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3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126)
사전(1,927)
- 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간의 말을 기록하기 위한 시각적 기호(視覺的記號)의 체계. [내용] 달리 말하면 시각적 기호에 의한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체계가 곧 문자이다. 말이 귀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데 반하여 문자는 눈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담당...
- 文子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2_J_0013 文子 경서·경학 德少, 寵多, 才下, 任高, 無大功, 厚祿, 益之而損, 損之而益, 益之爲益, 損之爲損 J_06_01_06 지봉유설 6권 1장 6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6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문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 積戀如渴 忽得問字 披慰不可言, 김원행(金元行), 23-22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광문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기 때문이다. <광문자전>을 쓰게 된 동기에 관하여 작자는 그 서문에서 “광문은 궁한 걸인으로서 그 명성이 실상보다 훨씬 더 컸다. 즉, 실제 모습(실상)은 더럽고 추하여 보잘것없었지만, 그의 성품과 행적으로 나타난 모습(명성)은 참으로 대단한 것이었다. 그리...
- 문자명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려 제21대 국왕[생몰년: ?∼519(문자명왕 28), 재위: 492∼519]. [개설] 일명 명치호왕(明治好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나운(羅雲)이다. 장수왕(長壽王)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고추대가(古鄒大加) 조다(助多: 高助多)이...이칭별칭명치호왕(明治好王)|나운(羅雲)
단행본(9)
- 한국 한문자전의 세계 [한국 한자학 전문 교육 과정 개설과 연구자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 | 華東師范大學 (East China Normal University)]저자 : 왕평, 하영삼 ... | 출판사 : 도서출판 3 | 출판일 : 201902유형단행본
- 재중 조선족 동포 관련 통계자료집(언어, 문자)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저자 : 김윤태 ... | 출판사 :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 출판일 : 20140925분야언어 | 유형단행본본 자료집은 ‘재중 한인’ 관련 통계를 모은 자료집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과 이점을 갖고 있다. 우선, 본 자료집은 기존의 ‘재중한인’ 관련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통계만을 발췌 수록했다. 통계는 어떤 현상의 성질과 규칙성을 파악하는데 아주 유용한 도구이다. 따라서...
- 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한국 근현대의 학문 형성과 계몽 운동의 가치 | 단국대학교]저자 : 허재영 강미정 윤금선 김슬옹 김정애 ...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90310이 책은 일제 강점기의 계몽운동의 실제적인 모습을 객관적으로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독본 자료, 청년운동과 수양론, 노농단체와 야학 운동, 언론 활동과 문자보급운동, 식민 통치와 계몽 정책을 자료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韩国语 口语敎程 中級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허봉자, 김성미, 박문자, 최유학...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제1과 한국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나요 제2과 영화 속으로 여행을 떠나 볼까요? 제3과소비를 줄이는 지혜 제4과 광고를 즐기고 있나요? 제5과 누구의 팬이세요? 제
- 역주 선정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유지복(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1.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선릉지 1. 의궤문자(儀軌文字) 2. 도식(圖式) 3. 제향(祭享) 4. 봉심과 수개(奉審修改) 5. 금양(禁養) 6. 임관과 수호군(任官
논문(9)
- 문자의 정의-문자란 무엇인가?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김양진 | 게재정보 : 국제어문
- 한국 훈민정음과 현대 한국 문자의 비교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Ko Young Cheol | 게재정보 : Global Scientific Potential
- “한자문화권”의 한자연구에 대한 술평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김건인 | 게재정보 : 아시아문화
- 현대 한국어와 홍민정음 한국어의 문자체계 비교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Ko Young Cheol | 게재정보 : GLOBAL SCIENTIFIC POTENTIAL
- 거란문자 분석을 통한 거란(契丹) 국명(國名) 연구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류병재 | 게재정보 : 백산학보
고서·고문서(6,345)
- 문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자 이 남자 요녕성(辽宁省) 개원현(开原县) 양목림자향(楊木林子乡) 전양목림자대대 2 2 문자, 풍속, 습관, 민족...대표표제어문자 | 성씨이
- 廣文者傳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八○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放璚閣外傳○傳 廣文者傳 廣文者傳 廣文者傳 : 이 제목이 ‘연장2’, ‘동양’, ‘영남’, ‘한씨’, ‘용재’, ‘승계’에는 「廣文傳」으로 되어 있음. ‘승계’의 경우, 처음에 ‘廣文者傳’으로 썼다가 ‘者’에 삭...대표표제어廣文者傳 | 목차放璚閣外傳○傳
- 중국문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국문자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전현(桦甸县) 승리감 5조5위 4 4 중국문자, 글자, 하나, 서신, 제이름, 이씨,...대표표제어중국문자 | 성씨이
- 문자류집(文字類輯)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문자보급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663 창가 동요 300 22184 문자보급가 〈mn〉오선보〈/mn〉 〈a〉李□□〈/a〉 〈co〉具王三〈/co〉 〈#320〉 맑은 시내가에서 고기 잡는 소년들 일 갈 때 일하고 배울 때― 배우세 아는 것이 힘 배와야 산다 푸른 언덕 우에서 나물...구분창가
구술자료(46)
- 문자(文字) 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찬민 씨가 제보자를 소개해 주었다. 제보자에게 조사자가 채록 이유를 설명하고는 조사자의 고향도 정읍 태인이라고 밝히자 더욱 친절하게 대해 주었다.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가 ‘황새등’에 관한 이야기를 들추어 냈는데, 조사자가 적극적으로 구연을 요청했더니 긴장된 표...조사일시1985-03-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 제보자김상철
- 문자문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본 설화가 너무 잘 알려져서 다들 알고 있을 것이라며 이 이야기를 꺼냈다. 한 청중은 본 설화가 김삿갓 애기에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조사일시1979-07-03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강성도
- 문자만 쓰는 사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유란씨가 조사자들이 제보자를 찾은 이유를 설명하자, 이제는 기억력이 쇠 <page id="578" /> 미하여 다 잊었다고 하며 사양하다가 시작했다. 나이에 비해 발음도 비교적 정확하고, 내용도 충실했다. *조사일시1980-03-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신순경
- 엉터리 문자 쓰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중 가운데 한 사람이 이 이야기의 허두를 내어 놓으며 이야기하라고 재촉하자, “내 낯가죽은 이왕 가 버렸다.”고 하면서, “부산 있는 아들이 들으면 큰일이다.”고 걱정했다. 조사자와 청중들이 부추기며 재촉하자 못이긴 듯이 시작했다. 청중들도 이 이야기는 익히 알...조사일시1980-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사봉면 | 제보자심을순
- 문자풀이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 | 제보자허연구
기초학문(220)
- 나치의 문자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9445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나치의 문자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문자의 기호 인류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도, 게재일 : 201151254 김성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문자의 기호 인류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문자류집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윤석, 게재일 : 200926312 이윤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열상고전연구회 2009 문자류집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시각적 영상과 中國 文字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9652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 2010 시각적 영상과 中國 文字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문자사용의 규범화 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2437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 문자사용의 규범화 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58,456)
- 민세안재홍전집 : 文字普及班員을보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605 1930 7 16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文字普及班員을보냄 眞熟그러나平純한奉仕者 신문 조선일보 사설 교육 직접자료 1권 文字普及 A19300716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開門上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동대궐 대안문을 즁슈고 그현판을 대한문으로 곳쳐단다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작일에 상량문을밧구와럿코 대한문 현판을놉히단후고지지엿더라게재일1906년 5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聞者惻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왕 툥신원쥬 단이다가 방되야 삼쳥동 김셩인은 량로시하에 가셰젹빈야 삼일을 졀화졀식다가 각기 모군이나셔셔쌀되나 구쳐가야 비로소 문밧그로 나오데 맛참 이웃집에셔 당목등속을 마젼야 담우에걸어노코 아무도업지라 그것을 것어다가 뎐당국에잡히고 쌀되나엇어...게재일1906년 11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三顧問作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 고문 권즁현 민영긔 리지용 삼씨가 반야 오젼구시에 이등통감을 그관뎌로 방문후 십일시경에 통감부에 들네셔 십이시에 대관뎡으로 젼왕야 쟝곡쳔대쟝올 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照懲發文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라남도 쟝셩군민 송영슌 긔관연등이 결젼을 결에 신화팔환으로 작뎡고 일환에 엽젼오량으로 툥용케고 각군에 통문을발으로 탁지부에셔 부로죠회야 디방경무셔에 신칙야 그쟝두 송영슌등을 착슈엄징케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73)
-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음운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65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음운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66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음운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67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음운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68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음운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69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연구결과보고서(3)
- 중국소재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자료 조사 연구 결과보고서 [중국소재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자료 조사 연구 | 부산외국어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438)
- 임문자;林文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766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154면 15. 1944년 3월 17일 제15회 졸업생 임문자;林文子 소화1...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문자;宋文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송문자;宋文字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문자;張文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6510 남한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1-34 숙명 제20호 1936 159면 1. 졸업생 씨명 장문자;張文子 (출신지)경성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문자;尹文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439 남한 경성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1-26 同德二十年 동덕여학교창립20주년기념축하회 1928―10―06 32면 1. 졸업생;2) 보통학교;(2) 제2회 32명 1925년 3월 윤문자;尹文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문자;趙文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503 남한 경성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1-26 同德二十年 동덕여학교창립20주년기념축하회 1928―10―06 34면 1. 졸업생;2) 보통학교;(4) 제4회 50명 1927년 3월 조문자;趙文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9)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국내
-
중국소재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자료 조사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권덕영 | 부산외국어대학교 | 2007 | 국내 | 부산
-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원길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6 | 국내 | 충남
-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병준 | 이화여자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중앙민족대학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춘선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 2008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48)
-
문자 / 文字 [언어/언어/문자]
인간의 말을 기록하기 위한 시각적 기호(視覺的記號)의 체계. 시각적 기호에 의한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체계가 곧 문자이다. 말이 귀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데 반하여 문자는 눈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담당하며, 말이 사람의 목소리로 이루어지는 데 반하여 문자는 ‘눈
-
광문자전 / 廣文者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서광문전후 書廣文傳後>와 함께 박지원의 ≪연암집 燕巖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1754
-
용문자식 / 用文字式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공문서를 쓰는 법과 그 양식. 중요한 원칙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국왕에 대한 직계는 3품 아문과 중앙·지방의 제장, 승문원·장예원·사간원·종부시 등만이 할 수 있었고, 둘째, 상급관청·관원에게는 첩정을, 동등 이하의 관청·관원에게는 관을, 7품 이
-
표음문자 / 表音文字 [언어/언어/문자]
글자 하나하나가 대표하는 단위가 음소(音素)나 음절(音節)과 같은 음(音)의 단위인 문자 체계. 음의 단위로는 음성도 있으나 음소보다 작은 단위로서의 음성을 단위로 하는 문자는 없다. 음성을 단위로 하는 시각적 기호체계는 발음기호(phonetic sign, phone
-
표의문자 / 表意文字 [언어/언어/문자]
글자 하나하나가 형태소(形態素) 각각을 대표하는 문자체계. 글자 하나가 의미의 단위인 형태소(대개는 단어) 하나씩을, 더 정확히 말하면 그 형태소(및 단어)의 의미를 대표하는 문자체계를 일컫는다.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로는 한자를 들 수 있다. ‘衣, 木, 東, 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