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위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37)
- 무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군영(軍營). [내용] 1881년(고종 18) 11월 종래의 5군영(五軍營)을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용호영(龍虎營)‧호위청(扈衛廳)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이칭별칭무위소(武衛所)
- 무위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말기에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정의조선 말기에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 문광부표기Muwiyeong | MR표기Muwi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무위영(武衛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위영 무위영 武衛營 무위소(武衛所), 양영제(兩營制), 용호영(龍虎營), 호위청(扈衛廳), 훈련도감(訓鍊都監)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개항기 개항기 박은숙 1881년 12월 25일 1...관련어무위소(武衛所), 양영제(兩營制), 용호영(龍虎營), 호위청(扈衛廳), 훈련도감(訓鍊都監)
- 강명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봉소(都捧所)에서 무위영(武衛營) 소속의 구 훈련도감 군병들에게 군료(軍料)를 지급할 때, 김춘영(金春永)‧유복만(柳卜萬) 등과 함께 선혜청고직(宣惠廳庫直)과 무위영영관(武衛營營官)을 구타하여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6월 9일 김장손(金長孫)‧유춘만...
- 도봉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2년(고종 19) 6월 무위영(武衛營) 소속 군병들이 일으킨 군란. [내용] 임오군란의 시발점이 되었다. 1881년 5군영(五軍營)이 무위영과 장어영(壯禦營)의 두 영으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군병들은 실직을 당하거나, 실직당하...
고서·고문서(16)
- 唐武德七年,始定均田賦稅。凡天下丁男十八以上者,給田一頃,篤疾ㆍ廢疾給四十畝,寡妻妾三十畝,若爲戶者,加二十畝。皆以二十畝爲永業,其餘爲口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10 經世遺表 卷六 ITKC_MP_0597A_1110_020_0060 唐武德七年,始定均田賦稅。凡天下丁男十八以上者,給田一頃,篤疾ㆍ廢疾給四十畝,寡妻妾三十畝,若爲戶者,加二十畝。皆以二十畝爲永業,其餘爲口分。 정약용(丁若鏞) 雜著類...권차명經世遺表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912)를 戶曹判書로 삼고 同日 武衛營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을 회복하여 그를 訓鍊大將 겸 宣惠廳堂上으로 삼는다는 내용으로 『李熹公事歷譯本』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茂根爲守門將, 羅鵬南爲加德僉使, 吳致永爲忠淸水虞候, 洪在喆爲都摠管, 沈沃爲五衛將, 金大彦·李枝茂爲景福將, 魚在中爲慶熙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소정방의 고구려 원정과 퇴각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숙위와 기사(騎射) 부대를 담당하였다. 16위는 한(漢)대에 설치된 무위영(武衛營)을 기원으로 하는데, 수(隋)대에 좌·우위영 등으로 세분되었고 이후 16개의 위(衛)로 정착되었다. 각 위(衛)에는 상장군(上將軍), 대장군(大將軍), 장군(將軍)을 지휘관으로 두었고 당...권차『冊府元龜』 卷438 將帥部 無功 | 연도663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당나라의 소정방이 고구려 정벌을 위해 평양성 아래에서 주둔하였으나 고구려가 항복하지 않아 퇴각한 사실을 전한다.
- 冠 五 【纓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r/inLink?DCI=ITKC_MP_0597A_0840_020_0060_2015_019_XML 019 “斬衰,冠繩纓。【節】 疏衰,冠布纓。” 【喪服】 賈曰:“繩纓,不用苴麻,用枲麻。【節】布纓,亦以一條爲武,垂下爲纓。” ○鏞案 以武爲纓之謬,已見前。 〈喪服四制〉 曰:“父...권차명喪禮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4)
-
무위영 / 武衛營 [역사/근대사]
1881년 왕궁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영. 1881년 11월 종래의 5군영을 무위영과 장어영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 용호영, 호위청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였다. 무위영은 1874년 4월에 설치되었던 무위소의 연장으로, 왕궁을 지키는 친군 내지
-
도봉소사건 / 都捧所事件 [역사/근대사]
1882년 6월 무위영(武衛營) 소속 군병들이 일으킨 군란. 도봉소사건은 정부의 개화정책 일환으로 군제개편이 단행되면서 구조적으로 소외된 구 5군영 소속 군병들의 불만이 집약되어 일어난 것으로, 임오군란의 발단이 되었다.
-
무위소 / 武衛所 [역사/근대사]
관원을 무위소에 소속시켜 무위소는 궁궐숙위뿐만 아니라 수도방위업무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1881년 무위영으로 개칭되었다.
-
별기군 / 別技軍 [역사/근대사]
1881년에 설치된 신식 군대. 강병책의 일환으로 오군문(五軍門)으로부터 신체가 강건한 지원자 80여 명을 특별히 선발하여 무위영에 소속시켰다. 이를 별기대(別技隊) 또는 별기군이라 하였고, 일본인 교관에 의해 훈련된다 하여 왜별기(倭別技)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