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56)
사전(1,932)
- 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덤] 사람의 사체를 매장한 시설물. [내용] 더러 ‘말무덤’이니 ‘개무덤’이니 하여 특별한 동물의 무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것은 한 특례일 뿐이고 무덤이란 역시 사람의 매장시설이다. 무덤은 어원적으로 볼 때 ‘묻다[埋]’라는...이칭별칭묘|분묘
- 어울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 사람 이상의 주검을 한데 묻는 무덤. [개설] ‘합장묘(合葬墓)’라고도 한다. 홑무덤[單葬]에 대응하는 말이다. 희생(犧牲)으로서 순장자(殉葬者)를 넣은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어 선사시대‧역사시대에도 그 예가 많...이칭별칭합장묘(合葬墓)
- 딸린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한 무덤의 옆에 딸린 조그마한 종속적 무덤. [내용] ‘배장(陪葬)’ 또는 ‘배분(陪墳)’‧‘배총(陪塚)’이라고도 한다. 딸린무덤이라는 말은 주(主)무덤에 대한 말로서 한 곳에 2기 이상의 고분이 있고, 그 중 하나는 위치나 규모가 뛰어...이칭별칭배장(陪葬)|배분(陪墳)
- 독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큰 독을 널로 사용한 선사 및 고대의 무덤. ‘옹관묘(甕棺墓)’라고도 한다. [기원] 나무널[木棺]이나 돌널(石棺)이 아닌 독[甕]이나 항아리[臺] 등 토기를 널로 사용하는 무덤은 장소와 시대를 불문하고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였다. 우리
- 돌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 사용한 무덤. [내용] ‘석관묘(石棺墓)’ 또는 ‘석상분(石箱墳)’이라고도 한다. 지하에 판석‧괴석‧강돌 또는 이들을 함께 섞어서 장방형의 석관시설을 만들고 신전장(伸展葬)이나 굴장(屈葬)한 시신 및이칭별칭석상분
단행본(3)
-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 [고조선 국가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울산대학교]저자 : 하문식... | 출판사 : 주류성출판사 | 출판일 : 201606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유라시아 거대 무덤 속황금문화 [한국의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 서울대학교]저자 : 이한상 ... | 출판사 : 디자인공방 | 출판일 : 20220630인류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금을 채광하여 각종 장식품을 만들었 다. 이집트나 지중해 연안에서 탄생한 황금문화는 각지로 퍼져나 갔다. 황금문화가 만주와 한반도까지 도달하는데는 매우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동아시아에서 황금장식은 중국 상대 이후 등장하고 한 문화의 확산에 ...
-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저자 : 권오영, 심광주, 홍보식, 성정용, 이영철, ...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91129토목은 인류 문명의 발달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이다. 경주의 거대한 왕릉, 서울의 한양 도성, 김제 벽골제 등 오래된 토목구조물은 한국 전통시대 과학문명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다. 하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해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대한 조명은 많았지만 과학기술...
논문(3)
- 요남지역의 돌무지무덤연구 [고조선 국가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울산대학교]저자 : 하문식(세종대학교) | 게재정보 : 선사와 고대 38권, 게재일 : 2013유형논문
- 고조선 시기의 동굴무덤 연구 [고조선 국가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울산대학교]저자 : 하문식(세종대학교) | 게재정보 : 백산학보 98권, 게재일 : 2014유형논문
- 바다경관, 사회적 기억, 무덤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Sangtaek Lim | 게재정보 : Archaeological Research in Asia
고서·고문서(1,559)
- 무덤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무덤 황 남자 요녕성(辽宁省) 개원시(开原市) 알수없음 6 3 무덤, 용서, 방면, 부모님, 림종, 시종, 처리, 친척,...대표표제어무덤 | 성씨황
- 무덤 님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990 신민요 C.287―A, C.287―B 1935년 리갈 레코드 핸드포―드 무덤 님아 〈a〉金洛千 作詞〈/a〉 〈ar〉劉一 編曲〈/ar〉 〈s〉曺松崗〈/s〉 〈b〉피리 高萬風〈/b〉 〈#2〉 님아 네 무덤 차저와서 무릅코 우는 것을구분신민요
- 순이 무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667 창가 호박꽃초롱 22130 1941년 姜小泉 博文書館 盧益亨 李相五 순이 무덤 〈#4〉 금잔디 파래진 순이 무덤에 오늘도 찾어와 보았습니다. ―순이는 잠을 잘가? ―순이는 꿈을 꿀가? 꽃 하나 아니핀 순이 무덤이 어쩐지구분창가 | 편저자姜小泉
- 무덤에셔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070 창가 世界童謠曲集 22174 1938년 鄭上祿 五線社 米國人 高彦 金夕原 四十錢 무덤에셔 〈e〉Words and music by Hyengchoon Kim〈/e〉 〈mn〉오선악보〈/mn〉 〈m〉Moderato〈/m〉 ...구분창가 | 편저자鄭上祿
- 아버님 무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846 창가 중외일보사 1927~1930년 중외일보사 아버님 무덤 〈a〉郭福由〈/a〉 〈#19〉 맴이 소래 고요히 들여오는 곳 아버님의 무덤은 쓸쓸도 하네 새 한 마리 안젓다 날너를 가고 너우래진 풀닙만 하늘거리네 겨울동안 죽엇든 무과수나무...구분창가
구술자료(170)
- 소무덤과 개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 조사자가 개가 주인을 구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소도 주인을 구했다며 구연을 시작했다.조사일시2011.02.12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죽당2리 866-2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강진구
- 개 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주의 유명한 최부자 이야기릍 해 달라그 하니, 9대 진사 12대 만석이라는 말은 들었어도 별 이야기가 없다고 했다. 개 무덤 이야기를 하라고 하니, 그것은 소학교 때 책에서도 읽은 것이라고 하면서 들려 주었 <page id="151"></page> 다. ?이...조사일시1979-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가정1리 | 제보자김원락
- 개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앞의 이야기(설화 51)를 듣고 이 이야기를 생각해 냈다. 월성군 내남면 이조에 있는 개무덤 전설이다. 앞에서는 개를 오래 기르면 앙화가 온다고 했는데, 이것은 그것과 상반되는 이야기이다. *조사일시1979-04-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석계2리 | 제보자김수봉
- 조씨 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강산 기슭에 전하여 오는 이야기라면서 꺼낸 이야기다.*조사일시1981-08-10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윤태선
- 총각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기다리고 있던 차에, 박시원이 잠시 쉬는 사이 이것을 시작하기는 했다. 그러나 별로 자신이 없는지 들은 대로만 이야기한다고 겸연쩍은 웃음을 몇 번 웃고는 시작한다. *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미천면 | 제보자어용증
기초학문(8)
-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에렉젠, 게재일 : 201051719 에렉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아시아학회 2010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글라스펠의 ‘부재’의 미학: 무덤 너머의 역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유미, 게재일 : 201139667 홍유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1 글라스펠의 ‘부재’의 미학: 무덤 너머의 역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혜선, 게재일 : 201251393 유혜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圖像學的 시각에서 본 高句麗 安岳3號墳과 沂南漢墓 무덤 壁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6109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2012 圖像學的 시각에서 본 高句麗 安岳3號墳과 沂南漢墓 무덤 壁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프란시스꼬 데 께베도의 '요람과 무덤'에 나타난 죽음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만희, 게재일 : 200722894 이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7 프란시스꼬 데 께베도의 '요람과 무덤'에 나타난 죽음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267)
- 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슈원 강도죄인 박츈길 리탁 리텬셕은 남의 무덤을파고 억지로 젼를 토한죄로 쳐교고게재일1901년 6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露屍處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샹북도 재판소 굴 죄인 김이즁은 무덤을파고 시쳬을 들어죄로 징역삼년에 집형라고 법부에셔 재판쇼로 훈령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의령원 봉 리졍곤씨가 보고기를 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령원 봉 리졍곤씨가 보고기를 본원 에 이왕 평토얏던 무덤을 다시 슈츅거시잇고 쳥룡의 에 로 쓴 무덤 솃시 잇다고 고로 쳐분이 계옵시기를 막엄 지디에 젼에업 변이잇슨즉 관의 일이 무어신지 당초에 순산치 아닌이라 본 원 관은 죄...게재일1899년 10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窃人討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은진군론메 강경이 등디에셔 소위묘구도젹이 대치더니 근일에 그젹한이 무덤은 파굴치 안이고 부자집 륙칠셰된 어린아와 칠팔십된 늙은이를 업어다가 숨기고 거의돈을 토 론메셔 아이명과 강경이에셔 아일명을 일헛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子死父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셔 동 박대근은 나히 십오셰인 일젼에 그 외아달 박슈동이가 병으로 쥭음 창의문밧 슈마동에다 뭇은후 즉시 약을먹고 그 무덤겻헤 누어 쥭엇 작일오젼에 슌산슌검이 견고 경무북셔에 보고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71)
-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이기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음식-몸,성욕_ 권지예 [꽃게무덤]_6주차
-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이기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음식-몸,성욕_ 권지예 [꽃게무덤]_6주차
-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이기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음식-몸,성욕_ 권지예 [꽃게무덤]_6주차
-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이기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음식-몸,성욕_ 권지예 [꽃게무덤]_6주차
-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이기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음식-몸,성욕_ 권지예 [꽃게무덤]_6주차
기타자료(243)
- 정효공주무덤(貞孝公主墓)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정효공주무덤(貞孝公主墓) 중국 정효공주 무덤(貞孝公主墓) 고분유적 발해 길림성 화룡시(和龍市) 두도진(頭道鎭) 용두산(龍頭山) 정효공주무덤.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대표표제어정효공주무덤(貞孝公主墓)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정효공주 무덤(貞孝公主墓)
- (정화논단) 요람에서 무덤까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정화논단) 요람에서 무덤까지 (정화논단) 요람에서 무덤까지 교육 문헌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향아 | 사료철명문교행정
- (북한의 교육) 요람에서 무덤까지 북한의 정치 사상 교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북한의 교육) 요람에서 무덤까지 북한의 정치 사상 교양 (북한의 교육) 요람에서 무덤까지 북한의 정치 사상 교양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공보실 | 사료철명강원교육
- 홍천 연봉2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내 1지역 무덤 발굴조사 및 2‧3지역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1-0175 유구 2015-02-25_0.4698755_홍천 연봉2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내 1지역 무덤 발굴조사 및 2‧3지역 시굴조사 보고서_표지.jpg 홍천 연봉2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내 1지역 무덤 발굴조사 및 2‧3지역 시굴조사 보고서 표기 없음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도로기술연구원 건립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경기도 화성 산척리 무덤떼-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Y5-0037 유구 2013-10-12_0.2602198_건국대학교 박물관_도로기술연구원 건립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경기도 화성 산척리 무덤떼-_표지.jpg 도로기술연구원 건립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경기도 화성 산척리 무덤떼- 道路技術硏究院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건국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6)
-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종일 | 서울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마한 분구묘의 이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승옥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
한국의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권오영 | 서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신용하 | 울산대학교 | 2013 | 국내 | 울산
-
왕실여성과 정치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미선 | 한신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64)
-
무덤 / [사회/가족]
사람의 사체를 매장한 시설물. 무덤은 어원적으로 볼 때 ‘묻다[埋]’라는 동사의 어간 ‘묻’에 명사화 접미어 ‘엄’이 맞춤법의 규정에 따라 ‘무덤’으로 표기된 것으로서 ‘죽[死]+엄’이 ‘주검’으로 표기되는 것과 같은 예이다. 무덤이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지 그 기원에
-
구덩무덤 / [역사/선사시대사]
벽면·뚜껑 등을 명확히 하는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시체만 겨우 넣을 정도로 작고 얕게 판다. 둘째, 토광묘는 시체를 바로 넣는 경우도 있으나 그 수량은 별로 많지 않고 관이나 곽(槨) 같은 시설을 갖추고 그 안에 넣는 것이 일반적인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관이나 곽 같은
-
널무덤 / [역사/선사시대사]
선사시대부터 쓰이던 분묘의 일종으로 지하에 구덩이[土壙]를 파고 직접 유해를 장치하는 장법(葬法). 평면형태는 방형·장방형·원형·타원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널[棺]이나 덧널[槨]과 같이 일차적으로 유해를 보호하는 시설[葬具]이 있는 종류는 널무덤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돌널무덤 / 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 사용한 무덤. 석관묘의 형식은 매장시설에 사용된 석재의 성격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 벽·뚜껑·바닥을 1매씩의 판석으로 조립한 전형적인 상형석관(箱形石棺)이다. 바닥은 대부분 판석을 사용하했다. 그러
-
벽돌무덤 / A Tombs with bricks [역사/선사시대사]
벽돌〔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식으로 축조한 무덤. 한반도에서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벽돌무덤이 확인된다. 이는 낙랑군의 강역이 이 지역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고고자료로 활용되었으나 반론도 있다. 낙랑에서 벽돌무덤은 먼저 유행하던 동혈합장(同穴合葬) 덧널무덤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