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63)
사전(768)
- 목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가축을 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초지‧건물‧목책(木柵) 등을 설비해 놓은 토지. [내용] 전업적 축산업 가운데 가장 집약적인 방법이다. 목장의 입지 선정은 가축의 종류와 수량, 그리고 경영 목적에 따라 기후‧지형‧토질‧수질‧수목‧야초‧교...
- 牧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1_S_0008 牧塲 동물 絲麻, 鹽鐵, 馬政, 銅馬 武帝時 周, 汧渭, 附庸邑, 秦, 交趾, 魯班門外, 金馬, 濟牧, 元, 無慮 聖人, 非子, 孝王, 牧之, 馬援, 東門京, 獻之, 援, 楊子阿, 世祖, 百里 詩, 銅馬相法 S_04...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4권 1장 10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木匠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M0_D_0010 木匠 산업 기타 新宮, 公主, 新宮, 徒役, 三年, 一日之息, 妻兒, 農時, 乞放, 膺慶 忠烈王 麗史 D_17_01_28 대동운부군옥 17권 1장 2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1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牧場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M6_D_0002 牧場 목축 置官 忠烈王三年 耽羅 元世祖 勝覽 D_06_03_30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목장(牧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장 목장 牧場 마정(馬政) 강무(講武), 국마목장(國馬牧場), 사마목장(私馬牧場), 감목관(監牧官), 군두(群頭), 군부(群副), 목자(牧子), 열무(閱武), 전곶목장(箭串牧場), 녹양목장(綠楊牧場) 경제교통/마정 개념용어 ...상위어마정(馬政) | 관련어강무(講武), 국마목장(國馬牧場), 사마목장(私馬牧場), 감목관(監牧官), 군두(群頭), 군부(群副), 목자(牧子), 열무(閱武), 전곶목장(箭串牧場), 녹양목장(綠楊牧場)
논문(1)
- 군수 우육 통조림 생산과 조선 : 러일전쟁 이후의 진해만 해군용지 목장건설계화의 사례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체험⋅기억⋅상생의 스펙트럼 - | 一橋大學 (Hitotsubashi University)]저자 : 蔣允杰 | 게재정보 : 日韓相互認識유형논문
고서·고문서(1,754)
- 목장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행정 및 내무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포목장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포목장사 김 남자 전라남도 담양군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县) 왕청가7위8조4호 4 3 포목장사, 외숙부, 마...대표표제어포목장사 | 성씨김
- 初夏の牧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236 창가 初等唱歌解說書 第六學年用 22121 1939 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酒井與三吉 藤木外次 初夏の牧場 〈#20〉 敎材觀 牧場はあまり兒童生活には密接ではないが旣習の事項より理解は出來る. 牧場のいかにも, のんびりした中に駒の...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初夏の牧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011 창가 初等唱歌 第六學年 22096 1935 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日本唱歌出版社 柏佐一郞 井下精一郞 初夏の牧場 〈#21〉 [ 一 ] 見渡(みわた)すかぎり 草(くさ)は綠(みどり) 靑葉若葉(あをばわかば)の 森(もり)につづ...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목장의 저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897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목장의 저녁 〈mn〉악보 있음, 오선보〈/mn〉 〈#261〉 풀밭 넘어 저녘해 잠자려 가고 어린 소가 매□ 매□ 우러댈 때면 풀피리 호수가에 띄워두고요 어린 염소 잠재우러 나는 감니다 힌 꽃 핀구분창가
구술자료(10)
- 포목장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번에는 조용히 듣고 있던 제보자에게 얘기를 청하자, 고개를 끄덕여 응해 주었다. 제보자는 이야기를 끝내고는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얘기하곤 했다. *조사일시1985-04-16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 제보자손병준
- 부인이 버릇고친 포목장수의 지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7]을 끝내고서, 지네와 두꺼비가 싸운 얘기와 같은 동물담을 유도했더니 모른다고 거절했다. 조사자는 그러면 아무얘기나 좋으니까 해 달라고 다시 청하자 얘기를 시작했다. 구연시 대화하는 대목에서는 목소리도 변화시켜 가며 실감나게 구연을 했으나 다소 알아들을 ...조사일시1985-03-30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 | 제보자김학기
- 마르카콜 호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에 빠졌는데 양치기 소년과 소년의 아버지가 힘을 합하여 생명을 구해주었다. 양을 구하고 나니 샘에서 흘러나온 물이 목장을 가득 채워 호수가 되었다. 그래서 양의 이름인 ‘마르카’와 호수를 뜻하는 ‘콜’이라는 말을 붙여 ‘마르카 콜’이라 명명하였다. 양, 양치기, 소년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김성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후 부산에서 전투 후에 제주도로 내려와서 경찰 근무 - 다시 인천으로 복귀하여 결혼, 미군 부대 경비원 생활 - 목장을 시작하여 우유 보급소 시작, 사업 점차 확장 - 주유소 등 다른 사업도 진행 - 젊은 시절부터 평안남도 민회 활동 - 중국 중개인을 통하여 북한에구술자김성주 | 직업평안남도 민회 | 지역평안도
- 안월성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야스 장사, 번영회장, 비단, 세무서, 엘에이(LA), 이산가족, 자전거, 장부, 장사, 주단, 사격, 사과농장, 스키, 식도암, 연막탄, 포목장사, 한복, 화학과장, 김대중, 김영삼, 김정은, 노무현, 노태우, 박정희, 이명박, 박근혜 전두환, 조석재, 원충연, 5.구술자안월성 | 직업자영업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6)
-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71466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7
- 濟州牧場의 설치와 운영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옥, 게재일 : 200109055 김경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화학회 2001 濟州牧場의 설치와 운영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의 해체과정과 사회ㆍ생태적 함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순진, 게재일 : 200641892 윤순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촌사회학회 2006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의 해체과정과 사회ㆍ생태적 함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말 목장토의 소유관계 변화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2741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사학회 2002 한말 목장토의 소유관계 변화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현, 게재일 : 201367320 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판사회학회 2013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262)
- 牧塲調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실소관목장을 평양에 셜치난건으로 궁부에셔 졔도국 참셔관 유치형씨를 임의평양에 파송야 그목츅장구역을 답샤얏난 그뎡계안에잇난 인민의 유토디를 구별기위야 부로죠회고 도관찰의게 훈칙야 인민의 뎐답분묘와 가옥원림을 됴샤슈보케야 곳보달나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牧塲調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양군에 셜치 황실 목장구역안에잇 민유뎐답 가옥과 분묘원림의 슈효를 군에셔 됴샤야 부에 보고얏다 그동강방림원방등 여셧방리 오십삼동 가옥이 삼쳔삼 이십구호에 간슈가 일만륙쳔 팔삼십간이오 분묘가 구만팔쳔 오십팔이오 삼리이 이만팔쳔 삼오십쥬오게재일1906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牧塲基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실 목츅쟝을 평양에 셜시말은 이왕긔얏거니와 평양관찰리용션씨가 목장긔지 에 인가 삼림분묘뎐답을 답샤보고얏는데 인가가 삼쳔삼이십구호요 삼림이 이만팔쳔삼오십쥬요 분묘가 구만팔쳔오십팔쟝이오 뎐답이 이쳔륙십팔결팔십이부륙속이라더라게재일1906년 8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木場新吉(木場新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木場新吉(木場新吉) 서울 木場新吉 木場新吉 花園町 52 음료품 - 청량음료수 소매 23.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木場新吉(木場新吉) | 지역서울 | 품목음료품 | 영업종목청량음료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牧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쥬마두등파 언츄씨 본월팔일에 동경셔나 건너오고 쥬마로기 신샹쟝보씨슈관으로건너와셔 우리한국에 즘먹이 목쟝을 뎡기로다더라 일본 쥬마두탄거슨 우리나라 복뎨됴갓흔벼살이니 이 나온다 등파작은 슈삼십년 쥬마두로셔 즘길으 학문이 도뎌야 셔양각국 됴...게재일1905년 11월 13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22)
- 19세기 중반 목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목장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없음 없음 대동지지 없음 경제_991_19세기_중반_목장 경제_064_19세기_중반_목장.jpg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목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목장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없음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990_18세기_중반_목장 경제_063_18세기_중반_목장.jpg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목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목장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없음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989_16세기_초반_목장 경제_062_16세기_초반_목장.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목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목장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없음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988_15세기_중반_목장 경제_061_15세기_중반_목장.j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9세기 중반 제주도 목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목장 분포도 점묘도 도 군현 1:280,000 19세기 중반 없음 없음 대동지지 없음 경제_1005_19세기_중반_제주도_목장 경제_078_19세기_중반_제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40)
- 금목장성;金木長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1911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85면 금목장성;金木長成 청주군 사주면 율양리 35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청목장길;靑木壯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04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49면 청목장길;靑木壯吉 함남 신흥군 東上面 新成里 660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화;李淙和;천목종화;川木淙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4033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44면 이종화;李淙和;천목종화;川木淙和 경기 제16회 1938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위원회 소식 제2회 제주도 영농 학생 수련대회 개최-서귀 농고 목장에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위원회 소식 제2회 제주도 영농 학생 수련대회 개최-서귀 농고 목장에서 교육위원회 소식 제2회 제주도 영농 학생 수련대회 개최-서귀 농고 목장에서 교육 문헌 중등교육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제주 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계목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문화유적, 단양 매포 Eco-Valley(신소재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h2-0023 유구 2013-07-14_0.1890833_중원문화재연구원_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jpg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계목장 초지조성사업지내...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87)
-
목장 / 牧場 [경제·산업/산업]
가축을 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초지·건물·목책(木柵) 등을 설비해 놓은 토지. 전업적 축산업 가운데 가장 집약적인 방법이다. 목장의 입지 선정은 가축의 종류와 수량, 그리고 경영 목적에 따라 기후·지형·토질·수질·수목·야초·교통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목초지는 가
-
목장 / 木匠 [정치·법제/법제·행정]
목제품을 만드는 장인. 나무를 다루는 일로 업을 삼는 목수이다. 택사를 짓고 주거를 만드는 자이다. 목수 중에서 대목수는 궁실을 짓는 자이며, 소목수는 기용을 만드는 자이다. 세조 6년(1460)에 선공감에 100명의 목장이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목장조직은 국
-
공목장기 / 孔目章記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균여가 지엄의 『공목장』 4권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공목장』은 의상의 스승인 지엄이 그의 만년에 지은 저술이다. 갖춘 명칭은 『화엄경내장문등잡공목(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이며, 『화엄공목장(華嚴孔目章)』·『화엄경공목장(華嚴經孔目章)』·『화엄경잡공목(
-
대목장 / 大木匠 [예술·체육/공예]
큰 건축일 및 그 일을 잘하는 목수. 국가무형문화재 제74호. 나무를 다루어 집짓는 일로 업을 삼은 사람을 목수 또는 목장(木匠)이라 통칭하는데, 그 가운데 문짝·반자·난간과 같은 사소한 목공을 맡아하는 소목(小木)과 구분하여 따로 대목이라 부른다.목조건물을 짓는 데
-
도목장 / 都目狀 [경제·산업/경제]
도록 하였다. 지방 수령은 노비호적을 토대로 총괄장부인 도목장을 따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