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94)
사전(175)
- 무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⑤ 춘대옥촉(春臺玉燭) : 헌천화복식과 같다. ⑥ 보상무(寶相舞) : 아광모(砑光帽)‧벽라포(碧羅袍)‧백질흑선중단의‧홍질남선상‧학정대‧무두리이었다. ⑦ 영지무(影池舞) : 보상무복식과 같다. ⑧ 향령무(響鈴舞):아광모‧녹라포‧백질흑선중단의‧홍질남선...
- 무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무당이 굿할 때 신(神)을 상징하기 위하여 입는 의례복. [내용] 무복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신복‧입석‧신입석‧신령의대‧신령님옷’ 등으로 불린다. 지역별로 중부‧영남‧호남‧영동‧제주도, 그리고 북부로 나누어 각기 그 지역의 실태를 중...
- 무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당이 굿할 때 신(神)을 상징하기 위하여 입는 의례복.정의무당이 굿할 때 신(神)을 상징하기 위하여 입는 의례복.[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ubok | MR표기mub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무복(武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복 무복 武服 갑의(甲衣), 구군복(具軍服), 군복(軍服), 융복(戎服), 철릭(天翼)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최은수 전투(戰鬪), 제사(祭祀), 행행(行幸) 등의 행차관련어갑의(甲衣), 구군복(具軍服), 군복(軍服), 융복(戎服), 철릭(天翼)
- 무복(舞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복 무복 舞服 무동복(舞童服), 무무(武舞), 문무(文舞),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고대~조선 윤양노 연향(宴享), 제의(祭儀) [정의] 제의(祭儀)나 연향(...관련어무동복(舞童服), 무무(武舞), 문무(文舞),
고서·고문서(1,527)
- 誣服伸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50 欽欽新書 卷一 ITKC_MP_0597A_1350_030_0010 誣服伸理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誣服伸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50 欽欽新書 卷一 ITKC_MP_0597A_1350_030_0020 誣服伸理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너무복잡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너무복잡 박 여자 충청북도 옥천군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县) 서위자공사 동명대대 5생산대 4 2 너무...대표표제어너무복잡 | 성씨박
- 무복 및 술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誣服伸理 【夢得神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50 欽欽新書 卷一 ITKC_MP_0597A_1350_030_0030 誣服伸理 【夢得神告】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3)
- 강원도 삼척 덕산풍어제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강원도
- 세종 대동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세종특별자치시
- 서울 진적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서울특별시
- 인천시 강화 진오기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인천광역시
- 제주도 조천 성주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제주도
기초학문(9)
- 中國 胡舞服飾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지원, 게재일 : 200606457 윤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복식학회 2006 中國 胡舞服飾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d1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중국 나에 나타난 무복에 관한 연구 -남풍현 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정, 게재일 : 201617855 김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6 중국 나에 나타난 무복에 관한 연구 -남풍현 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서울 경기지역 굿거리에서 강신무가 착용하는 무복 몽두리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정, 게재일 : 201517857 김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5 서울 경기지역 굿거리에서 강신무가 착용하는 무복 몽두리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현행 굿거리에서 무복 겉옷의 착용실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정, 게재일 : 201617893 김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의류산업학회 2016 현행 굿거리에서 무복 겉옷의 착용실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출산휴가‧육아휴직자를 위한 효율적인 업무복귀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홍림, 게재일 : 200911582 유홍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사행정학회 2009 출산휴가‧육아휴직자를 위한 효율적인 업무복귀지원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48)
- 打背撫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 린쇄국장의아달 김졔동씨 령군 셰무관을 도차면 갑흘으로 군거 김면국씨를 여엽젼 이만량을 츌채야 상동난 물쟝 홍영호의게임치표를 맛하더니 그상약일이 여의치못으로 김면국씨가 돈을차쓰랴고그임치표를가지고흥영호의게가셔 돈을츄심 즈음에 쇼위형 슌검이...게재일1907년 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無服十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쟉일졍부원유회에각부부원 칙쥬임관의게 쳥쳡을보엿스되 복장이잇고업을 상고야 양복이나 소례복닙은만 진참계지라 문파슈가 단엄금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巫卜禁止의函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진회창 리용구씨가 경시쳥에 공함고 무녀복슐을 금지라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照請捉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서 법부로 죠회기 무복잡슐를 징치차로상쥬하 엿시니 경무쳥으로 훈령야 보로잡으라 엿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엄귀인이 그동안 포를 두고 샹 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엄귀인이 그동안 포를 두고 샹 병즁에 잇셔 죵죵 긔졀 증셰로 걱정즁인 그 동안 의약으로 치료며 무복으로 예방야 무슈히 시험되 죵시 효험이 업다니 무복은 암만 시험여도 효험이 업슬줄을 우리가 밋니 고명 의원을 마져 신통 약효 보기를 우리 ...게재일1898년 9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2)
- 이무복;李戊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316 남한 경남 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2-29 會誌創刊號 1931 121면 이무복;李戊馥 부산부 영주정 55■(자택)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자연계교원요원의무복무만료자의관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자연계교원요원의무복무만료자의관리 자연계교원요원의무복무만료자의관리 교육 문헌 교원 임용ㆍ승진ㆍ평가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범주1교원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교육위원회교육감 | 사료철명예규철(임용)
- 권오신;權五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87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101면 권오신;權五信 경성부 武福町 9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Circular number 77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현역복무 중인 사병의 의무복무 기간 감축, 인사목록, 사상자 기록의 처리, 지역과 시설 출입금지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문서로 사병들의 의무복무기간의 점진적 감축, 인력의 최대 활용, 정확한 인사목록의 유지 등이 포함되어 있음...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HQ, EUSAK
- 신라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보낸 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려 태조 왕건에게 신하가 되겠다고 글을 보냈으나, 고려 태조는 경순왕의 뜻을 거절하였다. 고려사절요』 1, 태조신성대왕 을미 18년(935)조에도 나온다. 十一月 己未 新羅王 上書曰 本國久經危難 歷數已窮 無復望保基業 顧以臣禮見 王 不允 (고려사절요』 1, 태조신...대표표제어신라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보낸 글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0)
-
무복 / 舞服 [생활/의생활]
춤을 출 때 입는 옷. 춤은 사람의 감정이나 의지를 몸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행위이다. 그러므로 춤을 출 때 입는 의복도 춤이 내포하고 있는 감정이나 의미에 어울리게 구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춤은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시대나 지역에 따라 그 표현
-
무복친 / 無服親 [사회/가족]
상례(喪禮) 때 상복을 입지 않아도 되는 친족. 일명 단면친(袒免親)이라고도 하나, 엄밀히 말하여 무복친과 단면친 간에는 차이가 있다. 단면친은 5대조를 같이하는 본종친족(本宗親族)으로, 종고조부(從高祖父)·고대고(高大姑)·재종증조부(再從曾祖父)·재종증대고(再從曾大姑
-
정구품 / 正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9품 문산계만 종사랑(從仕郎)으로 정하고, 무산계는 정해지지 않았다.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했다가 ≪경국대
-
효력부위 / 効力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9품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무산계는 정하여지지 않았다. 그런데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하였다가 ≪경국대전≫에 이르러 효력부위로 개칭되었다. 정9품 관
-
무산향 / 舞山香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춘앵전(春鶯囀)과 같이 한 사람이 추는 독무(獨舞)이다. 춘앵전은 화문석 위에서 추지만 무산향은 침상(寢床)과 같이 짠 대모반(玳瑁盤) 위에 올라서서 추는 춤이다. 춤사위와 무복(舞服)도 춘앵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