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12)
사전(211)
- 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화살수 1개 이상을 선발하며, 복시도 이와 동일하다. 한편, 보사는 도보중에 활을 쏘아 무예를 시험하는 것으로, 목전과 철전(鐵箭)을 써서 주로 멀리 쏘는 능력을 살피고, 편전(片箭)을 써서 주로 정확히 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목전과 철전의 경우 각각 240보...이칭별칭박두전(樸頭箭)|목박두전(木樸頭箭)
- 목전(木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전 목전 木箭 목박두전(木樸頭箭)ㆍ박두전(樸頭箭)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박재광 [정의] 조선시대 무과의 초시(初試)와 복시(覆試) 또는 교습(敎習)할 때 시험용으...관련어목박두전(木樸頭箭)ㆍ박두전(樸頭箭)
- 장목전(長木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목전 장목전 長木廛 시전(市廛) 내장목전(內長木廛), 외장목전(外長木廛) 외도고(外都庫), 목사(木商) 경제재정/공물·진상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이욱 [정의] 궁궐이나 서울 거주민에게 목...상위어시전(市廛) | 동의어내장목전(內長木廛), 외장목전(外長木廛) | 관련어외도고(外都庫), 목사(木商)
- 백목전도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제국기 종로에 형성되어 있었던 시전(육의전)을 일컬어 부르는 말로 당시에 백목판매점이 주를 이루었던 것에서 비롯됨.정의대한제국기 종로에 형성되어 있었던 시전(육의전)을 일컬어 부르는 말로 당시에 백목판매점이 주를 이루었던 것에서 비롯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aengmok jeondoga | MR표기Paengmok chŏndo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쓰마키 덴베에(妻木傳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079 인물 쓰마키 덴베에(妻木傳兵衛) 쓰마키 덴베에 妻木傳兵衛 ? ? 에도시대 중기의 미치켄분(道見分). 처목전병위(妻木傳兵衛). 1655년 정사 조형(趙珩), 부사 유창(兪瑒),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통신사...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860)
- 목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전 김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애민구(爱民区) 5위 25조 7 3 목전, 형세, 나날, 좋아...대표표제어목전 | 성씨김
- 목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전 김 남자 복건성(f福建省) 하문시 2 2 목전, 중국, 수출상품, 기회, 대한민국, 홍콩, 중국, 무역, 보건데, 불편...대표표제어목전 | 성씨김
- 목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전 배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4 3 목전, 미국, 일본, 사업가, 민족, 남쪽나라, 공업, 착수, 편...대표표제어목전 | 성씨배
- 목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전 김 남자 함경북도 명천군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화룡현(和龙县) 화룡진 문화가 5위2조 ...대표표제어목전 | 성씨김
- 목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전 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조선족중학교수발실 2 1 목전, 김선생임, 훍, 행복한생활, 두책을...대표표제어목전 | 성씨강
신문·잡지(628)
- 牧田稔(-)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牧田稔(-) 청진 牧田稔 - 浦項洞 - - 주류판매업 - - 장유, 미소 겸업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牧田稔(-)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주류판매업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八木田英子(八木田英子)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八木田英子(八木田英子) 서울 八木田英子 八木田英子 靑葉町 3-111-18 금융 - 금융 -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八木田英子(八木田英子)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출판경찰보 098호 목전형세적분석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98호 목전형세적분석 목전형세적분석(目前形勢的分析) 이론(理論)과 실천사(實踐社) 저(著) 미기재 미기재 일본_1936년 10월 30일 금지 안녕 중국어 목전형세적분석, 신세...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98호 목전형세적분석 | 출판물명목전형세적분석(目前形勢的分析)
- 櫻木芳吉(櫻木電氣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櫻木芳吉(櫻木電氣商會) 서울 櫻木芳吉 櫻木電氣商會 漢江通 7-22 청부업 - 전기공사 청부 42.6 電器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櫻木芳吉(櫻木電氣商會)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전기공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面目全く一新せん (면목을 완전히 일신시켜)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面目全く一新せん | 기사명_한글면목을 완전히 일신시켜 | 부제_원문平城府の大同門公園設計名勝保存上から云っても適当の処置 | 부제_한글평성부의 대동문공원 설계명승보존상에서 말해도 적당한 처리 | 게재일19220222 | 게재판무 | 게재면03 | 게재단4-6
기타자료(13)
- 목전기호;木全基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327 일본 橫濱 橫濱高等商業學校 橫濱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6年度 1941―12―08 92면 목전기호;木全基浩 조선학교소재지역橫濱 | 학교명橫濱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전기호;木全基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328 일본 橫濱 橫濱高等商業學校 橫濱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7年度 1942―11―20 138면 목전기호;木全基浩 조선 제16회 1941년 12월학교소재지역橫濱 | 학교명橫濱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전문웅;木田文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548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2면 목전문웅;木田文雄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팔목전순일랑;八木田淳一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459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2면 팔목전순일랑;八木田淳一郞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팔목전순일랑;八木田淳一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4947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6호 1934―11―05 100면 팔목전순일랑;八木田淳一郞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1)
-
목전 / 木箭 [과학/과학기술]
조선시대 무과의 초시와 복시 때 시험용으로 쓰던 나무로 만든 화살. 대열(大閱: 3년마다 임금이 몸소 참석하여 행하는 閱武)이나 무과를 비롯한 시취(試取: 과거를 보게 하여 인재를 뽑는 일) 또는 교습(敎習)에 사용하는 화살로서, 화살촉은 나무를 깎아 끝을 뭉툭하게 만
-
인천항포목전명단 / 仁川港布木廛名單 [정치·법제]
인천항에서 포목전을 운영하고 있는 상인의 명단. 장내흥(張乃興)을 비롯해 모두 14명의 명단이 기록되었다. 이 문서에 기록된 장내흥이나 최봉현 등은 재력을 바탕으로 인천이나 강화 등지에 설립된 학교에 찬조금을 내기도 하였다.
-
면포전 / 綿布廛 [역사]
조선시대 육주비전 가운데 주로 백목의 판매를 취급하던 시전. 면포전의 국역부담은 9분이나 되는 큰 부담을 졌던 시전이었다. 조선시대에 의료(衣料) 중 면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수 있었던 것은 조선 중기 이후에 면화재배가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국민의 태반을 이루는
-
보사 / 步射 [정치·법제/국방]
도보 활쏘기 시험. 도보 중에 활을 쏘아 무예를 시험하는 것, 목전과 철전을 써서 주로 멀리 쏘는 능력을 살피고, 편전을 써서 주로 정확히 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목전과 철전의 경우 각각 240보와 80보 거리에 표를 설치하였고, 편전의 경우에는 130보 거리에 후
-
내금위취재 / 內禁衛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관 채용시험. 정예근위부대의 하나였던 내금위의 군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병조에서 도총부·훈련원의 당상관 각 1인과 함께 시험을 보아 선발하였다. 내금위에 결원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행하였다. 시험과목은 목전·철전·기사와 기창의 기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