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묵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8)

  • 김계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년(숙종 32) 지방유생들이 그의 덕망을 추모하여 안동에 ()을 짓고 향사하였다. 1859년(철종 10)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헌(定獻)이다. 『성종실록(成宗實錄)』
    이칭별칭 취사(取斯)| 보백당(寶白堂)| 정헌(定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는 서원.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 1706년(숙종 32) 김계행과 옥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 및안동김씨묵계종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서원과 주택.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 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봉향(奉享)하기 위해
    연계항목묵계서원및안동김씨묵계종택(默溪書院및安東金氏默溪宗宅)
  • 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 뿐만 아니라, 총명한 자질로 학문에 힘써 명망이 높았다.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안동의 ()에 제향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이칭별칭 대수(待?)| 응계(凝溪)
  • 김용(金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운천집(雲川集)』‧ 『운천호종일기(雲川扈從日記)』등이 있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燃藜室記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

  • 1851년 안동(安東) 여강서원(廬江書院) 향회소(鄕會所)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통문은 에 합향하던 운천 김용의 위패를 후손들이 공의를 기다리지 않고 사사로이 모셔가려고 함에 후손들을 책벌하고 향후 방도를 강구하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안동의 은 응계 옥고(1382~1436)와 보백당 김계행(1431~1521), 그리고 운천 김용...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913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 묵계동(黙溪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 ‧ 오락[五樂, 오라기] 등이 있다. 문화 유적으로는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 만휴정(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등이 있다. 은 1706년(숙종 32)에 세워져 김계행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金聲根 등이 掌禮院에 올린 請願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所志類 金聲根 等 掌禮院 隆熙 3년(1909) 7월 27일 24.5 48.4 1 김계행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隆熙 3년(1909) 7월 27일에 金聲根 등이 掌禮院에 올린 請願書이다. 선조 보백당 선생을 모신 이 경북 안동에 있었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玉沽(1382~1436)가 安東의 에 배향되어 있어서 그 방목이 으로 전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면서 차후에 반드시 印出하여 살펴볼 것이라고 전하고 있다. 先祖祠堂記 7 조부로부터 이곳에 祠堂을 세우고 부친에 이르기까지 성심으로 경영하고 수리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는 서원. 1706년(숙종 32)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계행과 옥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훼철되기 전의 경내건물로는 묘우인 청덕사, 강당인 입교

  • 옥고 / 玉沽 [종교·철학/유학]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안동의 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