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몰기” 에 대한 검색결과 3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7)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종 무예시험에서 전과목에 모두 우등 합격하던 일. [내용] 특히, 활쏘기 시험의 유엽전(柳葉箭)ㆍ편전(片箭)ㆍ기사(騎射) 종목에 모두 명중시키는 것을 일컬었다. 이를 달성한 자를 자(者)라 하여 총점의 수석 합격자와 동...
  • TD_J0_D_0007 百 의례(기타) 曺南冥, 太一眞君 神明舍銘, 本集 D_02_02_29 대동운부군옥 2권 2장 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2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2_D_0166 四勿 윤리 事親親, 從師師, 交友友, 平生心 D_19_01_02 대동운부군옥 19권 1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괴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하성백의 첫째부인인 여애벽을 음탕한 여인으로 위해 오궁(吳宮) 태부인 방 앞에 가 애벽을 내놓으라고 위협한다. 이 일로 애벽이 수운각에 갇힌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과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규정된 날짜. 明日冬至問安 百官庭請(東朝回甲 上尊號事) 不得不課日進參 具之中 誠爲悶悶, 신좌모(申佐模), 43-1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79)

  • 子路問事君。子曰:“也,而犯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10 論語古今注 卷七 ITKC_MP_0597A_0410_020_0110 子路問事君。子曰:“也,而犯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0676 B01067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3月 22日_031 冒錄之事, 則試官安得以生心於用私乎? 此則當該守令之罪也。 具聖任曰, 之才, 豈至若是其多乎? 臣待罪海西閫任時, 亦爲都試, 只見片箭一番矣, 雖以京軍門中日見之, 此皆精抄之才, 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012 B01001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3月 22日_031 冒錄之事, 則試官安得以生心於用私乎? 此則當該守令之罪也。 具聖任曰, 之才, 豈至若是其多乎? 臣待罪海西閫任時, 亦爲都試, 只見片箭一番矣, 雖以京軍門中日見之, 此皆精抄之才, 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279 B07427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9年 3月 14日_021 ... 易, 救弊難。 國家多給, 物力甚難。 邊將輩自備, 又未易, 此甚悶矣。 宗玉曰, 國家以西北邊爲重, 設置別武士。 而行春秋都試, 居首則直赴之次, 邊將承傳。 其中之人, 亦許直赴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687 B07468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9年 3月 14日_021 ... 易, 救弊難。 國家多給, 物力甚難。 邊將輩自備, 又未易, 此甚悶矣。 宗玉曰, 國家以西北邊爲重, 設置別武士。 而行春秋都試, 居首則直赴之次, 邊將承傳。 其中之人, 亦許直赴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5)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26:07)B면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1) 강강술래(03:27) 2) 강강술래 뒷놀이[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기, 청어엮자, 기와 밟기, 덕석, 진쥐새끼놀이, 문열어주소, 가마타기](09:39) 3) 길꼬냉이(18:50) 4) 밭매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재진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26:07)B면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1) 강강술래(03:27) 2) 강강술래 뒷놀이[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기, 청어엮자, 기와 밟기, 덕석, 진쥐새끼놀이, 문열어주소, 가마타기](09:39) 3) 길꼬냉이(18:50) 4) 밭매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길님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26:07)B면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1) 강강술래(03:27) 2) 강강술래 뒷놀이[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기, 청어엮자, 기와 밟기, 덕석, 진쥐새끼놀이, 문열어주소, 가마타기](09:39) 3) 길꼬냉이(18:50) 4) 밭매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양애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26:07)B면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1) 강강술래(03:27) 2) 강강술래 뒷놀이[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기, 청어엮자, 기와 밟기, 덕석, 진쥐새끼놀이, 문열어주소, 가마타기](09:39) 3) 길꼬냉이(18:50) 4) 밭매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순례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26:07)B면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1) 강강술래(03:27) 2) 강강술래 뒷놀이[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기, 청어엮자, 기와 밟기, 덕석, 진쥐새끼놀이, 문열어주소, 가마타기](09:39) 3) 길꼬냉이(18:50) 4) 밭매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재옥

기초학문(1)

  • 인터넷 포탈에 대한 자원 의존성이 온라인 쇼핑업의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경민, 게재일 : 2014
    67131 박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과학회 2014 인터넷 포탈에 대한 자원 의존성이 온라인 쇼핑업의성장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3)

  •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健瀅이가僞券欲賣오니內外國人은照亮시옵 咸從 康泰瀅 고
    게재일1906년 3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健瀅이가僞券欲賣오니內外國人은照亮시옵 咸從 康泰瀅 고
    게재일1906년 3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健瀅이가僞券欲賣오니內外國人은照亮시옵 咸從 康泰瀅 고
    게재일1906년 3월 14일 | 기사분류광고
  •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健瀅이가僞券欲賣오니內外國人은照亮시옵 咸從 康泰瀅 고
    게재일1906년 3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南룡岡룡峴面所在동畓六石落을本人의四寸健瀅이가僞券欲賣오니內外國人은照亮시옵 咸從 康泰瀅 고
    게재일1906년 3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종 무예시험에서 전과목에 모두 우등 합격하던 일. 활쏘기 시험의 유엽전·편전·기사 종목에 모두 명중시키는 것을 일컬었다. 이를 달성한 자를 자라 하여 총점의 수석 합격자와 동격으로 대우하였다. 서울의 특수군영이나 각 도의 감영에서 시행하는 특수병종의

  • 용담 / 龍潭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진안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물거현(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청거(淸渠)로 고쳐 전주도독부(全州都督府) 관내 진례군(進禮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진례군의 임내였다가 1313년(충선왕 5) 용담으로 바뀌면서 현령을 두었다. 임

  • 고령진민선정가 / 高嶺鎭民善政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조선 영·정조 때 관리인 강응환(姜膺煥)의 선정을 찬양하여 지은 가사이다. 강응환의 『물기재집(齋集)』 부록에 「무호가(武豪歌)」라는 가사와 함께 실려 전한다. 강응환이 고령진첨사(高嶺鎭僉使)로 있을 때 만들어진 노래로, 가

  • 무호가 / 武豪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정조 연간에 강응환(姜膺煥)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128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6조, 2·2조 등도 드물게 나온다. 『물기재집(齋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이 가사는 작자가 젊었을 때

  • 금강산 월출봉 출토 사리장엄구 / 金剛山月出峰出土舍利莊嚴具 [예술·체육/공예]

    감싸는 은제 원통 외면에 새겨진 음각 글씨(奮忠定難匡復燮理佐命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守門下侍中李成桂 三韓國大夫人康氏 氏)를 통해 이성계와 둘째 부인 강씨가 제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