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몽예집”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시자 / 사시자 조선 후기의 학자 남극관의 문집. 편자 및 간행 연대 미상. 규장각도서.
  • 임하총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롯해 <여현석서 與玄石書>‧<여김생창협서 與金甥昌協書>‧<문곡여자창업서 文谷與子昌業書> 등이 있다. <남몽예만필>은 남극관(南克寬)의 ≪ ≫에서, <논이회사>는 박태한(朴泰漢)의 ≪박정자유고 朴正字遺稿≫에서 송시열과 그의 제자 윤증잿離艀杻夊1에셍汻퓟렴...
  • 경섬(慶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고집(鳴皐集)』 『()』 『문견별록(聞見別錄)』 『변례집요(邊例集要)』 『상촌고(象村稿)』 ...
  • 변양걸(邊良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음집(淸陰集)』 『월사집(月沙集)』 『계곡집(谿谷集)』 『백곡집(柏谷集)』 『()』 『번암집(樊巖集)』 『쌍계유고(雙溪遺稿)』
  • 남이공(南以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재유고(明齋遺稿)』 『()』 『묵수당집(嘿守堂集)』 『묵재일기(黙齋日記)』 『문곡집(文谷集)』 『미수기언(...

고서·고문서(2)

  • 도 기록되어 있다. “出南夢囈克寬 蓄德集”이라고 출전을 밝히고 있는데, 南克寬(1689~1714)의 문집으로는 이 알려졌을 뿐이며, 蓄德集 은 어떤 자료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雙節碑銘 11 鄭經世가 찬한 碑銘이다. 정영후의 처 청주한씨와 여동생에 대한 글로써,...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설손(? ~ 1360). 고려 후기의 관인. 위구르 사람으로 귀화하기 전 이름은 百遼遜이다. 그의 문집 『近思齋逸稿』은 원래 설손이 燕京에 있을 때 지은 시 중 기억에 남은 시문 700여 首를 엮었다고 한다. 『고려사』, 『용재총화』, 『해동문헌총록』, 『』 등에...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극관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간행연도 미상. 서문·발문·부록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다. 권두에 저자 자신이 쓴 소서가 있는데, 저자가 사망하기 바로 1년 전인 1713년(숙종 39)에 쓴 것으로 보아 생전에 이미 자기의 시문

  • 남학명 / 南鶴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54∼1722).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아들이다. 천거로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문집으로《회은집》·《회은잡지》, 편저로《와유록》 등이 있다. 자녀로는《》을 남긴 남극관이 있다.

  • 남극관 / 南克寬 [종교·철학/유학]

    에 시달렸다. 독서에 매진하여 독서록인〈단거일기〉를 지었고, 설손의〈근사재일고〉를 교수하고, 조부 남구만의 소차집을 교정하기도 했다. 1713년(숙종 39)에 병중인 자신의 유고를 자편하여《》이라고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