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산계” 에 대한 검색결과 2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1)

사전(2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은 주로 대광 등의 관계였다. 그런데 958년(광종 9)부터는 이와 같은 관계와 함께 중국식 가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일련의 국가체제가 정비되는 995년에 이르러 마침내 후자가 유일한 공적질서체계로서의 지위를 굳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전자는 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러나 고려의 문‧무산계 중 무산계는 제대로 쓰이지 않고 만 여러 차례 개정을 거듭하면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문‧무산계에 바탕을 둔 고려의 양반 제도도 불완전한 것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조선 건국과 더불어 어느 정도 균형있게 정비되었다. 물...
  • 자덕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369년(공민왕 18)에 처음 종2품 하계(下階)로 설치하였다. →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高麗時...
  • 장사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종9품의 관계명이다. →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박용운,『진단학보(震檀學報)』52...
  • 조봉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310년(충선왕 2)에 처음 종5품 관계로 설정된 이후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고려사(高麗史)』 「고...

고서·고문서(5)

  • 1589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散階)에서 동반(東班) ()로 이동되었고, 이정회가 이전에 종사하던 통례원으로 다시 재배속되었다. 다만 이전에 가인의(假引儀), 겸인의(兼引儀)였던 데 비해 이번에는 인의직을 받아 실질적인 승진을 이루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69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9년(선조2) 이조(吏曹)에서 정7품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적순부위(迪順副尉)이정회(李庭檜)를 종6품 선무랑(宣務郞)에 임명한 문서이다. 무신들의 품계인 무산계(武散階)에 있었던 그는 이때부터 ()를 받았다. 그런 까닭에 이해 정...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625년 이경한(李景漢)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상의 관직에는 무산계가 없기 때문에 무관직도 를 받으며, 이것은 이경한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가선대부가 된 것이다. 관품과 관직에 차이가 날 경우에는 관직명 앞에 ‘행’과 ‘수’자를 넣어 구분하였는데, 이 문서도 관품이 높기 때문에 행을 쓴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청주정씨 세덕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
    7월 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 정하여져 그대로『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4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경력‧첨정‧서윤‧부응교‧교감‧제검‧편수관‧좌익선‧우익선‧부호군‧군문파총(軍門把摠)‧군수‧동첨절제사‧병마만호‧수군만...
    가사유형송축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하야 有命이어든 俯階以聽하고 退而書之하야 季終에 以授史官이라 貞觀初에 以給事中諫議大夫도 兼知起居注하거나 或知起居事하다 爲는 去聲이오 志는 通作誌니 記也요 保는 任也라 太宗이 自將諸軍하야 發洛陽하고 以特進蕭瑀하야 爲洛陽宮留守하고 唐制에 從一品은 曰開府儀라 同三司오...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타자료(1)

  • 唐 太宗이 義慈王에게 보낸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마땅히 일상의 예에 더하여 애도의 영예를 표한다.” (하였다. 光祿大夫 光祿大夫 : 당나라의 의 하나이다. 는 모두 29등급으로 되어 있었는데, 광록대부는 종2품이었다. 로 추증하고, 賻儀를 매우 후하게 내렸다.) (『삼국사기』 27, 백제본기 5, 무왕...
    대표표제어唐 太宗이 義慈王에게 보낸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5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왕조의 문신들에게 주던 관계. 조선의 문·무산계는 정1품부터 종9품까지 18자급(資級)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여기에 다시 당상관(정3품 通政大夫 이상)과 당하관(정3품인 通訓大夫 이하), 참상관(종6품인 宣務郎 이상)과 참하관(정7품인 務功郎 이하)의 구분이 있

  • 광록대부 / 光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2품 상계의 . 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던 의 하나이다. 문종 때 제정되었다.

  • 명선대부 / 明善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정3품 상계의 위호. 종친(宗親) 정3품 상계의 품계명으로서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을 당상관이라 한다.

  • 봉직랑 / 奉直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상계 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보국숭록대부 / 輔國崇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하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정1품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