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묵재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34)
- 묵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종실록』 등 여러 실록에서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묵재집 / 홍언필 조선 중기의 문신 홍언필의 문집. 1935년 그의 후손 사철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묵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묵재집 조선 후기의 학자 양처제의 문집. 6권 2책. 석인본. 1959년 9세손 재윤이 편집, 간행하였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 묵재집
- 정묵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상일(李尙逸)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시 36수, 사(辭) 1편, 소(疏) 3편, 기(記) 2편, 설(說) 1편, 제문 7편, 권2는 상량문 1편, 행장 ...
- 홍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참형당하였다.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묵재집(默齋集)』이칭별칭 지정(持正)
- 홍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방목(國朝榜目)』 『점필재집(佔畢齋集)』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묵재집(默齋集)』 ...이칭별칭 온진(蘊珍)
고서·고문서(15)
- 묵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卷1 詩 過壯巖書院有感, 讀大學, 病中述懷, 族會次韻, 贈別權(大衡), 元日謹次栗亭從祖(堯錫)韻, 哭柳姑叔寓軒(世鳴), 留別安吉甫(日履), 默齋心語二絶(幷小序), 閑居偶吟, 與成士休景瑞士貢共賦, 次羅進道(學山)宋孝于韻, 送吳復初之茂長, 挽金文伯(斐然), 次斗巖立春韻,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一黙齋集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59 0626_01 一黙齋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金光斗, 一黙齋集, 一黙齋先生文集 한자 전적 WL223.JPG 목판본 金光斗 선장본 1935년 32.1 20.6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서울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에 풀려나와 고향에 돌아갔다. 이문건은 관직 생활을 할 때부터 자주 만나는 사이로, 그의 정자 ‘희환정’의 축성을 축하하는 시를 썼는데, 묵재집 권2에 수록되어 있다.가 다녀갔다. ○손인호(孫仁好)가 내방하고 갔다. 十一日癸亥, 晴。 十一日癸亥, 晴。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고향 성주로 내려와 주자의 呂氏鄕約을 보급․실천하는 데 힘썼다. 성주의 龜岡齋에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묵재와는 서로의 학문을 인정하며 가깝게 지내는 사이였다. 묵재일기 1553년 11월 29일자 일기에는 여우봉의 만장을 썼다고 하였는데, 묵재집...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서울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논계로 인하여 파직되었고, 1547년 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곤양에 유배되었다가 거제로 이배되어 거기서 죽었다. 묵재집에는 季晦에게 보낸 편지와 次韻한 시 등이 실려 있다. 이 다녀갔다. ○박귀손(朴貴孫)이 수중금원(守中金元) 80환(丸)에 계(桂)와 복령(茯苓)을...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2)
-
묵재집 / 默齋集 [종교·철학/유학]
김시화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권1에는 10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먼저 ‘묵재’라고 당호를 정한 까닭이 담긴 서문이 있고 김홍렬이 지은 「고시책」과 학사 김응조의 유훈을 받들어 「서악지」를 모방하여 지었다고 하는 「삼봉지」의 발문을 비롯하여 「
-
정묵재집 / 靜默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상일의 시·소·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시 36수, 사(辭) 1편, 소(疏) 3편, 기(記) 2편, 설(說) 1편, 제문 7편, 권2는 상량문 1편, 행장 1편, 권3은 부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