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토면세전”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자를 유토면세궁방전 혹은 영작궁둔(永作宮屯)이라 한 것과 대비된다. 유토면세전은 임진왜란 이후 주로 각 궁방이 입안절수(立案折受)의 형식으로 진황지(陳荒地)를 불하받거나 궁방의 사적인 대토지의 집적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은 단순히 민전(民田),...
  • 유토면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 또는 영작궁전(永作宮田)이라 했고, 후자의 수조지를 또는 원결궁둔전(元結宮屯田)이라 하였다. 7년에 걸친 임진‧정유의 왜란으로 우리 나라 국토는 참혹히 황폐해져 많은 농토가 황무지로 변하였다. 임진왜란 이전의 전국 경지가 150만∼170만 결이었던...
  • 병신정식(丙申定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신정식 병신정식 丙申定式 왕실재정(王室財政) 궁부일체(宮府一體), 궁방전(宮房田), 호조(戶曹), 출세(出稅), (), 도장(導掌), 궁차(宮差) 경제전제|왕실/왕실구성원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상위어왕실재정(王室財政) | 관련어궁부일체(宮府一體), 궁방전(宮房田), 호조(戶曹), 출세(出稅), 무토면세전(無土免稅田), 도장(導掌), 궁차(宮差)
  • 절수(折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우 절수는 궁방에 토지소유권을 부여한 것이지만, 정부가 수조지(收租地)를 궁방에 할급하여 절수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정부가 가졌던 일반 민전의 수조권을 궁방에 양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조선후기의 궁방전이 이른바 이었다. 궁방전...
    관련어입안(立案), 궁방전(宮房田), 직전법(職田法),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
  • 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요역을 경감해주는 혜택이 주어져 궁방에 민전이 투탁되었고, 이로써 은 확대되어 갔다. 궁방전의 운영은 왕실의 권력을 배경으로 강력한 지주권을 행사해, 궁방전 전호에 대한 처벌권‧차압권‧인신구속 등이 강제적으로 행해졌다. 궁방의 관리는 궁방 직속 관원인...

주제어사전(2)

  • / [경제·산업/경제]

    왕실이나 왕족의 지배하에 있는 단순한 수조지. 조선 후기의 궁방전은 왕실·대군·군·공주·옹주 등 왕족의 사유지와 이들 왕족의 지배하에 있는 수조지로 구분되었다. 전자를 유토면세궁방전 혹은 영작궁둔(永作宮屯)이라 한 것과 대비된다. 의 전주(田主)는 전세(田

  • 유토면세전 / 有土免稅田 [경제·산업/경제]

    조지를 또는 원결궁둔전(元結宮屯田)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