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묘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9)
사전(772)
- 묘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묘에서 지내는 제사. [내용] 예서(禮書)에는 묘제라고 하나 일상생활에서는 시사(時祀)‧시향제(時享祭)라고도 한다. 주자의 ≪가례 家禮≫에 의하면, 4대 조상까지는 3월 상순에 날짜를 택하여 묘제를 지내고, 그 윗대의 조상은 10월 1...
- 묘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정의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문광부표기myoje | MR표기myo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墓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D_0074 墓祭 제례 繞塋三匝, 上墓, 芟薙草木, 眺望, 至暮乃㱕 金司藝叔滋 彝尊錄 D_20_05_13 대동운부군옥 20권 5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5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墓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I_0001 墓祭 제례 寢殿, 陵寢, 起居, 衣服, 生人, 象設, 正月, 八月, 上丁, 上陵, 黃石, 上塚, 伏臘, 起塚, 立祠, 歲時, 忌辰, 山寺, 設齋, 山陵, 設祭, 忌辰祭, 諸賢, 義起 三代, 秦 始皇, 漢, 中宗 丙子, 宋, 宋代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8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廟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S_0003 廟制 제례 七廟, 始祖, 國制, 六品, 祭三世, 王子, 勲臣, 不祧, 大夫, 祭二世, 庶人, 祭父母, 家廟, 祖禰共廟, 諸侯, 天子, 上士, 祭寢, 五廟, 高祖, 有服, 祭四世, 貴賤, 貧室, 大夫, 木主, 幣, 忌祭, 墓祭, 禰祭,...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1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묘제의 정치경제: 청동기 전기부터 중기에 걸친 한반도 중서부 사회변화에서 묘제의 맥락 이해하기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Jung-Youn Woo ... | 출판사 :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 출판일 : 202112In the processes studied in this book, mortuary codes create political signifiers out of traditional symbols by exploiting origin, forging wholeness, ...
-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저자 : 장경희(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3.9.30.분야예술‧체육 | 유형단행본종별과 현존 유물 3. 제삿날, 종묘의 길례용 의물 (1) 길례란 무엇인가? (2) 종묘의 제향공간 (3) 종묘 신실 내부의 의물 (4) 종묘제기의 제작
논문(2)
- 신라 宗廟制의 정비와 운영-중국 종묘제의 변천 및 운영 원리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박남수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 中國 秦漢時期 環境氣候變化와 西漢墓制 變遷과의 상관성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조윤재 | 게재정보 : 湖西考古學
고서·고문서(378)
- 墓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FR_5:6:1 《周禮ㆍ春官ㆍ冢人》: “凡祭墓, 爲尸.” 《註》云: “或祈禱焉.” 此後世墓祭之所由起也. 有禱, 則祭, 非如今俗之一時上墓. 此“乞”者, 所以日日醉飽於墦間也. HCFR_5:6:2 《易世》章: “親盡之祖, 亦歲一祭之.” 其於親未盡之祖, 亦但一祭,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묘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묘제 정 여자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쌍하진 쌍룡산촌 4 2 묘제, 서울로, 처가집, 솜배달, 올해, 79세,대표표제어묘제 | 성씨정
- 墓祭儀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七 祭儀鈔 22 墓祭儀 27_068_064.jpg 墓祭儀 墓祭, 依俗制, 行于四名日。【正朝、寒食、端午、秋夕】 散齋二日, 致齋一日。 具饌每墓依分數, 如忌祭之儀, 更設一分之饌, 以祭土神。 厥明, 主人以下玄冠、素服、黑帶, 帥執事者詣墓所, 再拜奉...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墓祭無窮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bs_0002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六 祭禮_墓祭 墓祭無窮 墓祭無窮 이익(李瀷, 1681~1763) 答尹幼章別紙 DRAC_6:1:3:5 《家禮》“祭田”條, 墓祭無窮, 誠如君所疑. 親盡於廟, 而無窮於墓, 無義而涉僭, 似不可爲也. 但有一事,...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墓祭宜先參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bs_00033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六 祭禮_墓祭 墓祭宜先參 墓祭宜先參 이익(李瀷, 1681~1763) 答李仲皓別紙 DRAC_6:1:3:10Q 墓祭, 《家禮》則先“參”後“降”, 栗谷則先“降”後“參”, 而沙溪以爲大祭祀時, 奉主出置他所, 則...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17)
-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두환, 게재일 : 200410835 지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朝鮮前期 宗廟制度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두환, 게재일 : 200008647 지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朝鮮前期 宗廟制度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묘제로 본 고분시대 전반기의 한일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야나기모토테루오, 게재일 : 200829319 야나기모토테루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2008 묘제로 본 고분시대 전반기의 한일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국 〈문묘제례(文廟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하나, 게재일 : 201562606 이하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5 한국 〈문묘제례(文廟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5
-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순발, 게재일 : 200740750 박순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대사학회 2007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3)
- 경학원잡지_1918_01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여규형 18 운산군문묘제관안서(雲山郡文廟祭官案序) 신현구 19 안주군향교중수기 김윤식 2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 조선_1937_26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小山文雄 3 朝鮮神宮の年中祭祀 吉田貞治 27 京城神社の恒例大察 市秋弘 47 半島墓制槪要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조선공론_1921_09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吉 100 是れ積極政策の妙諦 掘切善兵衛 102 健全なる思想の涵養 大野豐四 103 我朝鮮郵船の...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멀티미디어(159)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0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1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2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3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4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기타자료(136)
- 성주 시비실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주혈군 등 총 92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목곽묘․분은 5세기대의 중심묘제로서 조사된 전체 유구의 75%를 차지한다. 구릉의 서쪽 능선부와 경사면에 분포하고 구릉의 능선부가 중심묘역이다. 능선부에 분포된 목곽분은 일정한 간격으로 조영되었으며 경사면에 단독으로 조영된...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화성 반월리 분묘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발견되었다. 이외 지표수습 유물로 청자와 분청자가 소량 발견되었다. 이번 발굴의 주요 성과는 조선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한 횡구식 석곽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목관묘, 토광묘와 혼재하는 횡구식 석곽묘의 피장자문제, 묘제의 차이에 반영된 장제의 차이점 등을...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한신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여주 상교리 상방하원석실묘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이러한 상교리 고분은 석재를 사용하였다는 전통이 고수되어 있어서 한반도 묘제의 큰 흐름에서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지만 이 고분만의 구조적 특징도 지니고 있다. 특히 현실의 평면이 원형이어서 현실의 전체 구조가 원통형에 가깝고, 여기에 남쪽으로 이도가 달려있다. 현실...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서산 여미리 이문안골 유적 (서산 여미리 방죽골 분묘군 부록)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배면에는 어골문 형태의 집선문에 방곽문, 당초문 등이 시문되어있고, 2호 와개묘에서 병, 대접, 접시와 같은 청자가 출토되어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백제시대 와관묘의 전통이 남아 있는 형식의 묘제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1호 와개묘는 암키와를 이용하여...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재)충청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 진천 죽현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묘와 청주 산남동 16호 토광묘 등 몇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7호와 9호 토광묘의 구조는 중부지역에서 상당히 드문 사례로 조선시대 묘제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죽현리유적에서 벽감시설을 한 토광묘는 묘광의 규모가 비교적 크고 깊이가 160cm...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3)
-
마한 분구묘의 이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승옥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
고구려 왕실 전승과 의례 - 정치권력으로 향한 통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우연 | 인하대학교 | 2014 | 국내 | 인천
-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신용하 | 울산대학교 | 2013 | 국내 | 울산
주제어사전(44)
-
묘제 / 墓祭 [사회/가족]
묘에서 지내는 제사. 주자의 『가례(家禮)』에 의하면, 4대 조상까지는 3월 상순에 날짜를 택하여 묘제를 지내고, 그 윗대의 조상은 10월 1일에 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이 묘제는 오래된 것이 아니라 주희가 한번
-
종묘제례 / 宗廟祭禮 [종교·철학/유학]
종묘의 제향의식. 조선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정시제와 임시제가 있었다. 정시제는 사계절의 첫 달과 납일에 지냈다. 그후 납일제향은 폐지되고 1, 4, 7, 10월의 상순에 지내는 춘하추동 제향만 시행되었다. 임시제는 나라에 흉사나 길사가 있을때 올린 고유제과 햇과일과 햇곡
-
기묘제현전 / 己卯諸賢傳 [역사/조선시대사]
기호지방 출신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의 한 사람인 김정국(金正國)이 지은 ≪기묘당적 己卯黨籍≫과, 안당(安瑭)의 손자이고 안처겸(安處謙)의 아들인 안로(安璐)가 저술한 ≪기묘록보유 己卯錄補遺≫를 바탕으로 간행하였다. 이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를 바탕으로 한 ≪기묘제
-
종묘제례악 / 宗廟祭禮樂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종묘제례를 봉행할 때 사용한 음악과 무용의 총칭.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향에 음악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고, 1116년에는 송에서 전래된 대성아악을 연주하였다. 세종때 연주한 정대업과 보태평은 다소의 개정을 거쳐 종묘제례악
-
기묘제현수첩 / 己昴諸賢手帖 [예술·체육/서예]
조선 전기 기묘제현들의 서간(書簡)을 모은 서첩. 보물 제1198호. 이 첩은 순흥안씨 사재(思齋) 안처순(安處順)이 동료에게서 받은 서간을 모은 것인데, 대부분 기묘사화에 관련된 인물이다.모두 12명의 서간 39통이 70면에 실려있는데, 장옥(張玉), 조광조(趙光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