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정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2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5)

사전(2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니를 달리하는(숙종의 어머니는 역시 이자연의 딸인 仁睿順德太后임.) 형제이며 동시에 이종간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예종과 의 혼인은 친계 사촌혼이며, 외가로는 육촌관계가 되는 근친혈족혼인 것이다. 이러한 근친혼의 습속은 4대 광종이 그 이복누이와 혼인한...
    이칭별칭 문정(文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成烈仁明)이고, 능호는 태릉(泰陵)으로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있다. 中宗實錄 仁宗實錄 明宗實錄 璿源系譜 燃藜室記述
  • 태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에 있는 조선 제11대왕 중종의 계비 ()의 능. [내용] 사적 제201호. 능호는 1565년(명종 20)에 정하여졌다. 는 중종의 원비 장경왕후(章敬...
  • 박한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환관. [내용] 중종‧인종‧명종 등 3대를 섬기면서 궁중의 일을 맡아보았다. 특히 전명내환(傳命內宦 : 궁중에서 왕명을 전달하는 환관)으로 1545년 을사사화 때, () 편에 가담하여...
    이칭별칭밀성군(密城君)
  • 수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명종 때의 승려. [내용] 자세한 생애는 미상이다. 1551년(명종 6)에 ()가 선교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을 때 교종판사도대사(敎宗判事都大師)로 임명되어 교종을 관장하였다.

고서·고문서(32)

  • ()祔太廟祭祝文【丁卯】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應製文 80 ()祔太廟祭祝文【丁卯】 41_112_055.jpg ()祔太廟祭祝文【丁卯】 六室 於昭睿祖, 在帝左右。 神后配極, 克昌厥後。 小子承統, 夙夜憂懼。 頃遭不造, 煢煢在疚。 諒陰旣畢, 祔儀是修。 仰冀歆格, 申命用休。 ...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王大妃祭()文【乙丑】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應製文 80 王大妃祭()文【乙丑】 41_112_060.jpg 王大妃祭()文【乙丑】 思齊淑德, 在天於昭。 長樂凄涼, 徽音寂寥。 疚在一人, 音遏四封。 臣鄰、顯相, 念玆戎功。 未亡何恃? 尙寐無聰。 欲報鴻恩,昊天罔極。 伊聲、伊色...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哀深迫大祥【()大祥 ○月課 ○丁卯】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哀深迫大祥【()大祥 ○月課 ○丁卯】 39_121_085.jpg 哀深迫大祥【()大祥 ○月課 ○丁卯】 風霜雨露迭相侵, 哀慕煢煢苦不任。 王鮪薦時驚節序, 隙駒忙處歎光陰。 愼終不忍祥期迫, 沒世逾知惠澤深。 長樂凄風愁麗...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擬議政府領議政某等賀()祔(宗廟)後大駕還宮箋【丁卯】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表箋 80 擬議政府領議政某等賀()祔(宗廟)後大駕還宮箋【丁卯】 41_112_103.jpg 擬議政府領議政某等賀()祔(宗廟)後大駕還宮箋【丁卯】 綏我思成, 振《淸廟》而將禮, 介爾景福, 迓天休而言旋。 慶關宗祊, 歡洽朝野。 恭惟主上...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565_354_098 1565년4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5년 4월 10일 병자. ○당(堂)에 머물렀다. ○관찰사가 개령(開寧)으로 갔다. ○○○○대행대왕대비(大行大王大妃)가()를 가리킴 승하했다고 한다. 저문 후에 이를 들었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1501(연산군 7)∼1565(명종 20).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계비.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윤지임, 명종의 어머니이다. 1517년(중종 12)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545년 명종이 12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8년간 수렴청정을 하는 동안 동생인 소윤 윤원형에게

  • 윤원형 / 尹元衡 [종교·철학/유학]

    ?∼1565(명종 20). 조선 중기의 문신. 계겸 증손, 할아버지는 욱, 아버지는 지임, 어머니는 이덕숭의 딸이다. 중종의 계비인 의 동생이다. 1533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벼슬길에 올랐다. 수찬, 응교, 좌부승지, 공조참판,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

  • 보우 / 普雨 [종교·철학/불교]

    1509-1595. 조선시대의 승려. 15세에 금강산 마하연암에서 출가하였다. 훗날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 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보우는 고동안 배불정책으로 탄압을 받아왔던 불교를 진흥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선종과 교종을 다시 부활시켰고 승

  • 중종 / 中宗 [역사/조선시대사]

    1488(성종 19)∼1544(중종 39). 조선 제11대 왕. 성종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씨이다. 비는 신수근의 딸이다. 제1계비는 영돈녕부사 윤여필의 딸 장경왕후, 제2계비는 영돈녕부사 윤지임의 딸 이다. 1494년 진성대군에 봉해졌다. 150

  • 채무택 / 蔡無擇 [종교·철학/유학]

    함께 1537년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