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선사”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5년(태종 5) 1월 병조가 격상되어 장관인 판서가 정2품으로 고정될 때, 상서사에서 무관에 대한 인사 행정을 이양받고 속사제도 마련됨에 따라 의 성립을 보게 되었다. 이 때의 체제가 그대로 『경국대전』에 오르게 되었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의 직...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색(政色) 병조(兵曹)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405년(태종 5) 1785년(정조 9) 이전 병조(兵曹) [정의] 조선시대 무관
    동의어정색(政色) | 관련어병조(兵曹)
  • 정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병조 소속의 관서. [내용] 조선 초기 이래 ()라 하던 것이 정조연간에 정색으로 개칭되었다. 그 기능은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 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文) 낭관은 고관회의에서 관리를 선발할 때 실무관으로 배석하여 피천자(被薦者 : 낭관으로 추천된 자)의 명단을 기록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이 때 낭관이 불만이 있을 경우 추천되어 올린 명단에 기록하지 않는 권한이 있었다. 『...
    이칭별칭조랑(曹郎)
  • 무과총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임인묵(林仁默)이 지은 무과에 관한 법규‧시행세칙‧시행내용 등을 수록한 책. [내용] 3권 3책. 필사본. 임인묵은 병조의 속아문(屬衙門)인 ()의 관리를 지냈는데, 책머리에 1810년(순조 10)에 쓴 병조판서...

고서·고문서(15)

  • 壁觀顧虎頭滄洲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460 玄壁觀顧虎頭滄洲畵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古林淸拾遺偈頌_古林淸拾遺偈頌 刊古林和尙拾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6639 일본 기타 古林淸拾遺偈頌 552 충목왕(忠穆王) 1 1345 7 古林淸拾遺偈頌 刊古林和尙拾遺偈頌緖 嗣法比丘 梵僊 述 小師海壽侍者 一日携巨冊 謂余日 昨有如聞上座者 欲南詢 乃附舶而去 飄風至耽羅舶破之 逗留高麗 高麗人問其...
    국가일본 | 서명古林淸茂禪師拾遺偈頌 | 왕대충목왕(忠穆王)  1
  • 以愚濫之人, 到處剝割, 惟, 人言藉藉, 莫不唾罵, 臣等亦豈無所聞而然也? 今日之歷數善事武夫, 以緝爲之首, 物論之深惡者, 久矣。 今又差遣利窟, 使肆其手段, 則海外之民, 又何罪焉? 彈壓海邦, 蘇復疲民之責, 決不可付諸此人, 請命罷職不敍。 以上朝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愚濫之人, 到處剝割, 惟, 人言藉藉, 莫不唾罵, 臣等亦豈無所聞而然也? 今日之歷數善事武夫, 以緝爲之首, 物論之深惡者, 久矣。 今又差遣利窟, 使肆其手段, 則海外之民, 又何罪焉? 彈壓海邦, 蘇復疲民之責, 決不可付諸此人, 請命罷職不敍。 以上朝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방송국, 사심, 도움, 소식, 작년, 동생, 편지, 주소, 매일, 조국, 조카, 목소리, 세상, 생각, 동포, 무한, 주소, 업, 세째형님, 별세, 가족, 누님, 생존, 상세, 형편
    대표표제어새해인사 | 성씨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품으로 고정될 때, 상서사에서 무관에 대한 인사 행정을 이양받고 속사제도 마련됨에 따라 의 성립을 보게 되었다. ≪경국대전≫에 그대로 오르게 되었다.

  • 정색 / 政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병조 소속의 관서 . 조선 초기 이래 라 하던 것이 정조연간에 정색으로 개칭되었다. 기능은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그에 따른 부수업무로 임명사령장인 고신의 발급과, 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