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세영” 에 대한 검색결과 1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2)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연사, 1951) 등 그밖에 비슷한 사전들이 여러 출판사에서 나왔다. 『동아일보사설선집(東亞日報社說選集)』(동아일보사, 1977) 『배재80년사』(학교법인배재학당, 1965)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 저, 조선어사...
    이칭별칭 청람(靑嵐)
  • 올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말과 같이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 같다. 19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는 이 말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의 『조선어사전』(1938)에는 ‘올캐(올케)’로 수록되어 있고, ‘오라범댁’과 같은 말이라는 해설이다. 한글학회의 『큰사전』(1957) 이후의...
    이칭별칭오라범댁
  • 조선어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펴낸 국어사전. [내용] A5판. 총 1,690면.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
  • 언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우, 20세기에 들어와서 편찬된 우리 나라 최초의 활자본 국어사전인 ()의 ≪조선어사전≫(1938)과 한글학회의 ≪큰사전≫(1957)에 비로소 ‘언니’라는 말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어사전≫은 ‘형과 같음’의 풀이이고, ≪큰사전≫은 ‘형을 친근하게...
  • 국어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어사전을 편찬하다가(현재 그 첫째 권만이 알려져 있음.) 주시경의 서거로 김두봉이 이어받아 작업했으나(이병근 소장) 중단되었다. 이 사전은 용언 어간을 표제항으로 설정하는 등 주로 주시경의 문법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쇄 출판된 최초의 국어사전은 (...

고서·고문서(42)

  • 우리말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우리말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우리말辭典 三文社 서울 1938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연세...
    대표표제어우리말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큰 國語辭典 : 縮少版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큰 國語辭典 : 縮少版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큰 國語辭典 : 縮少版 建國社 서울 1957 新訂增補版 ...
    대표표제어큰 國語辭典 : 縮少版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朝鮮語辭典刊行會 경성 1940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永昌書館 서울 1949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사전;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國語大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國語大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國語大辭典 著 永昌書館 서울 1954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
    대표표제어國語大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신문·잡지(3)

멀티미디어(60)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_ 외_6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_ 외_6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_ 외_6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_ 외_6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_ 외_6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354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18년도 1918―12―18 100면 ; 경성부 청운동 128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551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222면 ; 경성부 옥인동 139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553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227면 ; 경성부 옥인동 139(고등보통학교 교원)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언어/언어/문자]

    1888(?)∼? 사전편찬가.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에 살았으며, 배재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6·25 때 행방불명되었다고 하나 자세한 생몰연대가 알려져 있지 않다. 1935년 조선어학회의 표준말 사정위원, 1936년 그 수정위원을 지냈다. 1938년 7월 최

  •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언어/언어/문자]

    ()이 펴낸 국어사전.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이두(吏讀) 찾기’ 22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4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