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조보살좌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목조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내용] 높이 54cm.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전체적인 조각 기법으로 보아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으로 보인다. 통나무를 깎아 조각하여 보살상을 만들고 양손은 따로 끼워 넣었다...
- 상원사목조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창 상원사 목조보살좌상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상원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보살상. 전체 높이 1.2m.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2호.연계항목상원사목조보살좌상(上院寺木造菩薩坐像)
- 괴산개심사목조여래좌상과목조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개심사(開心寺)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보살좌상. [내용] 높이 목조여래좌상 85cm, 목조보살좌상 72c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원래 괴산군 칠성면 두천리 보덕암에...
- 청룡사관음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 4-1번지 청룡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내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6호. 총높이 45㎝, 무릎폭 33㎝.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상호는 사각형인데 고개...연계항목청룡사관음보살좌상(靑龍寺觀音普薩坐像)
- 용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형을 유지하고 있어서 조선 후기의 목조건물 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유물로는 용궁사 편액과 목조보살좌상, 관음탱화, 지장탱화, 신중탱화 등이 있다. 용궁사 편액은 1854년 흥선대원군이 쓴 것이다. 목조보살좌상은 중국에서 모셔 왔다고 구전되는...이칭별칭백운사(白雲寺)|구담사(瞿曇寺) | 연계항목용궁사(龍宮寺)
주제어사전(1)
-
목조보살좌상 / 木造菩薩坐像 [예술·체육/조각]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높이 54cm.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전체적인 조각 기법으로 보아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으로 보인다. 통나무를 깎아 조각하여 보살상을 만들고 양손은 따로 끼워 넣었다. 그러나 왼손은 없어진 상태이다. 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