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체법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5)
- 무체법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설]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한 천도교서. 1책. 1910년 2월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 내원암(內院庵)에서 49일 동안의 수련을 마치고 발표했는데,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손병희의 글들은 대부분 짧고 체계화되지 않은 것이 많으나 이 ≪무체법경≫만은 체...
- 양한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다. 그 일로 붙잡혀 서대문감옥에서 옥사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동경연의(東經演義)』ㆍ『무체법경(無體法經)』이 있다.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김...이칭별칭 길중(吉仲)| 지강(芝江)
- 천도교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신‧독공‧성인지덕화‧천도와 유불선‧오도지삼황‧개벽운수‧부화부순‧부인수도‧향아설위‧용시용활‧삼경‧천어‧이심치심‧이천식천‧양천주‧내칙‧내수도문‧십무천‧임사실천 10개조‧명심수덕‧수도‧삼재‧포덕‧오도지운‧강서‧강시 기타 시문 등이다. 제3세 교주 법설은 무체법경‧후...
- 손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복역 중, 1년 8개월만에 병보석으로 풀려나 상춘원(常春園)에서 치료하였다. 논저로는 <수수명실록 授受明實錄>‧<도결 道訣>‧<명리전 明理傳>‧<천도태원설 天道太元說>‧<대종정의설 大宗正義說>‧<교(敎)의 신인시대(神人時代)>‧<무체법경 無體法經>‧<성심신...이칭별칭 소소거사(笑笑居士), 의암(義菴)
- 천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경 覺世眞經≫‧≪도결 道訣≫‧≪삼전론 三戰論≫‧≪천도태원경 天道太元經≫‧≪무체법경 無體法經≫ 등 한문체의 글과 <몽중문답가>‧<무하사>‧<권도문> 등 국문체의 글로 손병희의 저술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이다. 또한 1907년에 발행된 양한묵(梁漢默)의 ≪동경연의...
기초학문(1)
-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과 동학‧천도교의 수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0413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8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과 동학‧천도교의 수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6)
- 천도교회월보_1917_08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간 이종린 4 무체법경(역술 속) 8 숙천군교구 교리강론 안형주 11 무위이각(...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7_08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나천강 3 월보수일 김우범 5 무체법경(역술 속) 6 애기원왕불복지리 유재풍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7_08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감상 이종린 5 무체법경(역술 속) 7 성심이기 최석련 9 선출자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7_08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월당생 4 무체법경(역술 속) 5 오심즉여심 유재풍 8 이신설 김교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6_07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세계공상정신유상 이종린 1 만세계동포래청아성훈 유재풍 3 무체법경(번역 속) 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6
주제어사전(2)
-
무체법경 / 無體法經 [종교·철학/천도교]
1910년에 간행된 천도교의 수행법을 밝힌 책.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하고,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무체법경이란 말은 무체지례(無體之禮)라는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동학운동과 갑진개혁운동 등 사회운동에 치중하였던 천도교가 사회운동보다 종교적 수행에 치중하기 위
-
양한묵 / 梁漢默 [역사/근대사]
2시 인사동 태화관에 민족대표로 참석하여 만세삼창을 외친 뒤,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저서로 《동경연의》·《무체법경》이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