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신정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
사전(148)
- 순주귀화소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87년(명종 17) 순주(順州 : 지금의 평안남도 순천)에서 일어난 반란. [내용] 1170년(의종 24) 무신정권이 성립되어 정중부(鄭仲夫)ㆍ경대승(慶大升)을 거쳐 이의민(李義旼)이 정권을 잡은 뒤에도 위정...
- 무신정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무신들에 의해 문‧무 제반의 정치권력이 행사되던 시기의 특수한 형태의 정권. [내용] 1170년(의종 24)부터 1270년(원종 11)까지의 시기에 걸쳐 존속되었다. 무신정권의 성립은 1170년 정중부(鄭仲夫) 등에
- 손청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76년(명종 6) 손청이 가야산(伽耶山 :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소재)을 중심으로 일으킨 반란. [내용] 1170년(의종 24)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신분질서의 해이와 하극상 풍조 등으로 사회적으로 동요가
- 개경승도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무신정권에 불만을 품은 승려들이 개경에서 일으킨 반란. [개설] 고려의 불교는 왕실 및 문신귀족들의 보호와 지원 밑에서 융성하였다. 그러다가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이들이 무력해지고 무신집권자들의 횡포가 심해지자, 무신정권에 반...
- 교정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무신집권 하의 최고 권력기관. [내용] 일명 교정소(敎定所)라고도 한다. 1209년(희종 5) 4월, 최충헌(崔忠獻) 부자의 살해를 모의한 청교역(靑郊驛 : 경기도 개풍군)의 역리와 승도 등을 수색‧처벌하기 ...이칭별칭교정소
고서·고문서(4)
- 1262년 유경(柳璥) 상서도관첩(尙書都官貼)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262년(원종 3) 6월에 상서도관에서 위사공신 첨서추밀원사유경에게 노비 10구를 지급하는 문서이다. 원문서는 전하지 않고 『문화유씨가정보』)에 수록되어 있다. 위사공신이란 고려시대 최씨무신정권을 몰락시킨 사람들에게 내린 공신칭호이다. 위사공신들은 원래 최충헌의 휘...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명령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명령서
- 1216년 혜심(慧諶)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합격하기도 하였으나, 불가에 입문한 이후로는 불도에 정진하여 지눌을 이어 선종을 널리 알리는데 공력이 있었다. 최씨무신정권과의 친분과 여러 정치적인 이유로 승과를 거치지 않고 승계의 최고직인 대선사에 임명되었는데, 승과를 거치지 않고 대선사에 임명된 사람은 혜심이 처음...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순천 송광사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라는 평이 전한다.이 지었다. 『이상국전후집』 몇 십 권. 문순공 이규보 이규보(1168~1241). 고려 무신정권기의 문신. 초명은 仁氐이고 자는 春卿이며 호는 白雲居士이다. 『이상국전후집』은 현재는 『동국이상국집』으로 알려져 있다. 가 지었다. 성용재(성현)이...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 경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최충헌으로 이어지는 무신정권이 권력을 잡기 위해 알력과 투쟁을 벌였고, 또 8대 80여년간은 원의 지배를 받은 치욕적인 세월을 보내기도 하였으며, 마지막 공양왕때 와서 500년 사적을 마무리한다. 고려역사에 대해 저자는 功烈이 前代보다 뛰어남이 있으나 閨門이 바르지 못...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2)
- 무신정권기 정안임씨 임유계의 혼인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수정, 게재일 : 200613520 신수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6 무신정권기 정안임씨 임유계의 혼인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고려 무신정권기 교정도감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재우, 게재일 : 201561169 박재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15 고려 무신정권기 교정도감에 대한 새로운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5
멀티미디어(60)
-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사의 수도를 동서양의 전통적 도시·수도와 비교·검토하고, 답사에 활용할 수 있다. 1주차. 고구려,백제의 수도 2주차. 신라의 왕경과 발해의 왕경 3주차. 고려 초중기 중세도시,개경(開京) 4주차. 고려왕실과 무신정권의 전시수도 강강좌제목한국사의 수도 | 강의자윤성호 김창현 박은숙
-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사의 수도를 동서양의 전통적 도시·수도와 비교·검토하고, 답사에 활용할 수 있다. 1주차. 고구려,백제의 수도 2주차. 신라의 왕경과 발해의 왕경 3주차. 고려 초중기 중세도시,개경(開京) 4주차. 고려왕실과 무신정권의 전시수도 강강좌제목한국사의 수도 | 강의자윤성호 김창현 박은숙
-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사의 수도를 동서양의 전통적 도시·수도와 비교·검토하고, 답사에 활용할 수 있다. 1주차. 고구려,백제의 수도 2주차. 신라의 왕경과 발해의 왕경 3주차. 고려 초중기 중세도시,개경(開京) 4주차. 고려왕실과 무신정권의 전시수도 강강좌제목한국사의 수도 | 강의자윤성호 김창현 박은숙
-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사의 수도를 동서양의 전통적 도시·수도와 비교·검토하고, 답사에 활용할 수 있다. 1주차. 고구려,백제의 수도 2주차. 신라의 왕경과 발해의 왕경 3주차. 고려 초중기 중세도시,개경(開京) 4주차. 고려왕실과 무신정권의 전시수도 강강좌제목한국사의 수도 | 강의자윤성호 김창현 박은숙
-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사의 수도를 동서양의 전통적 도시·수도와 비교·검토하고, 답사에 활용할 수 있다. 1주차. 고구려,백제의 수도 2주차. 신라의 왕경과 발해의 왕경 3주차. 고려 초중기 중세도시,개경(開京) 4주차. 고려왕실과 무신정권의 전시수도 강강좌제목한국사의 수도 | 강의자윤성호 김창현 박은숙
기타자료(2)
- 진도 용장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전에 건축된 것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사찰의 기능을 가졌으나 후대에 삼별초가 들어와 궁지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용장성 건물지의 건축은 위에서 본 특성으로 보아 고려 무신정권이 등장하면서 그 영향하에서 건축된 건물로 보인다. 한편 출토된 유물들을 종합해보면...발행연도1990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진도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 고달사지 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계[6기 가람]: 13세기 전엽~폐사 무신정권의 성립과 선종의 발흥으로 천태종이 위축된 시기이다. 이는 바로 고달사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없어졌음을 상징하며, 더 나아가 고달사가 지방사원으로 전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런 사격의 위축은 당연히 사역과 유물조합...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여주군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8)
-
무신정권 / 武臣政權 [역사/고려시대사]
고려 후기 무신들에 의해 문·무 제반의 정치권력이 행사되던 시기의 특수한 형태의 정권. 1170년(의종 24)부터 1270년(원종 11)까지의 시기에 걸쳐 존속되었다. 무신정권의 성립은 1170년 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한 무신란에서 비롯되었다.
-
서방 / 書房 [정치·법제/국방]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된 숙위기관. 1227년(고종 14) 최우에 의해 설치되었다. 설치목적은 문사를 우대하는 뜻도 있었지만, 그것보다 고사에 밝고 식견이 높은 문사를 고문에 등용함으로써 정치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결국, 서방의 설치는 최씨정권의 강화책에 있었던 것
-
좌별초 / 左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되었던 사병. 최이(崔怡) 집권기에 도둑 소탕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야별초의 수가 점차 많아지자 후에 좌·우별초로 분리되었다. 여기에 대몽항쟁 과정에서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 온 자들로 편성된 신의군(神義軍)을 합하여 흔히 삼별초라 불렀는데,
-
도방 / 都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 경대승이 1179년(명종 9) 정중부 일파를 살해하자, 일부 무신들은 적의를 품게 되었다. 이에 경대승은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도방
-
죽림고회 / 竹林高會 [문학/한문학]
고려 무신정권 때 이인로(李仁老)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문인들의 모임. 이 시회(詩會)는 정중부(鄭仲夫)의 무신집권기에 이인로(李仁老)·임춘(林椿)·오세재(吳世才)·조통(趙通)·황보 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문인이 구성하였다. 중국 위(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