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수전패”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확대한다는 취지 아래 이들이 보유한 토지의 다소에 따라 5결 또는 10결의 군전을 지급하였다. 그리고 말[馬]을 갖추고 삼군도총부(三軍都摠府)에 유숙하면서 서울의 시위에 종사하게 하였다. 반면 는 수전패와 동일한 조건에 있으면서도 1391년 이후 군전이...
  • 호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있었다. 그래서 조정에서는 수전패(受田牌)‧()로 나누어 부경시위(赴京侍衛)를 책임지워 중앙집권적 통제를 가하여왔는데, 이것을 하나로 묶어 1459년(세조 5) 호익위로 조직한 것이다. 즉, 그해 3월 충청도‧전라도‧경상도 순문진휼사(...
  • 수전패(受田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전패 수전패 受田牌 () 정치군사·국방/편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초기에 군전이나 과전을 받고 서울에서 시위(侍衛) 근무를 담당하던 군인. [내용] ...
    관련어무수전패(無受田牌)
  • 점열(點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책하였다. [용례] 黃海道觀察使啓 今新置海州鎭 其鎭軍三百人 分定于州郡 然本無閑役人 難以充定 但春秋點閱而已 無他軍役 請簽爲鎭軍[『세종실록』 3년 2월 23일] 『대전회통(大典會通)』
    관련어검열(檢閱)
  • 수전패(受田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전패 수전패 受田牌 경군역(京軍役) 시위(侍衛), 시위패(侍衛牌), (), 군전(軍田) 경제재정/전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전기 강제훈 1392(태조 원년)~1466(세조 12)...
    상위어경군역(京軍役) | 관련어시위(侍衛), 시위패(侍衛牌), 무수전패(無受田牌), 군전(軍田)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고려 말·조선 초 부경시위의 역은 담당하나 군전은 없이 녹봉만 지급된 군대. 는 녹봉만의 지급에 그치는 군대였다. 이후 는 열악한 대우와 정치 안정, 별시위와 갑사 등의 설치로 인한 효용의 결여와 더불어 1427년(세종 9)까지는 귀속처가 불명한 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