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위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3)
- 풍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문위세(文緯世)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1819년(순조 19)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헌경(李獻慶)의 서문과, 권말에 6대손 취(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에 있다.
- 문위세(文緯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186 인물 문위세(文緯世) 문위세 文緯世 1534 160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숙장(叔章), 호는 풍암(楓庵). 문익점(文益漸)의 9대손. 박광전(朴光前)의 처남. 1567년 식년시 진사...유형분류인물
- 문영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5(명종 20)∼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의병장. [내용]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순해(舜諧) 또는 순서(舜瑞), 호는 휴헌(休軒). 아버지는 현령 위세(緯世)이며, 큰아버지인 첨지중추부사 위지(緯地)에게 출계하였다....이칭별칭 순해(舜諧), 순서(舜瑞)| 휴헌(休軒)
- 임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朴光前), 능성현령 김익복(金益福), 진사 문위세(文緯世)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당시 와병중이던 박광전 대신 의병장으로 추대되고, 순천에 이르러 장윤(張潤)을 부장으로 삼았다. 다시 남원에 이르기까지 1,000여명을 모집하...이칭별칭 홍보(弘甫)| 삼도(三島)
- 문영개(文英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encykorea.aks.ac.kr/)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임진왜란, 의병장, 순해(舜諧), 순서(舜瑞). 휴헌(休軒), 문위세(文緯世), 이순신(李舜臣), 명량해전(鳴梁海戰) 사전 한...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1)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527 B031527 금산 錦山 산악 忠淸道邑誌 徳山郡邑誌 徳山郡 人物 ... 冶谷官至掌令自初性至孝父病氣絶折指出血以進遂淂甦墓山甞失火将及墳茔向天痛哭忽雨火滅人謂至誠所感及長遊諸賢門為世名儒 仁祖朝以學行被選 孝廟朝恃除䑓聀出入經幄及其詣闕猝然感疾仆之觧御丧以衣之命衛士輿送之既沒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567 B031567 금산 錦山 산악 輿地圖書 忠淸道 德山 人物 ... 掌令自初性至孝父病氣絶斷指出血以進遂得甦墓山嘗失火將及墳塋向天痛器怱雨火減人謂至誠所感及長遊諸賢門爲世名儒 仁祖朝以學行被選 孝廟朝時除臺職出入經幄及其詣闕猝然感疾仆之解 御裘以衣之命衛士輿送之旣沒 上震悼衣衾棺鄉...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526 B031526 금산 錦山 산악 忠淸道邑誌 徳山郡邑誌 徳山郡 人物 王初以行誼薦於 朝徴用之未 就西卒士林惜之有遺稿刋行居縣㐀高山面 趙兢善 號冶谷官至掌令自初性至孝父病氣絶折指出血以進遂淂甦墓山甞失火将及墳茔向天痛哭忽雨火滅人謂至誠所感及長遊諸賢門為世名儒 仁祖朝以學行被選 孝廟...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566 B031566 금산 錦山 산악 輿地圖書 忠淸道 德山 人物 ... 趙克善(號治谷官至掌令自初性至孝父病氣絶斷指出血以進遂得甦墓山嘗失火將及墳塋向天痛器怱雨火減人謂至誠所感及長遊諸賢門爲世名儒 仁祖朝以學行被選 孝廟朝時除臺職出入經幄及其詣闕猝然感疾仆之解 御裘以衣之命衛士輿送之旣...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財, 隨問危說, 亦不脫身。 以上五漢, 竝嚴刑三次, 遠惡島限己身定配, 勿揀赦宥。 權元淑、金秉燁、金仁甫、朴宗石、李明七等五漢, 共有聽謀之跡, 難逭通情之律, 竝嚴刑一次島配。 朴乃治、蔡以良、崔若大等三漢, 或不卽發告, 或爲其謀利, 不可以無知沒覺, 置之全恕, 竝刑配。 餘外諸囚, 分...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문위세 / 文緯世 [종교·철학/유학]
1534년(중종 29)∼1600년(선조 33). 문익점의 9대손, 유희춘, 이황의 문인이다. 1567년(명종 22) 진사가 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박광전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군량조달 등의 공을 세워 1595년 용담현령에 임명되었다. 1597년 정
-
강성서원 / 江城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늑룡리에 있는 서원. 1643년(인조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문익점(文益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월천사(月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뒤, 1692년(숙종 18)에는 문위세(文緯世)를 추가배향하였다. 1785년(정조 9)에 강성(江城
-
임계영 / 任啓英 [종교·철학/유학]
1528(중종 23)∼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희중이다. 1576년(선조 9)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 능성현령 김익복, 진사 문위세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전라우도 의병
-
문병전 / 文秉栓 [역사/근대사]
1898-1971.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풍암(楓庵) 문위세(文緯世)의 종손으로, 1898년 3월 18일 전라남도 장흥군(長興郡) 유치면(有治面) 늑룡리(勒龍里)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나 남달리 의로움이 강하고 과묵했다. 30여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