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75)
사전(504)
- 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장을 구성하는 규칙. [내용] 흔히 문법을 연구하는 문법론을 문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학습되는 문법교과와 문법책을 문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문법이란 언어현상에 내재해 있는 일정한 질서를 가리...
- 대한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9년 간행된 김규식(金奎植)의 국어문법서. [내용] 1권 8절지 양절, 113장. 동장(東裝) 유인본(油印本). 서울대학교 일사문고본(一簑文庫本)과 연세대학교 해관문고본(海觀文庫本)이 있다. 수정증보판으로 『조선문법(朝鮮文法)』이라...이칭별칭조선문법(朝鮮文法)
- 문법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어의 문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는 국어학의 한 분야. [내용] 문법론을 흔히 문법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문법이란 언어현상에 내재하고 있는 일정한 질서로서의 규칙을 이르는 말이고, 문법론이란 그러한 문법을 연구하는
- 문법변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법단위들이 구성되고 운용되는 형태론과 통사론의 영역에서 통시적으로 일어나는 변천과 그 결과. [내용] 이에는 문법단위의 생성‧발달‧소멸 뿐만 아니라 어순이나 문법적 의미기능의 변화도 포함된다. 이 변화는 일정한 원리에 근거한
- 의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명령법‧청유법‧감탄법’과 함께 문장서법의 뜻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의문법은 문장을 물음의 방식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상대높임법에 따라 형태가 바뀐다. 그 활용표를 보이면 다음과
단행본(15)
- 우리말 문법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강용택 ... | 출판사 : 민족출판사 | 출판일 : 201308유형단행본
- 한국어 문법 1 [라트비아 대학교 내 한국학 독립모듈 및 대학원 과정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저자 : Choi Gwonjin ... | 출판사 : 라트비아대학교 | 출판일 : 202006
- 한국어 기초 문법 A1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괵셀 튀르쾨쥬 ... | 출판사 : NİLSİN YAYINCILIK | 출판일 : 202302Bu kitap Avrupa Ortak Dil Çerçeve Programına göre A1 düzeyinde hazırlanmıştır. Korece, dilbilgisi yönünden çok zengin bir dildir. Dilbilgisinin son de...
- 한국어 기초 문법 A2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S. Göksel TÜRKÖZÜ ... | 출판사 : NİLSİN YAYINCILIK | 출판일 : 202303Cumhuriyetimizin kuruluşunun 100. yılı olan 2023 aynı zamanda Türkiye’de Kore Dili eğitiminin verilmeye başlandığı ikinci üniversite olan Erciyes Üniv...
- 한국어 문법사전. Dictionar de gramatica coreeana (E-BOOK) [Babeş-Bolyai (바베쉬-보여이)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과 과정의 향상과 교육 교재 | Universitatea 'Babesbolyai' Cluj-Napoca]저자 : 곽동훈 ... | 출판사 : Presa Universitara Clujeana | 출판일 : 202008막바지 작업 중에 있는 이 교재는 루마니아 내 모든 수준의 한국어학습자 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자에게도 꼭 필요한 한국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들 못지않게 한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자...
논문(5)
- 조선어 추측 문법의 심리 지표와 유형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한향화 | 게재정보 : 중국조선어문
- 한자어 접미사 '-的'의 문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동리(中國海洋大學) | 게재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1권 38호, 게재일 : 2013.02유형논문
- 아제르바이잔 한국어 학습자용 초급 문법서 개발 기초 연구* [아제르바이잔언어대학교 한국학 센터 설립 및 한국어통·번역학과 내실화 | Azerbaijan University of Languages]저자 : 내르민 마할라모바 | 게재정보 : 교육문화연구
- 한국어 글쓰기에 나타난 문법 오류 분석 연구 : 아제르바이잔 초급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아제르바이잔언어대학교 한국학 센터 설립 및 한국어통·번역학과 내실화 | Azerbaijan University of Languages]저자 : 카밀자데 코눌 | 게재정보 : 교육문화연구
- 탈범주화 시각에서 본 한국어 조사 '가'와 '를'의 다기능성 및 효과적인 교육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한향화 | 게재정보 : 국어교육연구
고서·고문서(1,248)
- 문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법 윤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릉현(穆稜县) 복록공사(福禄公社) 흑룡강성 목릉현 복록공사 4 2 문법, 알아야,...대표표제어문법 | 성씨윤
- 문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법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조선중학교(朝鮮中学校) 4 4 문법, 조선말, 존경, 구절, 량해, 방...대표표제어문법 | 성씨이
- 문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법 신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통하현(通河县) 청하공사 신흥대대 3 3 문법, 책, 요청, 혹시, 이름...대표표제어문법 | 성씨신
- 문법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법책 홍 남자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24중학일어교연조 2 2 문법책, 현재, 일문, 필, 비교적, 전면적,대표표제어문법책 | 성씨홍
- 문법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법책 박 남자 강원도 홍천군 흑룡강성(黑龙江省) 호림현(虎林县) 양강공사 합민촌 2 2 문법책, 외어조선생님,대표표제어문법책 | 성씨박
구술자료(12)
-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3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대허리 논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슬슬 대허리 멕받형(선후창)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얼럴럴 상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4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얼럴럴 상사 얼럴럴 상사 상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 상사 류 멕받형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2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잘하네 못하네 논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손으로 이듬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1.진방아 2.짜른 방아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1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1.진방아 2.짜른 방아 1.진방아 2.짜른 방아 1.긴방아 2.잦은 방아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호미로 아시매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인도어와 한국어의 비슷한 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그래서 오천 개 단어들 비슷하다고 하는데 너무 비슷한 게 아니라 비슷하게 들리는 거죠. 그래서 뱀도 우리는 ‘밤’이라고 해요. ‘바무, 밤’이라고 하니까 이런 단어들이 비슷하고 문법성이 문법이 좀 비슷하게 쓴다고 제가 교수님한테 그 얘기 했어요. 뭐, “우리도 영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672)
- 법률해석과 문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기영, 게재일 : 201239695 김기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어문학회 2012 법률해석과 문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지정의 문법 범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기혁, 게재일 : 200005925 김기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중언어학회 2000 지정의 문법 범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5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유생성의 문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일, 게재일 : 200009661 김은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0 유생성의 문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da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북한에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46263 한국연구재단 북한에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1855&loc유형논문
-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근석, 게재일 : 200811537 임근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08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2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30)
- 訪問法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뎐원경 리긔동씨 작일 하오구시에 법부대신 리하영씨를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質問法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에 구류 리쥰씨의 아오와 아달이 작일법부 문셔과에 뎐왕야 과장리건셕씨를야 무삼죄로 구라라 리유를 질문얏 리과장은 당쵸에 구라리난 권한도업거니와 나난그쳥원셔를 졉슈치못리유가잇셔 작환만 얏슬이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訪問法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하오에 법부참여관 야무지죠 통감부법무원 검찰관 송쥭옹 법부형국쟝 김락헌 부참셔관 쟝도 김희수씨등이 뎨로 법부대신 리하영씨 뎨로 젼왕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訪問法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통감부 법무원쟝 모씨 작일상오십시경에 무삼건을인인지 법부대신리하영씨 방문다가 대신이 마을에 진치안이으로 다시 탁지부로젼왕얏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裁長이訪問法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 판쟝리윤용씨 직상쇼를다 신병이 잇다고원에진치안이으로검리쥰씨의 판건이 긔일간 퇴뎡되얏다더니 동씨 작일하오오시에 법부대신 리하영씨 례에 젼왕야 수시간담화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60)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 문법사 한국어 문법사 본 강의는 한국어의 문법형태 및 문법범주를 나타내는 방식들의 역사적인 변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조사와 어미 등의 문법형태들이 어떻게 변천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 문법사 한국어 문법사 본 강의는 한국어의 문법형태 및 문법범주를 나타내는 방식들의 역사적인 변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조사와 어미 등의 문법형태들이 어떻게 변천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 문법사 한국어 문법사 본 강의는 한국어의 문법형태 및 문법범주를 나타내는 방식들의 역사적인 변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조사와 어미 등의 문법형태들이 어떻게 변천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가지로 한국어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고, 현재까지도 변화하고 있다. 학습자는 천여 년간 누적된 한국어사 자료를 통해 음운, 표기, 문법, 어휘를 비롯한 한국어 전반의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의의 내용은 한국학을 배우는 학습자가 한국어에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 가지로 한국어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고, 현재까지도 변화하고 있다. 학습자는 천여 년간 누적된 한국어사 자료를 통해 음운, 표기, 문법, 어휘를 비롯한 한국어 전반의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의의 내용은 한국학을 배우는 학습자가 한국어에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기타자료(29)
- 영어문법과 도해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영어문법과 도해법 영어문법과 도해법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백남석 | 사료철명외대학보
- (한문교실) 문법 개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문교실) 문법 개요 (한문교실) 문법 개요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종률 | 사료철명교육제주
- (현장연구) 학교문법서의 비교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현장연구) 학교문법서의 비교 연구 (현장연구) 학교문법서의 비교 연구 (현장연구) 學校文法書의 比較 硏究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서ㆍ지도서 교육과정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종경 | 사료철명부산교육
- 중학교국어과 문법교육과정시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중학교국어과 문법교육과정시안 중학교국어과 문법교육과정시안 中學校 國語科 文法敎育課程試案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용완 | 사료철명교육문화
- 국어문법교육서에 대한 관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어문법교육서에 대한 관견 국어문법교육서에 대한 관견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정근 | 사료철명사대학보
연구과제(11)
-
다산 정약용 시집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이주행 | 다산학술문화재단 | 2014 | 국내 | 서울
-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와 한국어 교수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Karimov Rivojiddin | Republican research Centre for development of innovative method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under the Uzbekistan State world Languages University | 2021 | 국외
-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창섭 | 서울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한국학 전공 석사과정을 위한 스페인어 교재 개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Hye-jeoung Kim | Universidad de Salamanca | 2014 | 국외 | 해외
-
중국 천진지역 한국학 연구 및 교육 플랫폼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TIANYUEMEI | 天津師範大學 (Tianjin Normal University) | 2022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35)
-
문법 / 文法 [언어/언어/문자]
문장을 구성하는 규칙. 문법을 연구하는 문법론을 문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학습되는 문법교과와 문법책을 문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문법이란 언어현상에 내재해 있는 일정한 질서를 가리키는 데 국한된다. 문법의 범위를 넓게 잡으면 음운과
-
국문문법 / 國文文法 [언어/언어/문자]
1905년 국어학자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이 손으로 써서 만든 국어 문법책. 『국문문법(國文文法)』은 주시경이 1905년 2월부터 6월까지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국어를 가르칠 때 등사해서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을 합철한 것이다. 필사본(筆寫本)으로
-
국어문법 / 國語文法 [언어/언어/문자]
국어학자 주시경(1876-1914)이 국어의 문법 및 특징을 기술하여 1910년에 간행한 국어문법서. 118면. A5판. 1910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조선어문법 朝鮮語文法』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1911년과 1913년에 다시 펴내기도 하였다. 『조
-
대한문법 / 大韓文法 [언어/언어/문자]
1909년 간행된 김규식(金奎植)의 국어문법서.1권 8절지 양절, 113장. 동장(東裝) 유인본(油印本). 이 책의 내용은 권두에서 국어를 우랄알타이어로 규정하고, 전체를 3편으로 나누어 제1편은 자체(字體)·성(聲)·음(音)·운(韻), 제2편은 사자학(詞字學),
-
션영문법 / 鮮英文法 [언어/언어/문자]
1914년 언더우드가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간행한 책. 1914년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가 조선어와 영어를 비교 검토하여 1890년 저술한 『한영문법(韓英文法)』에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일본의 출판사(Kelly & W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