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속신화” 에 대한 검색결과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

사전(37)

  • 살풀이굿무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녀들을 시켜 조사를 하여 내막을 모두 알아내고 구슬부인이 낳은 아들들은 하늘로 데려오고, 매일부인에게는 서른여섯 가지의 살(煞)을 매겨 놓고 그 아들에게는 홍역살을 매겨 놓는다. 이 무가는 살풀이의 내력을 이야기한 라고 볼 수 있는데, 전실 아들을 해치...
  • 제석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라는 특징이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큰굿 열두거리 중 셋째 거리(오산)나 다섯째 거리(서울)에서 제석거리가 행하여진다. 무녀는 노란색 대신 복에 흰 장삼을 겹쳐 입고 고깔을 쓰고 염주를 걸고 방울부채를 들고 등장하여, 먼저 제석신의 유래담인 <당금아기>...
  • 영등본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주도 지역의 . [개설] 음력 2월 초하루에 제주도에 들어와 바닷가를 돌면서 미역‧전복‧소라 등 해녀 채취물의 씨를 뿌려 풍요를 주고, 어업과 농업에까지 도움을 준 뒤, 2월 15일에 떠나간다는 영등신의 내력담이다....
  • 안택굿무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가로 수용되어 성주굿에서 구연되는 이유는 이야기의 신비한 보응이 많은 사람을 감동시키는 공감소로 작용하였고, 가정의 행복은 효행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인 서사무가는 무속적 제전에서 형성된 고유의 자료와 설화나 불경 등에서 무가로 이입...
    이칭별칭성주알림
  • 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로는 흔히 고조선‧신라‧고구려‧백제 및 가락의 이른바 건국신화 또는 시조신화를 으뜸으로 꼽아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까지 전해지는 것으로는 각 성씨의 시조신화인 씨족신화와 여러 마을의 수호신에 관한 마을신화, 그리고 무당사회에 전승된 등을 들 수 있다.

논문(2)

구술자료(1)

  • 나쁜 사람을 물리치는 주술 타소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리는 무당, 그 하면서 얘기했잖아요. 이분들은 미래를 예언하거나 그런 거는 아닌 거죠? 그냥.] 아니에요. [조사자1: 오케이, 딱 요 일만 멋있다.] 일만 하는. 예전에는 유행했을 때 진짜 거기 막 사람들 꽉 차서 그렇게 하려고 많이 해요. 그 분들이 해주는
    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제주도 에 나타난 인물의 기능과 구술적 특징 ­〈사만이본풀이〉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복순, 게재일 : 2013
    51536 권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13 제주도 에 나타난 인물의 기능과 구술적 특징 ­〈사만이본풀이〉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멀티미디어(59)

  • 바리데기, 한국의 _7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아있는신화임을밝히는것을목표로삼는다. 1주차. 한국신화의 개념과 유형 2주차. 한국의 창세신화 3주차. 한국의 홍수신화 4주차. 천지단절신화의 상상력 5주차. 시조신화와 한국의 건국신화 6주차. 단군신화, 그 천의 얼굴 7주차. 바리데기, 한국의 8주차. 오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바리데기, 한국의 _7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아있는신화임을밝히는것을목표로삼는다. 1주차. 한국신화의 개념과 유형 2주차. 한국의 창세신화 3주차. 한국의 홍수신화 4주차. 천지단절신화의 상상력 5주차. 시조신화와 한국의 건국신화 6주차. 단군신화, 그 천의 얼굴 7주차. 바리데기, 한국의 8주차. 오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바리데기, 한국의 _7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아있는신화임을밝히는것을목표로삼는다. 1주차. 한국신화의 개념과 유형 2주차. 한국의 창세신화 3주차. 한국의 홍수신화 4주차. 천지단절신화의 상상력 5주차. 시조신화와 한국의 건국신화 6주차. 단군신화, 그 천의 얼굴 7주차. 바리데기, 한국의 8주차. 오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바리데기, 한국의 _7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아있는신화임을밝히는것을목표로삼는다. 1주차. 한국신화의 개념과 유형 2주차. 한국의 창세신화 3주차. 한국의 홍수신화 4주차. 천지단절신화의 상상력 5주차. 시조신화와 한국의 건국신화 6주차. 단군신화, 그 천의 얼굴 7주차. 바리데기, 한국의 8주차. 오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바리데기, 한국의 _7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아있는신화임을밝히는것을목표로삼는다. 1주차. 한국신화의 개념과 유형 2주차. 한국의 창세신화 3주차. 한국의 홍수신화 4주차. 천지단절신화의 상상력 5주차. 시조신화와 한국의 건국신화 6주차. 단군신화, 그 천의 얼굴 7주차. 바리데기, 한국의 8주차. 오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주제어사전(11)

  • / [문학/구비문학]

    무속신에 관련된 구전신화. 는 무속의례인 굿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독자적으로 신화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신을 위하는 구체적인 굿거리의 절차에서 이러한 신들의 내력이 구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가 불려지는 굿거리의 절차를 보게 되면

  • 영등본풀이 /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 음력 2월 초하루에 제주도에 들어와 바닷가를 돌면서 미역·전복·소라 등 해녀 채취물의 씨를 뿌려 풍요를 주고, 어업과 농업에까지 도움을 준 뒤, 2월 15일에 떠나간다는 영등신의 내력담이다. 영등신에 대한 굿은 마을에 따라 2월 초하루에 영등

  • 살풀이굿무가 / 煞─巫歌 [문학/구비문학]

    풀이의 내력을 이야기한 라고 볼 수 있는데, 전실 아들을 해치려는 후실의 악을 징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실 아들과 후실의 갈등을 담은 는 호남 지역에서 전승되는 「칠성풀이」 또는 「칠성본풀이」,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문전본풀이」 등이 있는데, 모두

  • 셍굿무가 / ─巫歌 [문학/구비문학]

    기원 신화, ④는 불승 기원 신화, ⑤는 에밀레종 유래와 같은 종(鐘)의 기원 설화, ⑥은 장자못 전설, ⑦은 제석본풀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이야기가 로 용해되어 있다는 점에서 「셍굿무가」는 의 성격이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도랑선배청정각씨노래 /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26년함경남도 홍원군에서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이 무가는 한 여인의 지극한 정성과 사랑이 하늘을 감동시켰다는 것으로서, 부부 애정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는 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