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35)
사전(827)
- 목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건축‧가구‧보드류‧펄프‧종이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나무재료로서, 때로는 필요한 치수와 형태로 만들어 낸 나무재료. [내용] 목재란 학술적인 개념으로 볼 때 수목의 성장에 따라서 형성층세포가 분열증식하여 형성층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목질
- 목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재문집 / 홍여하 목재문집 / 홍여하 1693년(숙종 19)에 간행된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홍여하의 문집. 장서각도서.
- 목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는 ‘화식전’을 본떠서 지은 것이다. 우리나라 한양을 비롯해 송도‧평양‧해주‧공주‧부여‧금마‧안동‧김해‧경주 등의 풍속‧물산‧교통‧상업 등의 상태와 경제를 서술하였다. 목재문집 / 황곡 ...
- 牧宰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091 牧宰員 관직 簪纓 麗史 D_05_01_120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1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1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임산학(林産學) 분야의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설립목적] 목재이학‧목재화학과 이에 관련되는 학문의 연구를 통하여 학술정보의 교류와 기술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할 목적으로 심종섭(沈鍾燮)‧정병재(丁丙載)‧조재명(趙...
단행본(1)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8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別洞集 尤溪逸稿 梅塢逸稿 木齋集 能皐集 荷叟集 放汕遺稿 龍岡遺稿 竹田遺稿
고서·고문서(1,185)
- 목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재 이 남자 경상북도 안동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학강시(鹤岗市) 단결향 화춘촌 4 2 목재, 검사원, 도장, 등...대표표제어목재 | 성씨이
- 목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재 로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화룡현(和龙县) 연잎공사 6 3 목재, 회사, 책임자...대표표제어목재 | 성씨로
- 목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재 이 남자 경상북도 안동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학강시(鹤岗市) 단결촌 화춘춘 3 2 목재, 검사원, 도장, 등...대표표제어목재 | 성씨이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2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3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4)
- 이여송이 혈 찌른 목재와 금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청룡산과 어옹수조형에 대한 이야기들을 저마다 주고받았다. 마을 앞의 낮으막한 청룡산이 낚시형의 곧은 부분(실을 매는 부분)에 해당되는데, 그 중간으로 버스길이 나서 지리적 형국을 훼손하게 되었다고 걱정인 한편, 편리한 교통을 위해서 할 수 없...조사일시1984-02-13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 제보자정진기
- 오준익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향, 부모, 형제관계, 가정 형편 군생활, 공무원 시험, 결혼, 목재소 근무, 등대지기 생활 등대지기 생활 등대 생활의 변화, 주택 구입 부인의 수술, 자녀의 결혼, 등대 생활 및 표창 EBS 프로그램 출연, 등대 생활 고향 집, 취미, 등대 근무 취미, 좋아하는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인천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가목사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어서, 태어난 고향인 가목사 마을에 대해 조사자가 질문하자 제보자가 가목사의 유래를 얘기 했다. 옛날 홍수가 심하게 발생하자 좋은 목재들이 송화강 물을 따라 떠내려 왔다고 한다. 마을에 최상의 나무들이 떠내려 오자 사람들이 좋은 나무가 떠내온 곳이라고 해서 가목사라는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최승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들어감. - 고아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진학, 짧은 회사 생활과 군 입대. - 제대 후 같은 황해도 출신 피난민 여성과 혼인, 그 후로 인천으로 나옴. - 인천에서 같은 황해도민이 많던 제2교회를 다니게 됨. - 동화개발과 연계하여 목재 부산물 사업에 종사했고 필요한구술자최승덕 | 직업제삼교회 장로 | 지역황해도
- 함평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감수부르는 노래 농구소리 말밖는소리 상사소리 목도소리 강목재올리는 소리 1977-07-02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26:13 11:50 A면 1) 질두레소리(00:27): 독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천학실
기초학문(3)
- 가구 용어 연구 III - 가구목재 용어 중심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선옥, 게재일 : 201157915 문선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구학회 2011 가구 용어 연구 III - 가구목재 용어 중심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淸代 서남지역의 목재교역과 소수민족 상인 - 貴州 錦屛縣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홍길, 게재일 : 200931391 김홍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09 淸代 서남지역의 목재교역과 소수민족 상인 - 貴州 錦屛縣 지역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청원 소로리 후빙기 시대의 환경;출토목재의 수종분석을 중심으로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원규, 게재일 : 200402018 박원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4 청원 소로리 후빙기 시대의 환경;출토목재의 수종분석을 중심으로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738)
- 木材輸出計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졍부에셔명년부터 그나라에인 삼림업을 확쟝야 재목을 만들어셔 한쳥량국으로 슈츌기로 됴샤즁인 일본상민즁 신실자에게 위탁야 판기로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唐木 勝(唐木材木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唐木 勝(唐木材木店) 서울 唐木 勝 唐木材木店 新堂町 412 건축재료 - 목재 소매 75.6 시멘트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唐木 勝(唐木材木店) | 지역서울 | 품목건축재료 | 영업종목목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木浦木材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木浦木材商會(-) 목포 木浦木材商會 - 幸町 1丁目 - - 목재상 - 173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木浦木材商會(-)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목재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新義州木材商組總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新義州木材商組總會 1940년 11월14일 신의주 신의주 신의주 목재상조합은 9일 부내 상공회의소에서 임시총회를 개회하...대표표제어新義州木材商組總會 | 연월일1940년 11월14일 | 지역신의주
- 木材關稅 引上反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木材關稅 引上反對 1931년 5월28일 청진 청진 청진상공회의소 내에 있는 두만강유역 목재업연합협회가 만주산 목재 관...대표표제어木材關稅 引上反對 | 연월일1931년 5월28일 | 지역청진
멀티미디어(4)
- 기저부 전경2(남→북).jpg c4-0078_#4 유구 도판16.①치 성토부 목재공1,②치 성토부 목재공2 2013-05-01_0.1090662_도판16.①치 성토부 목재공1,②치 성토부 목재공2.jpg c4-0078_1 유물 도판20.제목공주 수촌리 토성 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 대성동유적 - 가야의 숲 조성공사 부지내 시굴조사 및 동편지구 발굴조사 보고서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_5 유물 도판 66. 목재(5) 2014-10-08_0.7637598_도판 66. 목재(5).jpg제목김해 대성동유적 - 가야의 숲 조성공사 부지내 시굴조사 및 동편지구 발굴조사 보고서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가동유적2_도판135.6호 우물(1,2;상부목재 노출세부,3;하부구조 노출전경, 4;하부구조 세부), 7호우물(5;전경) ll5-0067_5_2015-05-16_1000_기장 가동유적2_도판135.6호 우물(1,2;상부목재 노출세부,3;하부구조 노출전경, 4;하부구제목부산 정관신도시 개발지구내 유적 기장 가동유적 I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5-05-17_8054_n1-0061 서울 청진 6지구 유적_유물1_사진2. 출토유물(자기)(분청자).jpg n1-0061_11 유물 n1-0061 서울 청진 6지구 유적_유물7_사진53. 출토유물(목재)(나막신) n1-0061_11_1_2015-0제목서울 청진 6지구 유적 Ⅰ(지표 발굴조사)‧Ⅱ(출토유물)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63)
- 이목재;李穆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76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1면 이목재;李穆宰 제7회 1940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재형;李載馨;평목재형;平木載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47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회원명부(소화16년 12월) 1941―12 102면 이재형;李載馨;평목재형;平木載馨 경남 밀양군 밀양읍 삼문리 221-32 제38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재봉;李載鳳;덕목재봉;德牧載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1168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42면 이재봉;李載鳳;덕목재봉;德牧載鳳 滿洲國 北安省 北安街 滿拓地方事務所 경리과 제20회 193...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재헌;朴宰憲;후목재헌;厚木宰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786 일본 東京 中央大學 제59회 졸업기념 1943―09 0 박재헌;朴宰憲;후목재헌;厚木宰憲 경상남도 부산부 ?선정 1260 59회 1943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재홍;李載弘;평목재홍;平木載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53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30면 이재홍;李載弘;평목재홍;平木載弘 경성부 창신정 74 제8회 1933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한국 근대 산업의 형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염정섭 | 한림대학교 | 2014 | 국내 | 강원
주제어사전(65)
-
목재 / 木材 [경제·산업/산업]
건축·가구·보드류·펄프·종이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나무재료로서, 때로는 필요한 치수와 형태로 만들어 낸 나무재료. 목재란 학술적인 개념으로 볼 때 수목의 성장에 따라서 형성층세포가 분열증식하여 형성층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목질 부분을 말하는데, 목질화한 여러 개의 죽
-
목재영언 / 木齋詅言 [언론·출판]
저자 이삼환(1729-1813). 필사본. 2권 1책. 이 책은 모두 42면으로 두 면을 한 장으로 헤아리면 총 21장이 된다. <목재영언>은 구성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 부분에는 다섯 편의 산문이 6면에 걸쳐서 실려 있는데, 비교적 짧은 논설문으로
-
목재선생문집 / 木齋先生文集 [종교·철학/유학]
목재 홍여하의 문집. 목판본, 서:권유(1693),12권6책. 권1~2는 시 287제 374수로 이루어져 있다. 권3은 소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4는 서 40편, 권5는 설 7편, 논 2편, 기사 1편, 의변 1편, 문 2편, 기적 4편, 전 2편,책제 1편,
-
인천목재산업단지 / 仁川木材産業團地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석남동 일대에 있는 산업단지. 경인고속도로 인천인터체인지에서 해안쪽으로 0.5㎞거리에 입지하며 목재공업의 계열화 및 기계화로 영세성을 탈피하고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고자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목재공업은 원료인 원목의 대부분을
-
동서재장 / 東西材場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목재를 관장하던 관서. 동재장과 서재장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장(場)이란 국가에서 경영하는 산업장의 관부를 의미하며, 또 그 명칭으로 보아 목재와 관계가 있는 듯하므로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목재의 저장과 조달을 관장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관원으로는 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