 로력적 위...
    대표표제어강북일보_1952_0203_01 | 날짜1952년 2월 3일 | 책임주필송별립
  • 체육구락부 공동주최로 장전운동장에서 도내 각 시군 12팀을 망라한 축구경기대회 (蹴球) 가 개최되었다. 이에 있어 준결승전의 “스코아”는 문천대 강원도 전기처와의 “깨임”의 결과 5대 영으로 숭□승) 원산시 내무서 소방보안대 고성팀과의 스코아에 있어 6대영으로...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925_03 | 날짜1947년 9월 25일
  • 1947년 9월 23일 304 양양군, 통천군, 민청 당면한 만기작물 현물세 납부운동은 다만 농민들□ 아니고 각 기관 일꾼들을 위시하여 전체 인민들이 광범히 협조하여 전개되고 있는바 안변군 민청에서는 지난 12일 만기 작물 현물세 완납...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923_03 | 날짜1947년 9월 23일

기타자료(49)

  • 전계은;全啓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518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3면 전계은;全啓殷 함경남도 군내 사교월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병진;趙昞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564 남한 경성 경복공립중학교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57면 조병진;趙昞震 함남 도초면 신평리 194 제7회 193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쌍성영이;雙城榮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192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52면 쌍성영이;雙城榮二 함남 도초면 신평리 194 제19회 194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창환;金昌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34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44면 김창환;金昌煥 함남 도초면 능전리(함남도 내무부 토목과) 제25회 193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경;李文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36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20면 이문경;李文烱 함남 松田灣감화원 관사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9)

  • /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남부에 있는 군. 동쪽은 영흥만(永興灣)을 사이에 두고 동해에 임하고, 서쪽은 평안남도 양덕군, 서남쪽은 황해도 곡산군, 남쪽은 원산시와 강원도 이천군, 북쪽은 고원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50′∼127°28′, 북위 38°50′∼39°56′에 위치하며

  • 읍지 / 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89년에 편찬한 지방지.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년미상의 『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제1책이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

  • 덕원향교 / 德源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현재의 강원도 원산시) 덕원면에 있는 향교.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초기에 창건되어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창건 당시 옛 덕원부의 서쪽에 있다가 뒤에 동쪽으로 이건하였으며, 1942년 덕원부가

  • 동백년산 / 東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46m. 마식령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산은 전체적으로 험악하고 가파른데, 특히 북동사면은

  • 마식령 / 馬息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咸鏡南道) () 풍산면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마식령의 동남쪽에 있는 철령이 서울을 비롯한 영서지방과 관북지방을 연락하는 교통의 요지라고 한다면, 마식령은 관북지방과 평안남도의 동부지역 및 황해도 등의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