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위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31)
- 무위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500명을 새로 뽑아 훈련도감 지휘하에 1회 100명씩 5교대로 궁중숙위를 담당하게 하였다. 그 해 6월 20일 무위소를 창설하여 이의 책임자를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라고 하고, 조영하(趙寧夏)를 이에 임명하여 숙위군을 지휘, 감독하게 하였다....이칭별칭무위영(武衛營)
- 무위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정의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 문광부표기Muwiso | MR표기Muwi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무위소(武衛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위소 무위소 武衛所 무예청(武藝廳),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무위영(武衛營), 파수군(把守軍)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개항기 개항기 박은숙 1874년 6월 1881년 12월 ...관련어무예청(武藝廳),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무위영(武衛營), 파수군(把守軍)
- 별선군관(別選軍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선군관 별선군관 別選軍官 무위소(武衛所),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정치군사·국방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고종 김종수 [정의] 조선 고종 때에 무위소(武衛所)에 소속된 군관. [내용] ...관련어무위소(武衛所),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 민영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조참판에 임명되었으며, 1869년 사헌부대사헌에 제수되었다. 1875년 함경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가 곧바로 강원도관찰사 이회정(李會正)과 상환(相換)되었다. 1880년 무위소(武衛所)의 계에 의하여 평안감사직이 삭탈될 뻔하였으나 왕의 특명으로 사면되었다. 그뒤 1883...이칭별칭 석경(碩經)| 충문(忠文)
고서·고문서(63)
- 무위소소관가산둔각항회계성책(武衛所所管嘉山屯各項會計成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회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무위소소영용강함종소재적동둔상납기(武衛所所營龍崗咸從所在赤垌屯上納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子謂子夏曰:“女爲君子儒,無爲小人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70 論語古今注 卷三 ITKC_MP_0597A_0370_010_0100 子謂子夏曰:“女爲君子儒,無爲小人儒。”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721 B01672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7月 6日_007 ○司僕寺啓曰, 濟州出來後運三名曰, 進上馬六十匹, 差備進上馬八十匹, 歲貢馬二百匹, 凶咎駑駘馬二十匹, 武衛所別卜定馬四十匹, 合四百匹內, 二十匹, 中路故失, 二十匹, 水原府別驍士, 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744 B01674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5年 8月 27日_013 ○趙濟華, 以司僕寺一二提調意啓曰, 濟州出來後運歲貢馬二百匹, 武衛所別卜定馬二十匹, 合二百二十匹內, 七匹中路故失, 十匹水原府別驍士, 五匹江華府別驍士, 二十匹武衛所, 二十六匹訓鍊都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경학원잡지_1916_0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강설-박학어문약지이례(博學於文約之以禮) 이용직 56 67쪽부터 다른 기사임. 파일분절해야함. 강설-여위군자유무위소인유(女爲君子儒無爲小人儒), 이용직, 67쪽.(73쪽까지) 강설-선양오호연지기(善養吾浩然之氣)...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6
주제어사전(3)
-
무위소 / 武衛所 [역사/근대사]
관원을 무위소에 소속시켜 무위소는 궁궐숙위뿐만 아니라 수도방위업무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1881년 무위영으로 개칭되었다.
-
무위영 / 武衛營 [역사/근대사]
1881년 왕궁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영. 1881년 11월 종래의 5군영을 무위영과 장어영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 용호영, 호위청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였다. 무위영은 1874년 4월에 설치되었던 무위소의 연장으로, 왕궁을 지키는 친군 내지
-
포삼이정절목 / 包蔘釐正節目 [경제·산업/산업]
1881년(고종 18) 윤 7월 무위소(武衛所)에서 인삼의 수세에 관해 제정한 절목. 인삼에 대한 과세액을 줄이는 동시 세수액의 배분을 줄여 수세에 따른 각종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서 제정한 절목이다. 절목 제1항은 세금의 책정과 수세액의 배분, 제2항은 본래의 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