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예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27)
- 무예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을 호위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武官)의 관서. [내용] 무예청(武藝廳)이라고도 한다. 1630년(인조 8) 30인의 정원으로 설치하여 훈련도감(訓鍊都監)에 예속되었으며, 훈국마(訓局馬)‧보군(步軍)‧별기군(別技軍) 중에서 인원...이칭별칭무예청(武藝廳)
- 무예별감(武藝別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예별감 무예별감 武藝別監 무감(武監) 거동(擧動), 궁궐(宮闕), 근장군(近仗軍), 금군(禁軍), 금례(禁隷), 금병(禁兵), 무예통장(武藝統長), 시위군(侍衛軍), 액속(掖屬), 행행(幸行), 협련군(挾輦軍), 협여군(挾輿軍),동의어무감(武監) | 관련어거동(擧動), 궁궐(宮闕), 근장군(近仗軍), 금군(禁軍), 금례(禁隷), 금병(禁兵), 무예통장(武藝統長), 시위군(侍衛軍), 액속(掖屬), 행행(幸行), 협련군(挾輦軍), 협여군(挾輿軍), 호련대(扈輦隊), 호위무사(扈衛武士), 훈국(訓局), 훈련도감(訓鍊都監)
- 별기군(別技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기군 별기군 別技軍 무예별감(武藝別監) 교련병대(敎鍊兵隊)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조선 조선 노영구 훈련도감(訓鍊都監) [정의] 조선후기 훈련도감에 속한 정예 군병.동의어무예별감(武藝別監) | 관련어교련병대(敎鍊兵隊)
- 금병(禁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병 금병 禁兵 금군(禁軍), 시위(侍衛), 호위(扈衛), 숙위(宿衛), 수문(守門), 갑사(甲士), 무예별감(武藝別監), 내시위(內侍衛),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겸사복(兼司僕), 내사복(內司僕), 궁궐, 군영(軍營)...관련어금군(禁軍), 시위(侍衛), 호위(扈衛), 숙위(宿衛), 수문(守門), 갑사(甲士), 무예별감(武藝別監), 내시위(內侍衛),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겸사복(兼司僕), 내사복(內司僕), 궁궐, 군영(軍營)
- 무예청(武藝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예청 무예청 武藝廳 거둥[擧動], 경호(警護), 궁궐(宮闕), 금군(禁軍), 금병(禁兵), 무감(武監), 무예별감(武藝別監), 시위군(侍衛軍), 호위무사(扈衛武士), 훈련도감(訓鍊都監), 협연군(挾輦軍), 행행(幸行) 정치군사...관련어거둥[擧動], 경호(警護), 궁궐(宮闕), 금군(禁軍), 금병(禁兵), 무감(武監), 무예별감(武藝別監), 시위군(侍衛軍), 호위무사(扈衛武士), 훈련도감(訓鍊都監), 협연군(挾輦軍), 행행(幸行)
고서·고문서(10)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3017B05301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憲宗 7年 9月 13日_014 ○以統長韓興周手本, 武藝別監崔應植貢房作弊, 萬萬痛駭, 令攸司科治事, 傳于申錫愚曰, 嚴刑島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671 B023671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5年 6月 26日_024 ○徐有榘, 以刑曹言啓曰, 因訓鍊都監啓辭, 武藝別監崔興曄, 依庚子年例, 決棍後移送刑曹, 絶島充軍可也事, 命下矣。 依下敎, 崔興曄全羅道康津縣古今島充軍定配, 卽爲押送之意, 敢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820 B01582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4年 3月 10日_021 親騎衛車聖輪·朴繼先, 訓局哨軍李白五·王再龍, 訓局砲手金別宅, 別武士洪允浩, 馬兵金錫邦, 選武軍官白宗繪, 武藝別監曺福得等九人遭故, 依法典陳試, 慶尙左兵營別騎衛金有績, 北兵營親騎衛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幷捉手本中武藝別監, 刑配絶島。 又有曺郁邦、鄭德淳等十餘漢, 詬辱捕將, 手犯從事官, 臺臣請施一律, 因秋曹究覈草記, 亦命島配。 左議政金載瓚箚, 略曰:○谷山之獄, 纔已勘奏矣。 與谷山同時幷發, 而不啻更浮於谷山者, 卽武藝別監之變也。 以禁掖宿衛之隷, 衣紫戴黃, 閤門肆喧, 敢稱控...출처전거純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840 B03484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7年 6月 2日_021 ○尹勉升, 以刑曹言啓曰, 因武藝別監吳興良毆打罪人, 金尙洽等勘律草記, 元犯兩人, 待?限加刑一次, 海島或邊遠, 限己身爲奴, 其餘干連諸人, 亦於?限後決杖, 遠地勿限年分配事, 命下矣。 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下詢安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상폐하게압셔 무예별감을 의친왕뎐하 필동 신궁에 일 이식보샤 안부를 하슌압신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妓家餘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감옥셔슌검 오경근이 무예별감 셔한슌등 인으로 더부러 언어기에집에셔 상힐이되야 셔로구타일로 대에셔 통쵹이되압셔무감등이모다졔가되얏 재작일야에 쥬뎐원춍슌이 칙교를봉승야 경무쳥으로 뎐화고 슌검의게 샤실야 한파면케라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
-
무예별감 / 武藝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을 호위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의 관서. 1630년(인조 8) 30인의 정원으로 설치하여 훈련도감에 예속되었으며, 훈국마·보군·별기군 중에서 인원을 차출하여 1802년(순조 2) 198인의 인원이 있었다. 남여무예청(藍輿武藝廳)이 19인, 구후무예청(九帿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