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장” 에 대한 검색결과 11,1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55)

사전(5,890)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敎命第一軸衣紅質靑花段內面沈香有紋段豆錫籤子長一寸三分, (책례1651/023ㄱ01~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 문중(門中)을 대표하는 사람. [내용] 은 대개 한 문중에 한 명이 있으나, 규모에 따라 대들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추대된다. 보편적인 것은 항렬이 높은 사람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이칭별칭도감(都監)|도청(都廳)|도도감(都都監)|도도청(都都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설] 조선시대 공형(公兄)‧아전(衙前) 등이 관부(官府)에 올리는 문서양식. 공형은 지방향리의 대표격인 호장(戶長)‧이방(吏房)‧수형리(首刑吏), 즉 삼공형(三公兄)을 지칭하는 것인데, 은 공형이 공사(公事)로 다른 지방의 수령(守令)이나 병사(兵使)‧...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언어표현과 문법학의 기본단위 중 하나. [내용] 문(文) 또는 월이라고도 한다. 이라는 용어에는 두가지 개념이 있다. 하나는 문자언어로 표현된 수사학적 단위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문법학적 단위라는 개념이다. 흔히, 수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集字), 권두화(卷頭畫)‧표지화(表紙畫)는 김용준(金溶俊)‧길진섭(吉鎭燮)이 맡았다. 1939년 2월에 창간하여 7월 임시 중간호를 발행하였고, 1940년 6월과 8월 용지난으로 휴간하고, 1941년 일제 당국의 ≪≫‧≪인문평론≫‧≪신세기≫ 의 병합과 함...

단행본(4)

  • 천하제일의 -신유한 평전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
    저자 : 하지영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10531
    ‘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 기이한 나의 집 -이용휴 평전-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
    저자 : 박동욱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20531
    ‘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 역주 광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동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박사급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소 7. 수보 8. 순산 《광릉지》하 권4 1. 수교 2. 금제 3. 공식 4. 5. 관규
  • 조선어 문체론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윤희남, 김송월...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3.20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법 제2절 문체론적수법 제6장 문체의 표현효과 제1절 일반적인 표현적효과 제2절 특징적인 표현적효과 제7장 조선어 기능문체 제1절 담화문

논문(1)

고서·고문서(3,71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여자 경상북도 구미시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보흥공사 신봉2대 5 5 , 시, 한번, 지...
    대표표제어문장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하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알수없음 2 2 , 고국, 그리워하는심정, 관계, 책임동지, 량해,...
    대표표제어문장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조 남자 충청남도 논산시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연변공업학교 중문교연실 ...
    대표표제어문장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윤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탕원현(汤原县) 알수없음 5 5 , 영어단어, 기억, 발음, 정확, 여부, 답답,
    대표표제어문장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라 여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화룡현(和龙县) 룡성공소사 1 1 , 수평, 제한...
    대표표제어문장 | 성씨

구술자료(49)

  • 천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위 삼는 얘기 끝에 신흥준씨가 들려준 것이다. ‘천자문장’에 관한 이야기는 대신면에서도 채록되었으나 구체적 내용은 많은 차이가 있다.*
    조사일시1979-08-13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 제보자신흥준
  • 천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당 이야기에 이어서 황석철씨가 들려준 이야기다. 이미 초면에 서먹한 분위기도 사라지고 술도 반감되여 구연이 한층 활기를 띄었다.*
    조사일시1979-08-12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 제보자황석철
  • 사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자 이야기가 시작되자 조사자가 천자문장 이야기를 해달라고 했다. 그러자"<page id="625"/>곽성용씨가 시작한 이야기다. *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 제보자곽성용
  • 언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들이 은행수노인정을 찾아가 방문 목적을 설명하고 준비해 간 설화와 민요를 들려준 후, 이런 얘기나 민요를 채집하러 다닌다고 하자, 제보자가 선뜻 나서서 노래는 못하지만 얘기는 할 수 있다면서, 요사이 젊은이들이 너무 웃어른을 못 알아보고 경거망동 하는 것 같...
    조사일시1979-03-25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미아6동 | 제보자김해식
  • 암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력이 나빠져서 앞이 거의 보이지 않아서 집안에서만 생활하시는 분이었지만, 기억력이 좋아서 조사자가 관련 지명을 이야기 하면 전설을 이 야기해 주셨다.
    조사일시2011. 1. 22 (금)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임촌마을 서성태씨 자택 | 제보자서성태

기초학문(183)

  • 비대칭적 접속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해윤, 게재일 : 2002
    00027 이해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비대칭적 접속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바꾸기 지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춘근, 게재일 : 2003
    14229 이춘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03 바꾸기 지도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6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에 대한 관점과 해석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기혁, 게재일 : 2002
    11001 김기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애산학회 2002 에 대한 관점과 해석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구성문법적 접근에 의한 의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주리, 게재일 : 2000
    11188 정주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0 구성문법적 접근에 의한 의미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학교문법의 겹 체계 기술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재희, 게재일 : 2011
    40450 최재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글학회/한글학회 2011 학교문법의 겹 체계 기술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38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쥬 리용의씨 회계무본지가 오되얏 달달이 문부들마감치 안이고 로이 공젼을흠츅얏던지 삼쳔환돈이 부지거쳐오 지금슈리비 일푼이업고로 회계무갈고 방장 심사즁인 공젼이안이라 인민의 송봉슈젼 맛흔것도 슈쳔환이무연된 모양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텬도교쥬 손병희씨 쟝차 그교회즁 긔관신문을 발기로 쥰비즁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角井(角井) 서울 角井 角井 本町 3-28 복장품 - 와이셔츠 제조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角井文藏(角井文藏)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와이셔츠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谷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각대신이 통감관뎌에셔 협의를 파후 하오이시경에 일제히 대관뎡으로젼왕야 장곡쳔대장을  방문고 즉시졍부에 회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比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국사으로 궁부 고문관을 합동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고문관으로 나오는 사이 임의 발졍엿다는 뎐신이 졍부에 도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3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77)

  • 과맞춤법_9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
    강의자김양진 | 주차문장과맞춤법_9주차
  • 과맞춤법_9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
    강의자김양진 | 주차문장과맞춤법_9주차
  • 과맞춤법_9주차_3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
    강의자김양진 | 주차문장과맞춤법_9주차
  • 과맞춤법_9주차_4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
    강의자김양진 | 주차문장과맞춤법_9주차
  • 과맞춤법_9주차_5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
    강의자김양진 | 주차문장과맞춤법_9주차

기타자료(146)

  • 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233 미국 미상 학교(집합) 우라키 제3호 1928―04―07 138면 욱;
    학교소재지역미상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237 미국 미상 학교(집합) 우라키 류미학생총회10주년 기념호 1930―06―14 151면 욱;
    학교소재지역미상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43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49면 개;介 1923년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86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19면 개;介 제2회 1925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8035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92면 - 욱;煜 1941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5)

주제어사전(411)

  • / [언어/언어/문자]

    언어표현과 문법학의 기본단위 중 하나. 수사학적 개념으로서의 은 글월, 문법학적 단위로서의 은 월이라고 불러 구분한다. 문법학의 기본단위들로는 외에 음소·형태소·단어 등이 있는데, 이들 가운데 은 언어분석이나 기술의 최대단위로 인정된다. 문법학적

  • / [사회/가족]

    한 문중(門中)을 대표하는 사람. 은 대개 한 문중에 한 명이 있으나, 규모에 따라 대들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추대된다. 보편적인 것은 항렬이 높은 사람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어른을 추대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은 학식·항

  • / 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성 및 궁궐의 각 문을 지키던 관직. 1469년(예종 1)에 별도로 수을 두어 그 책임을 맡기게 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서반의 4품 이상 중에서 망점(望點)에 의하여 충차되어 수점(受點) 입직하도록 규정되었다.

  • 청 / 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 문의 수위를 맡아보던 수들이 소속되었던 관서. 수청은 종6품의 수 5인과 종9품의 수 18인 등 모두 23인이 소속되도록 규정되었는바, 그들 가운데 5과는 중인이나 서얼이 허통되는 자리였고, 1과는 금군 중에서 도목 때마다 취재에 의해

  • 분청사기인화군 / 粉靑沙器印花 [예술·체육/공예]

    라 한다(獐本, 酒器, 形如鼗皷, 腹有口, 俗號獐本)’고 하여 용도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분청사기인화군의 몸통은 부풀어 오른 듯이 팽만한데 아래쪽이 편평하여 안정감이 있고, 위쪽 가운데에는 좁은 입이 붙어있다. 측면인 마구리의 한 쪽은 둥글어 배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