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문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0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932)
사전(1,151)
- 문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학문하는 사람의 안부를 물을 때 쓰는 말. 恪詢秋淸 文祺燕超萬旺 頂祝區區, 이학래(李鶴來), 17-22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도장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서의 권리는 높은 값으로 매매되었고, 재산의 하나로서 양도 및 상속되기도 하였다. [내용] 도장문기의 내용에는 ① 문기의 작성 연월일, ② 도장권 매수자 성명, ③ 매도사유, ④ 장토의 소속과 소재지, 규모 및 전도장권 소유자, ⑤ 도장권 매도가격,...
- 노비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전기의 노비 관계문서로서는 분재기류(分財記類)로서 화회(和會)‧분깃[分衿]‧허여문기(許與文記) 등이 일부 전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임진왜란 이후의 것들이다. 현전하는 노비문기는 매매에 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노비의 매매는 토지나 가옥의 매...
- 문기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중률(仲律). 장흥 출신. 고려 강성군(江城君) 익점(益漸)의 후손이다. 어릴 때부터 남달리 무예에 뛰어나 자칭 장군이라 하였다. 1591년(선조 2...이칭별칭 중률(仲律)
- 문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法官史(大法院, 1975) 韓國辯護士史(大韓辯護士協會, 1979) 韓國法曹人大觀(法律新聞社, 1982) 문기선(1896-1969) 1896~1969. 법조인.이칭별칭 신재(愼齋)
단행본(12)
- 근현대 유학관련 신문기사 목록집 색인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1단계) | 전주대학교]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 근현대 유학관련 신문기사 목록집 1901년~1920년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1단계) | 전주대학교]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 근현대 유학관련 신문기사 목록집 1931년~1945년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1단계) | 전주대학교]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 근현대 유학관련 신문기사 목록집 1880년~1900년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1단계) | 전주대학교]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 근현대 유학관련 신문기사 목록집 1921년~1930년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1단계) | 전주대학교]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논문(1)
- 1434년 辛保安 妻 鄭氏 分財記 연구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저자 : 손계영 | 게재정보 : 영남학
고서·고문서(19,950)
- 매매문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806년(嘉慶11) 2월 16일에 홍성법이 요긴한용처가 있어 매득비 석난 및 노순삼 비순금, 노순철 및 그 후소생을 30량에 한생원댁에 방매하고서 관에 제출하였던 소지와 매매문기이다. 본 점연문기에 증인 高太旭과 筆執 金米顯의 초사와 관의 입안은 떨어져나갔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구문기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사료수집 및 편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신문기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신문기사 김 남자 경상남도 산청군 천진시(天津市) 何东区(하동구) 진당공로1호교 월아하 9 9 신문기사대표표제어신문기사 | 성씨김
- 신문기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신문기사 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확인 필요 3 2 신문기사대표표제어신문기사 | 성씨서
- 신문기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신문기사 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확인 필요 3 3 신문기사대표표제어신문기사 | 성씨서
구술자료(7)
- 나석호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최근 근황 및 선거 입문기 판사를 하게 된 이유 및 부정선거, 유권자들 반응 김대중과의 관계 사법부 파동 및 대정부 폭로 계파 갈등 및 본받을 정치인 성남 폭동 사건 및 내무장관 해임결의 정치 자금 관련사항 유신 전후 사정 및 유신헌법, 야당 계파 갈등유무 중앙당과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조통달 수궁가 완창판소리 공연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 수궁가 중 \'범피중류 만고수난날로두고이름이라\'라는 사설로 시작. \'토끼 놀아본다\', \'별주부 탄원 대목\'에서 끝남.B면 수궁가 중 \'세상 경개 대목\'에서 시작. \'마침 대목\'에서 끝남.관련 신문기사: *1985년 8월 31일 토요일 중앙국립국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통달
- 조통달 수궁가 완창판소리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수궁가 중 초앞 \'용왕득병 대목\'의 \'남행 용왕이 우연 득병하여\'에서 시작. \'별주부 마누라 대목\'에서 끝남.B면 수궁가 중 \'고고천변 대목\'에서 시작. \'자라 산신제 지냄 대목\', \'축문 대목 상천일월성신후토명산신령정지성\'에서 끝남.관련신문기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통달
- 김응학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권 이문기 별곡 굿거리 풍류 2000-08-25 인천광역시 33:52 00:00 A면 김응학 대담(00:00~27:47)1) 인천 향제 줄풍류 중 본영산/중영산(27:47) 잔영산(2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응학
- 민봉기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자문기관, 이북오도담당위원장, 민명기, 민병선, 백범 김구, 백인엽 장군, 이태호(이진호), 이계호, 안응모, 이종득, 전두환 대통령, 이수근, 심성보, 윤상현, 안형근, 유남수, 유승호, 김영호, 유경태, 김인영, 이재창, 김대중 대통령, 심정복, 방우섭, 유필우,구술자민봉기 | 직업제12대 황해도 도지사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78)
- 정보사회와 여성 전문기술인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47959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학회 2003 정보사회와 여성 전문기술인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공정성 개념에 대한 신문기자들의 인식차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동우, 게재일 : 201240422 정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곡언론문화재단 2012 공정성 개념에 대한 신문기자들의 인식차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신문기사를 통해 본 근대 일본의 육식 문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수성, 게재일 : 201553553 김수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일어일문학회 2015 신문기사를 통해 본 근대 일본의 육식 문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 百濟 栢嶺山城 출토 명문기와와 木簡의 서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환일, 게재일 : 200936871 손환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구결학회 2009 百濟 栢嶺山城 출토 명문기와와 木簡의 서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신문기사의 청소년 언어문화 재현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성, 게재일 : 201446334 김은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신문기사의 청소년 언어문화 재현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207)
- 難免其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국장 리용셰씨의 부인은 졍부에셔 엄금 관성뎨를 위고 비밀이긔도다가 슌검에게 현탈되야 작일에 피착엿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難免其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관찰가 부로 보고하기 평샨군수셔리 금쳔군수 김현가 일인의 치도비 륙십여냥을 셩표하야쥬고 모피 계교로 쳔단이 인쟝을보고 방자이 발하엿시니 당한일이라 엇지 죠쳐하랴 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선문기(禪門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기(禪門記) 禪門記 선문기 형태서지 禪門記 韓國 筆寫本 朝鮮末-近代 1冊 29.2x23.8 경남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無 한국의 사찰 문화...대표표제어선문기(禪門記) | 대표서명禪門記 | 한글서명선문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범망문기(梵網文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범망문기(梵網文記) 梵網文記 범망문기 유통서지 梵網文記 義寂法(師) 上下 八十枚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대표표제어범망문기(梵網文記) | 대표서명梵網文記 | 한글서명범망문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新聞記者政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국의 신졍부 신문긔쟈의 졍부라 지로다 대뎌 법국 졍부대신 십이인즁에 총리 대신이하 팔명이 모다신문긔쟈츌신인셔양인이양신문긔자를 지목야왈 면류관안이 쓰 님군이라 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97)
- 연세대학교(글로벌한국학연구소https://ycms.yonsei.ac.kr/igks/index.do)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본 강좌는 조선후기의 반역 사건을 그 심문기록을강좌제목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 강의자한승훈 교수
- 연세대학교(글로벌한국학연구소https://ycms.yonsei.ac.kr/igks/index.do)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본 강좌는 조선후기의 반역 사건을 그 심문기록을강좌제목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 강의자한승훈 교수
- 연세대학교(글로벌한국학연구소https://ycms.yonsei.ac.kr/igks/index.do)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본 강좌는 조선후기의 반역 사건을 그 심문기록을강좌제목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 강의자한승훈 교수
- 연세대학교(글로벌한국학연구소https://ycms.yonsei.ac.kr/igks/index.do)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본 강좌는 조선후기의 반역 사건을 그 심문기록을강좌제목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 강의자한승훈 교수
- 1962년 12월 5일 24시를 기하여 실시된 계엄령 해제와 이와 관련한 신문기사를 읽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12월 10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429)
- 윤문기;尹文麒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996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0면 윤문기;尹文麒 평남 中和;경성부 新村驛前 창천리 46 재학생 제2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은문기;殷汶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77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8면 은문기;殷汶基 제4회 1934년 3월 23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기;李文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82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8면 이문기;李文基 제4회 1934년 3월 23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기영;文琪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202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40면 문기영;文琪永 경남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본과 제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기석;文奇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661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4면 ㅁ1. 제1회(1931년 3월) 24명;ㅁ2) 특과 문기석;文奇錫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 수집 연구 -호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홍성덕 | 전주대학교 | 2015 | 국내 | 전북
-
한중 병렬 말뭉치 시범 구축을 토대로 한 번역 인재 양성 및 관련 연구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PIAO CHUNXIE | 서주공정대학교 (Xuzhou University of Technology) | 2023 | 국외
-
한국 근세의 자연관찰자들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노상호 | 이화여자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중국 동북지역 한국학 핵심기지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이염화 | 吉林師范大學 (Jilin Normal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
빈곤과 부유의 현대문화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여일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국내 | 경남
주제어사전(68)
-
문기 / 文記 [정치·법제/법제·행정]
문서의 한 종류로 주로 개인의 재산이나 권리에 관계되는 문서. 이러한 문기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문기는 대체로 재산관계, 자격의 획득 문제에 관한 것들로서 화회문기(和會文記)·분급문기(分給文記)·금급문기(衿給文記)·별급문기(別給文記)·허여문기(許與文
-
가옥문기 / 家屋文記 [생활/주생활]
저히 지켜지지는 않았다.특히, 조선 후기에 이르면 입안을 받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의 경우 당사자간에 새로 작성된 신문기(新文記)와 더불어 구문기(舊文記)를 넘겨주는 것으로써 매매가 이루어졌다. 문기에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밑에 매수인의 이름을 기재하게 된다. 문기의
-
공인문기 / 貢人文記 [역사/조선시대사]
여기에 납품하는 공물의 종류·수량과 공가도 상당하였다. 따라서, 공인으로서의 영업권은 비싼 값으로 매매되었다. 공인문기는 바로 공인으로서의 영업권을 매매하는 일종의 권리매매문서이다.
-
관서문기 / 官署文記 [정치·법제/법제·행정]
관에서 작성하여 서명한 문서. 1406년(태종 4) 6월에 노비상속에서의 관서문기 활용법을 처음 세웠다. 대소인원의 자식·수양자·시양자에게 허여 또는 증여되는 노비는 모두 소재 관사에 보고토록 하여, 관사에서 그 재주의 본의를 열고한 다음에 문안을 발급하여 주며,
-
김문기 / 金文起 [종교·철학/유학]
1399(정종 1)∼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김알지 후손, 아버지는 김관. 1426년(세종 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병조참의,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91년(정조 15)에 단종을 위해 충성을 바친 여러 신하들에게 ≪어정배식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