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비사” 에 대한 검색결과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태종 5) 1월 병조가 정2품 아문으로 격상되면서 같은 해 3월 세 개의 속사를 아래에 두게 되었다. 이 때 도 설치되어, 뒷날 『경국대전』에 오르게 되었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의 직무는 군적‧마적(馬籍), 병기‧전함(戰艦), 점열군사(點閱軍士...
  • 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직 종사자, 2품 이상 고관들의 수행원, 각 궁방의 관리인, 공물납품업자 등에게 발급, 사용되었다. 해마다 사용하는 신부의 종류가 달랐는데, 매년 연말 병조 ()에서 새로운 것을 제작하여 각 궁전‧관서‧단체 등에 배부하였다. 형태는 초기에는 정사각형‧...
  • 한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제작되어 궐내 각처에 배부되었는데, 해마다 사용되는 형태가 달랐다. 즉 인(寅)‧오(午)‧술(戌)년에는 정사각형, 해(亥)‧묘(卯)‧미(未)년에는 원형, 신(申)‧자(子)‧진(辰)년에는 곡형(曲形), 사(巳)‧유(酉)‧축(丑)년에는 직사각형의 것을 사용...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조(兵曹) 정치행정/관직·관품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405년(태종 5) 병조(兵曹) [정의] 조선시대 병력과 병기의 관리, 군사의 훈련...
    관련어병조(兵曹)
  • 무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관의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병조 소속의 관서. [내용] 조선 건국 초의 병조는 장관인 전서(典書)가 정3품에 불과했으며, 속사(屬司)를 지니지 않았다. 특히 인사 행정은 상서사(尙瑞司)에서 전담하였다. 140...

고서·고문서(67)

  • 普通敎育漢文新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 豈不驕其志, 喪其所守哉. 故得之艱難, 則失之不易, 得之旣易, 則失之亦然. 德厚者無盈色, 德薄者. 如鐘磬焉, 愈厚者, 聲愈縱, 薄者, 反是.
    서명普通敎育漢文新讀本 | 자료명第三課
  • 挽(眉嵒 柳)副提學【(希春)】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枯草回生意。 雲龍運飜亨, 立朝還近侍。 白首映金章, 聖眷期勿貳。 啓沃補衮職, 始售窮經志。 老矣賦歸歟, 側席猶相遲。 殊渥被衡茅, 感激回歸轡。 奄忽悼宸衷, 云類。 生平五車書, 浩汗將何畀? 小子忝登門, 猥許能識字。 生別尙含惻, 死別情何寄? 一慟海山阿, 殘暉曖空翠。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拜御史大夫 仍領高麗女直漢軍 兼右衞阿速親軍都指揮使司達魯花赤 提調承徽寺 尋遷知樞密院事 兼前職 加提調事 加金牌 領欽察闖闖帖木兒千戶所 又仍以知樞密院事 加鎮守海口侍衞親軍屯儲都指揮使司達魯花赤 餘如故 몽고정세, 몽고식 관제, 해당 기사는 馬札兒台傳의 배열상 泰定 4년...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기타  
  • 而委寄之必遴, 蓋聲實之具孚。 惟卿, 技妙麗龜, 器雄臥虎, 八典禁旅, 允王臣之爪牙, 出守邊藩, 亦利器之根節。 玆歷試而有效, 果銓擇之所歸。 玆授卿以京畿水軍節度使兼三道統禦使·喬桐府使, 卿其夙夜精心, 終始毋怠, 知水兵之不振, 必加痌癏, 察島民之無狀, 務先安集, 者, 尙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而委寄之必遴, 蓋聲實之具孚。 惟卿, 技妙麗龜, 器雄臥虎, 八典禁旅, 允王臣之爪牙, 出守邊藩, 亦利器之根節。 玆歷試而有效, 果銓擇之所歸。 玆授卿以京畿水軍節度使兼三道統禦使·喬桐府使, 卿其夙夜精心, 終始毋怠, 知水兵之不振, 必加痌癏, 察島民之無狀, 務先安集, 者, 尙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국방]

    같은 해 3월 세 개의 속사를 아래에 두게 되었다. 이 때 도 설치되어, 뒷날 ≪경국대전≫에 오르게 되었다.

  • 신부 / 信符 [정치·법제/법제·행정]

    , 각 궁방의 관리인, 공물납품업자 등에게 발급, 사용되었다. 해마다 사용하는 신부의 종류가 달랐는데, 매년 연말 병조 에서 새로운 것을 제작하여 각 궁전·관서·단체 등에 배부하였다.

  • 한부 / 漢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나무로 만든 궁궐 출입증. 작은 목재 표찰로서 여자들이 사용하는 것이었다. 주로 하급 궁녀·관비들이 궐문을 출입할 때 패용하였다. 남자들이 사용하는 것은 신부(信符)라 하였다. 한부는 매년 연말 병조 에서 제작되어 궐내 각처에 배부되었는데, 해마다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