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무룬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독도해조류(바다제비‧슴새‧괭이갈매기)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린초‧기린초‧‧구절초‧참김의털‧달뿌리풀‧날개하늘나리 등이 자라고 있다. 文化財大觀‧天然記念物篇‧(文化財管理局, 1973) 독도 천연보호구역 / 슴새 경북 울릉군 독도 일원에 있는 해...
  • 외연도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숲은 원상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는 것은 서낭당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돈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
    연계항목외연도의상록수림(外煙島의常綠樹林)
  • 미조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하여 보호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방풍림과 어부림(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감탕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돈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
    연계항목미조리의상록수림(彌助里의常綠樹林)

주제어사전(3)

  • / Euonymus japonica var. macrophylla Regel [과학/식물]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는 광나무, 돈나무, 사스레피나무, 이대, 자금우, 조릿대, 팔손이 등 40여 종의 식물과 함께 가 자생하고 있다. 사철나무는 잎의 모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감탕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돈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모밀잣밤나무·보리밥나무·모람·자금우·송악 등이 있다.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돈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계요등·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