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문묘” 에 대한 검색결과 1,4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47)

사전(8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성전으로 승당(陞堂)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리 나라 의 건치는 714년(성덕왕 13) 김수충(金守忠)이 당나라에서 돌아오면서 문선왕(文宣王:孔子)과 10철, 72제자의 화상(畫像)을 가지고 와서 왕명에 의해 국학(國學)에 두면서부터이다. 그 뒤 승출(陞...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균관 경내에 있는데,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를 비롯한 사성(四聖)‧십철(十哲) 및 송조육현(宋朝六賢)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大成殿)과 공자의 제자 및 조선과 중국의 유현(儒賢)의 위패를 모신 동서 양무(兩廡)와 부속 건물로 되어 있음.
    정의성균관 경내에 있는데,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를 비롯한 사성(四聖)‧십철(十哲) 및 송조육현(宋朝六賢)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大成殿)과 공자의 제자 및 조선과 중국의 유현(儒賢)의 위패를 모신 동서 양무(兩廡)와 부속 건물로 되어 있음.[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Munmyo | MR표기Munm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교의 성인(聖人)인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의 무덤 또는 그를 모시는 사당.
    정의유교의 성인(聖人)인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의 무덤 또는 그를 모시는 사당.[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unmyo | MR표기Munm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D1_D_0036 유교 東西廡, 從祀 勝覽 D_10_01_21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2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D1_D_0057 유교 文宣王廟, 國子監, 儒術, 有司, 學舍, 文風 高麗, 國初 睿宗 麗史 D_16_02_37 대동운부군옥 16권 2장 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2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88)

  • 의궤(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융희연간에 에서 석전제를 드릴 때 사용하는 축식이다. 석전제는 매년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행하는데, 치제 대상은 문선왕과 4성이다. 이외에 계성사(啓聖祠), 사현사(四賢祠), 산천단 절제, 선농제(先農祭), 우사제(雩祀祭), 선잠제(先蠶祭), 사한제(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에 관한 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지방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京城)
  • (실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행정 및 내무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의궤(儀軌)(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융희연간에 에서 석전제를 드릴 때 사용하는 축식이다. 석전제는 매년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행하는데, 치제 대상은 문선왕과 4성이다. 이외에 계성사(啓聖祠), 영월배식단 치제에 사용하는 축식이 있으며, 각릉(各陵) 청명(덕안릉, 지릉, 숙릉) 때의 제문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2)

  • 훌륭한 선생님 쭈반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반안 선생은 베트남 잔(陳) 왕조 시대의 최고 현인으로, 유학자로서 왕태자를 가르치는 스승이었다. 본문에서는 쭈반안과 추반안으로 발음을 혼용하였다.. 이제는 에, 에서 좀. [조사자1: 에서 제사를 지내요?] 네, 모시고 있구요. [조사자1: 우리나라의 이황
    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나중에 유골도 직접 받으시고?] 이젠 두번채 다 묻구 사라봉 묻었다가 저 산이 가서 묻어주구. 군인 묻은 그 저 중지에 갔거든. 그리 갔어. [조사자 : 어디서 그 참전] 시에. 시. 우 리 시에. [조사자 : 아니 남편분이 어느 전쟁에서 돌아가셨어요?] 으 신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02월 06일

기초학문(9)

  • 석전일무의 상징적 의미와 얼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29525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용사학회 2008 석전일무의 상징적 의미와 얼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黜享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1921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8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黜享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국 〈제례(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하나, 게재일 : 2015
    62606 이하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5 한국 〈제례(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일본 근세 의 설립과 변천에 관한 일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종배, 게재일 : 2014
    62680 박종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교육사학회 2014 일본 근세 의 설립과 변천에 관한 일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民國期 上海 의 기능 변화와 ‘孔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문상, 게재일 : 2004
    04535 정문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4 民國期 上海 의 기능 변화와 ‘孔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28)

  • 前川千帆(1888-1960)
    작품명_원문文廟 | 게재일19170217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2-4
  • 報恩回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북도 보은군슈 신완씨가 부와학부에보고얏 본월일일 오젼십이시에의병이 본군향교 후록으로부터 도야일병을 습젹랴 져음에 일병이미리 그긔미를알고 관사후록으로 죳차가셔 반시간을 교젼야 의병이 퇴각후에 향교 대셩뎐과 동셔무에 불를노아 문션왕이하 모든 션현의 ...
    게재일1907년 9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13쪽 결락. 구례군중수기 김상익 22 구례군유림회규서 김상익 24 현관기문 (12) 이대영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0
  • 정만조 20 익산군여산중수기 성기운 21 통천군중수기 박기양 23 산청군명륜당중건상량...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 강릉중수낙성운(江陵重修落成韵) 최명태 35 강릉중수낙성운(江陵重修落成韵) 김연성 35 강릉중수낙성운(江陵重修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멀티미디어(58)

기타자료(7)

  • (보물 214호) 강릉 대성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보물 214호) 강릉 대성전 (보물 214호) 강릉 대성전 (보물 214호) 江陵 大成殿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 물 1)도자기류 2)기와류 / Ⅶ.맺음말 나주향교는 제향공간()를 앞에 배치하고 강학공간을 뒤로 배치한 전묘후학의 배치구조를 하고 있다. 본 조사는 강학 공간 안에 위치한 동‧서재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결과 모두 조선 초기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남도
  • 청주방송 송신탑 건립예정부지내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 우암산의 사방으로 통하는 계곡들에는 거의 예외없이 크고 작은 폐사지가 있는데 지금까지 대략 20여개소의 사지가 확인조사되었으며, 근래에 신축된 사찰들도 대부분 옛 절터에 중창된 경우가 많았다. 조선시대에 지방마다 설치되었던 ‧사직단‧여단‧성황사 가운데 관아를 중...
    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청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의정부 금오택지 개발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회를 섞은 명갈색의 사질토이다. 5호묘는 관을 쓰지 않고 토광을 판 후 직접 시신을 안치한 것으로 시신의 위아래에는 몇조각의 나무 잔재가 나왔는데 이는 관이라기 보다는 시신의 아래위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출토 유물은 많지 않다. 6기의 에서...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기흥 상갈지구 문화유적 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적이 분포할 것으로 추정되어 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대한주택공사측의 요청으로 한신대학교 박물관과 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시굴지역은 철거주택의 잔해와 이장 구덩이 등으로 어수선한 상태였으며 저지대의 논, 밭도 경작이 중단된...
    발행연도1998/02 | 발굴기관명지대학교 박물관/한신대학교 박물관/ 대한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6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공자를 받드는 묘우. 안자·증자·자사자·맹자를 배향하고 공문10철 및 송조6현과 우리 나라의 신라·고려·조선조의 명현 18현을 종사해 태학생들의 사표로 삼았다. 중앙에는 성균관, 지방에는 각 향교에 건치하고 있다. 조선조에서는 공자를 정위로 하여 4성과 공문10철, 송

  • 김인비 / 金仁 [예술·체육/서예]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신라의 장수 김인문의 묘비. 높이 63㎝, 너비 94.5㎝, 두께 18.4㎝.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화강암으로 만들었다. 비문은 26행이며, 자경(字徑)은 약 2.3㎝이다. 1931년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악서원

  • 서울 은행나무 / ─ 銀杏─ [과학/동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에 있는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59호. 이 은행나무는 1.5m 높이에서 두 개로 갈라진 다음 큰 줄기는 4m 정도에서 고사하고 그 자리에 맹아(萌芽: 식물의 새로 트는 싹)가 자라서 현재의 크기에 이르렀다. 밑에서 자란 7개의 맹아도 원

  • 김장생배향교지 / 金長生配享敎旨 [언론·출판/출판]

    1717년 문신·학자 김장생의 배향을 교명한 교지. 1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이 교지의 내용은 일종의 교서(敎書)에 해당하는데, 머리에 ‘敎贈領議政文元公金長生從祀書(교증영의정문원공김장생종사서)’라 하였고, 지키고 행하여야 할 교명(敎命)을

  • 작헌례친행시 관원별단 / 酌獻禮親行時 官員別單 [정치·법제]

    국왕이 와 계성사(啓聖祠)에 작헌례를 친행할 때 참여하는 관원의 구성을 보여주는 명단. 우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와 계성사를 구분, 전사관과 전작관 등으로 차출되는 임시관 직명과 인원수 등을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