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묘수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
- 묘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게 되었다. 『한국(韓國)의 명산대찰(名山大刹)』(국제불교도협의회, 1982) 수원 묘수사 경기 수원시 장안구 북수동에 있는 절. 1920년 창건한 한국불교 법화종의 최초...이칭별칭똑딱절
고서·고문서(9)
- 妙手辭典(上)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妙手辭典(上) 예술체육학 체육 기타체육 妙手辭典(上) 瀨越憲作; 吳淸源 共著; 李相炐 譯 廣智社 서울 1975 바둑; 정석...대표표제어妙手辭典(上) | 대분류예술체육학 | 중분류체육 | 소분류기타체육
- 人事門1_墳莎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墳莎 墳墓樹莎, 古無可考. 防墓, 旋封旋崩, 恐是無樹也. 無樹必崩, 又何以爲識乎? 《春秋》定公元年三月: “晉人執宋 仲幾于京師.” 《公羊傳》云: “仲幾之罪何? 不衰城也.” “衰”, 蓑也, 以草衣城也. 是時, 晉 魏舒合諸侯之大夫于狄泉, 將以城成周, 宋 仲幾不受功也. 蓑城...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墳莎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ES_0008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僿說禮論編 墳莎 墳莎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5:21 墳墓樹莎, 古無可考. 防墓, 旋封旋崩, 恐是無樹也. 無樹必崩, 又何以爲識乎? 《春秋》定公元年三月: “晉人執宋...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 第一統統首金鳳樞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祖業武順哲曾祖業武允弼外祖正兵金貞桓本金 海妻金姓年肆拾捌戊戌本慶州父業武再相祖業武尙一曾祖甲順外祖權繼一本安東率女召史年柒 己卯率四寸主鎭軍金惡只年參拾丙辰等壬午戶口相准 第四戶 主鎭旗牌官宋昌運年肆拾丙午本恩津父學生淵明祖學生殷邦曾祖學生植重外祖貢生崔尙中本 慶州妻鄭姓年參拾玖丁未本東萊父...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八東山里
- 1 第一統統首騎保金哲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原君孫南曾祖大聖 後裔孫世仁外祖通政大夫成生本昌寧率父府主鎭騎保永俊年陸拾陸甲戌率母金召史年陸拾壹己卯率四寸金哲石 今故率婢彦進年拾肆丙寅等丙子戶口准 第二新戶 勿古日來大聖後裔檜原君孫孔永必年肆拾伍壬辰本昌原父大聖後裔孔加音祖檜原君男曾祖正兵世仁外祖正兵李 正鶴本順川妻良女金召史年肆拾捌壬辰本金...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十九開雲來里
주제어사전(1)
-
묘수사 / 妙壽寺 [종교·철학/불교]
1920년 4월에 창건한 한국불교법화종의 최초 사찰로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북수동에 있는 절. 새벽 4시만 되면 목탁소리가 담 밖을 넘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구실을 하였다 하여 ‘똑딱절’이라고도 한다. 창건 이후 교세를 확장하여, 1946년 3월 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