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78)
- 목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모양인 데 비해 목탁은 둥근 형태로 만들어진다. 만드는 재료는 대추나무가 가장 좋으나, 박달나무‧은행나무‧궤목 등을 많이 사용한다. 목탁은 목어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그 소리를 듣고 목어의 유래에 얽힌 전설이나 눈을 감지 않는 고기를 연상하여 경각심을 일으키도록...
- 목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목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교에서 독경(讀經)이나 염불을 욀 때 사용하는 불구(佛具).정의불교에서 독경(讀經)이나 염불을 욀 때 사용하는 불구(佛具).[두산백과] | 문광부표기moktak | MR표기mokt’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목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정과 은부인의 둘째아들로 구궁산(九宮山) 백학동(白鶴洞)보현진인(寶賢眞人)의 제자이다. 스승의 명으로 강태공을 도우러 가다가 장계방의 수하장수인 풍후패를 만나 목을 베어 가지고 태공에게 가 동참한다. 아버지 및 3형제 모두 무왕을도와 주나라 창업(創業)에 큰 공훈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穆度婁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504 穆度婁 남자 佐輔沛者 高勾麗 遂成 D_08_01_117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11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1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08)
- 每歲孟春,遒人以木鐸徇于路,官師相規,工執藝事以諫。其或不恭,邦有常刑。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80 梅氏書平 卷二 ITKC_MP_0597A_0580_040_0020 每歲孟春,遒人以木鐸徇于路,官師相規,工執藝事以諫。其或不恭,邦有常刑。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권차명梅氏書平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儀封人請見曰:“君子之至於斯也,吾未嘗不得見也。” 從者見之,出曰:“二三子何患於喪乎?天下之無道也,久矣。天將以夫子爲木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60 論語古今注 卷二 ITKC_MP_0597A_0360_010_0090 儀封人請見曰:“君子之至於斯也,吾未嘗不得見也。” 從者見之,出曰:“二三子何患於喪乎?天下之無道也,久矣。天將以夫子爲木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鐵蒺藜 말음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鐵蒺藜 말음쇠 1778방언유석_서부방언014a.jpg 鐵蒺藜 말음쇠 鹿角 거머젹 刀斗 됴두 梆子 목탁 敲梆 목탁치다 號衣 표의 騎射 긔추 較射 결워 다 拉弓 활 도릐다 上弓 활짓다 卸弓 활 부리오다 弓硬 활 세다 弓軟 활 물으다 ...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1921 B051921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4月 20日_016 ... 而田稅則勿爲劃給, 宜矣。 令曰, 依。 出擧條 在魯曰, 春間京畿監司洪鳳漢陳達, 以爲巡過江都時見之, 諸山樹木濯濯, 問之。 則島中柴道甚艱, 一年草, 隨生隨刈, 以致如此也。 此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2056 B052056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4月 20日_016 ... 而田稅則勿爲劃給, 宜矣。 令曰, 依。 出擧條 在魯曰, 春間京畿監司洪鳳漢陳達, 以爲巡過江都時見之, 諸山樹木濯濯, 問之。 則島中柴道甚艱, 一年草, 隨生隨刈, 以致如此也。 此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6)
- 목탁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목탁명당’이라는 자리가 있냐고 물어보자, 처음에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가 “아, 목닥”이라고 하면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 친구의 목탁비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쌍소리 하나 하겠다면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0-11-10 | 조사장소충청북도 청주시 사직동 | 제보자유영준
- 목탁혈과 바랑혈에 묘를 쓴 박씨네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마을 지명에 관한 것을 묻자, 약속 시간에 늦어 이야기를 그만 해야 하는데 또 하게 되었다면서 구연을 시작하였다.조사일시2010. 2. 5(금)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궁항리 신궁마을 113번지 | 제보자송경섭
- 잇큐의 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분을 읽었는데. 그러니까 뭐라고 할까? 원래 그 잘 모르겠네. 그 기도할 때 그게 스님이 앞에 있고 친구들이 같이 있어요. 근데 스님이 이렇게 뭐라고 할까? (손을 치는 시늉을 하면서) 뭐라고 할까? 이게 뭐예요? [조사자2: 목탁.] 목탁하고 기도하고 있어요. 그래서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어머니를 구원한 아들의 효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가시 있고, 덤불 안에.] 그러니까 밑에 귀신을 막 때리고 그 본인이 많이 속상했어요. 그냥 돌아갔어요. 부처님한테 기도하고 맨날 이거 절에서 이렇게 탁탁치는 거 있잖아요. [조사자: 목탁?] 네. 우리 기도할 때 하는 거 있잖아요. [조사자: 거기서는 그걸 뭐라고 불국가베트남 | 제보자누구엔티미두이엔(원지영) [베트남, 여, 1989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20)
- 조양보 간행을 축하하며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조양보 간행을 축하하며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1호 祝朝陽報發刊 1906. 06. 25. 8 12 건당 소삼근(乾堂 小杉謹) 미상(未詳) 조양보 간행을 축하한 시 목탁, 공명정대 조양보번...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1933년6월_조선경제잡지_210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세출결산 【목차】 [자료] 재검토를 요하는 조선의 지하자원 – 소목탁이(素木卓二) 조선상공회의소 주최의 공업진흥간담회 개황 중소상업자 진흥책 간담회 [조사] 대판(大阪)시장의 조선 목탄 - 조선물산협회 경성의 상황(商況)과 금융(5월 중) 조선의 회사 이동(異動)(...대표표제어1933년6월_조선경제잡지_210호 | 지역경성 | 키워드지하자원, 공업진흥 간담회, 중소상업자진흥 간담회, 목탄, 상공회의소 세입세출결산 | 연월일1933년6월 | 자료명조선경제잡지
- 가톨릭청년_1969_2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기원 김치웅 70 목탁 김경옥 70 기원 김모이세 71 무제 안도민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위 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여보 이셰상가온 사의일이 무셥고 두려온것이 만치만은 기즁뎨일 위것이 무엇이오 나 어린아 물가에보것이 뎨일위합듸다 자칫면 져쥭을터인닛가 나 쟝쥭물고 밤뒤간에가것이 뎨일위합듸다 자칫면 목닐터이닛가 나 산골집에셔 문녈고 자것이 뎨일위 합...게재일1907년 8월 18일 | 기사분류기타
- 소년아동_1987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안 44 파일명 044~047로 수정 높이 뜬 흰구름, 참새 김학송 48 맹호와 산림, 수탉의 울음소리, 원숭이가 자라를 낚다, 념주와 목탁 벽파...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7
기타자료(2)
- 목포-광양(목포-장흥)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문화유적조사보고Ⅰ 시굴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기 등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가마 2기는 역삼각형의 평면 형태와 규모, 구조 등으로 보았을 때 목탁을 생산하였던 가마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시기는 내부에서 출토된 기와와 주변 출토 유물을 근거로 살표볼 때 9세기에서 11세기를 전후한 시점인 통일신라시대를...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전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김해 구산동 유적Ⅴ-고려ㆍ조선시대(5)-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 반타원형 고리를 부착하여 형태가 목탁과 유사하다. 몸체 중앙에 2조의 침선으로 대의 효과를 내었고 내부에는 석재 방울알이 들어 있다. 동전은 8점이 있다. 일부는 부식으로 정확한 종류를 알 수 없다. 확인되는 것에는 가태통보, 희녕중보, 천계통보, 숭녕통보가 있다....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4)
-
목탁 / 木鐸 [종교·철학/불교]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도구의 하나. 둥근 형태로서 안이 빈 나무통을 채로 두드려서 사용한다. 목어가 변현된 것이다. 포단 위에 두고 치는 큰 것과 손에 들고 치는 작은 것 두 종류가 있다. 주로 대중을 모을 때와 염불, 예배, 독경할 때 사용한다. 범패 의식을 할 때에
-
묘수사 / 妙壽寺 [종교·철학/불교]
1920년 4월에 창건한 한국불교법화종의 최초 사찰로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북수동에 있는 절. 새벽 4시만 되면 목탁소리가 담 밖을 넘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구실을 하였다 하여 ‘똑딱절’이라고도 한다. 창건 이후 교세를 확장하여, 1946년 3월 정
-
법열의시 / 法悅의詩 [예술·체육/무용]
인간이」, 「의식의 빛」, 「함께 가야 한다」 그리고 「법열의 시」가 선보여졌다.「법열의 시」는 인도의 라가(Raga)와 불교적 의식에서 영향을 받은 30분짜리 작품으로, 당시 한국 현대무용에서는 도외시되었던 불교적 색채가 농후한 작품으로 화제를 모았다. 실제로 목탁과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로) 李弘幹 折簡爲也(ᄒᆞ야)/ 張順孫 何孫爲爾(엇던 손 ᄒᆞ며) 韓效元 何(엇던) 官員 爲了(ᄒᆞ뇨)/ 鄭萬鍾 丘從爲古(ᄒᆞ고) 李任 漢任爲也(하님 ᄒᆞ야)/ 趙元紀 豪氣奴(로) 柳灌 陶罐(도관) 許磁 莫子(막ᄌᆞ)/ 崔世節 無節屎(히) 金鐸 木鐸 加齊(가져)/ 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