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몽학훈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몽학훈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몽학이 점차 퇴조했기 때문인 듯하다. 이들 학생은 거의 잡과에 뜻을 두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몽학시취 인원수를 보면 초시(初試) 4인, 복시(覆試) 2인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몽학훈도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학생들을 잡과에 많이 합격할 수 있도록 교육하...
- 몽학훈도(蒙學訓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몽학훈도 몽학훈도 蒙學訓導 역학(譯學), 잡학(雜學) 역과(譯科), 우어청(偶語廳), 잡과(雜科)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이상규 [정의] 사역원에서 몽골어를 가르...상위어역학(譯學), 잡학(雜學) | 관련어역과(譯科), 우어청(偶語廳), 잡과(雜科)
- 역학훈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다. 사역원의 한학훈도는 1393년(태조 2)에 처음 설치되었고, 왜학훈도는 1415년(태종 15), 몽학훈도는 1411년, 여진학훈도는 1434년(세종 16)에 각각 설치되었다. 1413년에는 양반 출신의 문관으로 한학훈도의 일부를 맡게 하였는데 그...
- 몽학(蒙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 한 것이었다. 몽고와 실제적인 외교가 없었기 때문에 몽학은 한학, 왜학, 여진학[청학] 중에서 제일 부진했다[『정조실록』 10년 4월 22일]. 사역원에는 정9품 몽학훈도 2명을 두었다. 역과 초시 합격자 정원을 전공별로 보면 한학이 23명으로 가장 많고, 몽학...상위어역관(譯官) | 관련어한학(漢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역과(譯科), 잡과(雜科), 사역원(司譯院)
고서·고문서(1)
- 司譯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1070_020_0130_2015_024_XML 024 司譯院。提調公一人ㆍ上大夫一人ㆍ中大夫一人,副正藝上士一人,判官中士二人,奉事下士四人。○漢學敎授中士四人,訓導下士四人,蒙學訓導下士二人,滿學訓導下士二人,倭學訓導下士二人。○書吏四人,...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몽학훈도 / 蒙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394년 12월 몽고어교수 1인을 두었다고 한 것이다. 그리고 훈도에 관한 기록은 1410년(태종 10) 1월 몽어훈도관을 설치했다고 한 것이다. 몽학훈도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학생들을 잡과에 많이 합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