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몽어노걸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6)
사전(15)
- 첩해몽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몽학서(蒙學書)의 하나. [서지적 사항] 4권 1책.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의 성립과정에 대하여 안명렬(安命說)의 <몽어노걸대서 蒙語老乞大序>에 한학(漢學)과 청학(淸學)에 능통한 사람들이 북...이칭별칭신번첩해몽어
- 어사잠(御史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사잠 어사잠 御史箴 역학(譯學), 몽학(蒙學) 몽학팔책(蒙學八冊),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조선전기 사역원으로 추정 미상 미상...상위어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몽학팔책(蒙學八冊),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 몽어유해보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三書重刊序>에 소상히 설명되어 있다. 그에 의하면, 일찍이 이억성(李億成)이 몽고어 훈장(訓長)으로 있을 때 ≪몽어노걸대 蒙語老乞大≫와 ≪몽어유해≫가 수정‧간행되어 몽고어 학습서로 이용되었다. 그뒤 수 십년 사이에 말이 달라졌기 때문에 몽고어 훈장 방효언...
- 백안파두(伯顔波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백안파두 백안파두 伯顔波豆 역학(譯學), 몽학(蒙學)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고려후기 통문관이나 사역원으로 추정 미상 미상 미...상위어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 고난가둔(高難加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난가둔 고난가둔 高難加屯 잡학(雜學), 역학(譯學), 몽학(蒙學) 역과(譯科),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조선전기 사역원으로 추정 미...상위어잡학(雜學), 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역과(譯科),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고서·고문서(350)
-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큰 兄아 네 어셔 온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큰 兄아 네 어셔 온다 큰 兄아 네 어셔 온다 내 朝鮮 王京셔 왓노라 卽今 어 가다 내 北京으로 向야 가노라 네 언 王京셔 난다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各各 대ㅅ족에 션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各各 대ㅅ족에 션 1790몽어노걸대_1_005a.jpg 各各 대ㅅ족에 션 일홈과 姓을 고 모 여러 션 일홈과 姓을 이대로 사슬통에 다마 檢擧 션로 사슬통 흔들려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제 올 八分에 말 흰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제 올 八分에 말 흰 1790몽어노걸대_1_012b.jpg 제 올 八分에 말 흰 과 五分에 말 小米과 돈에 열 斤 과 두 分에 斤 羊肉을 준다 리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네 져긔 가면 利 잇냐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네 져긔 가면 利 잇냐 1790몽어노걸대_1_017b.jpg 네 져긔 가면 利 잇냐 내 져년에 漢ㅅ 벋들과 高塘에 가 소과 깁을 거두어 사셔 王京에 도라가 니 져기 利 어드롸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1)
- 蒙語老乞大 語彙小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형원, 게재일 : 200010619 최형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알타이학회 2000 蒙語老乞大 語彙小考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유형논문 | 게재일2000
주제어사전(4)
-
몽어노걸대 / 蒙語老乞大 [언론·출판/출판]
몽고어 회화책. 조선 후기 사역원에서 역관들의 학습 및 역과시용으로 간행되었다. 8권 8책. 목판본. 각 면 7행으로 각 행에는 왼편에 위구르(uighur) 몽문자(蒙文字)로 몽고어 문장이 쓰여 있고, 오른편에 한글로 발음이 표시되어 있다. 각 문장 혹은 각 절의 아
-
첩해몽어 / 捷解蒙語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사역원에서 간행한 몽학서(蒙學書)의 하나. 4권 1책. 안명렬의 <몽어노걸대서>에 한학과 청학에 능통한 사람들이 북경에 가서 난해한 것과 함께 법칙이 될 만한 것을 물어 가며 이룬 것을 다시 몽학 1737년(영조 13)에 이세효 등을 보내어 고치게 한 것이
-
몽어유해보편 / 蒙語類解補編 [언어/언어/문자]
李億成)이 몽고어 훈장(訓長)으로 있을 때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와 『몽어유해』가 수정·간행되어 몽고어 학습서로 이용되었다. 그뒤 수 십년 사이에 말이 달라졌기 때문에 몽고어 훈장 방효언(方孝彦)이 중심이 되어 위의 두 책과 『첩해몽어』의 잘못을 바로잡는 한편, 『
-
몽어유해 / 蒙語類解 [언어/언어/문자]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몽골어 대역 어휘집. 현존하는 『몽어유해』는 규장각도서와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부속도서관에 한 질씩 남아 있다. 규장각도서 소장본은 목판본으로 1790년(정조 14) 방효언(方孝彦)이 다시 개정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때 『몽어노걸대(蒙語老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