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목항아리” 에 대한 검색결과 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6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 않은 경우의 두 가지가 있다. [내용] 는 고배(高杯)와 함께 신라토기의 대표적 기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 의미로서의 긴 목이 달린 항아리의 형식은 신석기시대부터 보이며, 청동기‧초기철기시대에도 계속 사용된다. 특히, 검은간토기〔黑色...
    이칭별칭장경호|단경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으로 길게 붙어있는 항아리.
    정의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으로 길게 붙어있는 항아리.[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n mok hangari | MR표기kin mok hanga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짧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항아리.
    정의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항아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jalbeun mok hangari | MR표기tchalbŭn mok hanga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굽다리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가야의 토기. 받침이 달리고 목이 긴 항아리.
    정의신라‧가야의 토기. 받침이 달리고 목이 긴 항아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updari gin mok hangari | MR표기kuptari kin mok hanga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덕주산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아래 바닥에서 8개의 토기와 1개의 방추차(紡錘車)가 발견되었다. 주산리고분군의 유물은 유적들이 대부분 도굴로 인해 파괴, 교란된 상태여서 대부분이 상실되었다. 토기는 굽다리접시〔高杯〕‧손잡이달린 접시〔把手付杯〕‧가는 〔細頸壺〕‧뚜껑접시〔蓋杯〕‧굽달린...
    이칭별칭대덕주산동고분군

멀티미디어(1)

주제어사전(3)

  • / [역사/선사시대사]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으로 굵고 길게 붙어 있는 항아리. 는 고배(高杯)와 함께 신라토기의 대표적 기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 의미로서의 긴 목이 달린 항아리의 형식은 신석기시대부터 보이며, 청동기·초기철기시대에도 계속 사용된다. 특히, 검은간토기

  • 뚜껑모양동기 / 圓蓋形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그릇의 뚜껑처럼 둥글고 한 편이 오목하게 생긴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 두 유적은 동일한 형식의 분묘유적일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거친무늬거울〔粗文鏡〕, 삼각형간돌살촉〔三角形磨製石鏃〕, 흑색〔黑色長頸壺〕가 공통적으로 껴묻혀 있었다. 따라서 여기서 출토된 뚜

  • 경산대평동유적 / 慶山大坪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산시 대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조선시대의 생활유적. 유물은 청동기시대 석기 3점이 출토되었고, 통일신라시대 유물은 모두 728점이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시대 출토 유물의 종류는 굽다리접시〔高杯〕, 뚜껑〔蓋〕, 짧은〔短頸壺〕, 큰항아리〔大壺〕, 병(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