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62)
사전(233)
- 목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파견했는데, 1367년(공민왕 16)부터 목자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와 같은 목자의 신분 구성은 사사노비(寺社奴婢)‧공천(公賤)‧향리‧양민 등으로 편성되었다. 원칙적으로는 16세에서부터 60세까지 국가의 말을 사육하는 국역(國馬看養役)에 종사하며 그 신...
- 목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따오기’를 의인화한 것이다. 황앵아[꾀꼬리]와 청구씨[비둘기]를 경쟁하게 만들고, 그 경쟁에 자신도 끼어든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와갈선생[개구리]에게 선물을 바쳐 다른 이보다 뛰어나다는 판결을 받아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木子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0_D_0025 木子 종교(기타) 異人, 木子得國 麗, 智異山, 三韓 檀君 應製詩 D_09_04_134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3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3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목자(木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자 목자 木字 활자(活字) 목주자(木鑄字), 목판 활자(木版活字), 목활자(木活字) 고흥갑인자체목활자(高興甲寅字體木活字), 금성자(錦城字), 기영필서체자(箕營筆書體字), 나주자(羅州字), 남원필서체목활자(南原筆書體木活字), 녹권자(錄...상위어활자(活字) | 동의어목주자(木鑄字), 목판 활자(木版活字), 목활자(木活字) | 관련어고흥갑인자체목활자(高興甲寅字體木活字), 금성자(錦城字), 기영필서체자(箕營筆書體字), 나주자(羅州字), 남원필서체목활자(南原筆書體木活字), 녹권자(錄券字), 동국정운자(東國正韻字), 무주인서체목활자(茂朱印書體木活字), 문계박자(文繼朴字), 서적원자(書籍院字), 성천자(成川字), 인경자(印經字), 임고서원활자(臨皐書院活字), 전주갑인자체목활자(全州甲寅字體木活字), 추향당자(秋香堂字), 호음자(湖陰字), 홍무정운자(洪武正韻字)
- 목자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0(고종 7)∼1910.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본관은?사천(泗川). 일명 연철(然哲).?경기도 양주 출생. 1906년 2월 을사조약 강제체결에 반대하여 항일의병에 투신,?양주‧연천‧포천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이 당시 그는 자기...이칭별칭연철(然哲)
단행본(1)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8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別洞集 尤溪逸稿 梅塢逸稿 木齋集 能皐集 荷叟集 放汕遺稿 龍岡遺稿 竹田遺稿
고서·고문서(2,791)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2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3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4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5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060 上木齋書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9)
- 한용호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과 시나위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영암시나위 한용호 박영태 박상국 김상범 강한수 피리 서자침 목자침 씻김굿 시나위 1992-02-27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372번지 29: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한용호
- 박재성 한용호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영암시나위 박재성 한용호 박생발 정달식 김상범 장구 피리 서자침 목자침 오관청 단오관 새삼청 중할림 서 긴염불 진염불 진양 도드리 타령 굿거리 치잽이 목잽이 신청 아쟁 시나우 삼현육각;시나위;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재성
- 박재성 한용호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영암시나위 박재성 한용호 박생발 정달식 김상범 장구 피리 서자침 목자침 오관청 단오관 새삼청 중할림 서 긴염불 진염불 진양 도드리 타령 굿거리 치잽이 목잽이 신청 아쟁 시나우 삼현육각;시나위;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한용호
- 전경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출생지는 평안남도 영원군 마근담리임 -현 거주지는 인천 중구 운서동임 -11세까지 평양에서 거주하며 부모님과 농사를 지었음 -천도교 부목자인 고모부가 전쟁 발발 시 평양이 위험하다고 조언하여 1934년 영원군으로 이주함 -6.25발발하여 1950년 7월 2구술자전경서 | 직업이북 5도민회 | 지역평안도
- 가목사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는 절대 못 하는 거죠. 해래도 그거는 빼었다. 다른 건 다 할 수 있는데 그것만은 빼주세요. [조사자2: 이름의 유래. 왜 가목사가?] 가목사가 그 ‘가’ 자가 굉장히 최상의 그 가(佳) 자 좋은. 목자가 나무목(木). 그래서 최상의 나무. 그러니까 홍수가 내려왔을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09)
- 副木自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통감부에셔 졍부로공문야 궁부에 유치 젼외교문젹을 외국으로 부속라말은이왕긔얏거니와 궁대신 리극씨가 그건을 상쥬엿더니 쳐분에 즁대교셥안은 고에유치야 후일빙거에 금셕지뎐이되엿스니 그문부 쳔동치못터이오무론무삼교셥공문에던지부본이야 외부에...게재일1906년 4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金承烈(大興冒子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承烈(大興冒子店) 서울 金承烈 大興冒子店 鍾路 6-284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21.6 신발, 모자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대표표제어金承烈(大興冒子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荒木作次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荒木作次郞(-) 대구 荒木作次郞 - 錦町 1丁目 - - 장유제조판매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荒木作次郞(-)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장유제조판매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藤木齊(藤木屋)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藤木齊(藤木屋) 전주 藤木齊 藤木屋 大正町 2 - - 식료품,잡화 - 11 미소(味噌)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藤木齊(藤木屋)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잡화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荒木作次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荒木作次郞(-) 대구 荒木作次郞 - 錦町 1丁目 - - 주류판매 - - 미소, 장유 겸업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대표표제어荒木作次郞(-)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주류판매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기타자료(19)
- 금전목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7417 남한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1-34 제34회 졸업기념 1943 0 금전목자 강원도 고성군 장전읍 113 34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도목자;金島睦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6707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졸업대장(1928-1948) n.r. 133면 금도목자;金島睦子 제17회(제6회) 4278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자충훈;木子忠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1513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63면 목자충훈;木子忠勳 진천군 농회 제27회 1941년 12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자본경애;木子本敬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124 남한 경기 仁川昭和高等女學校 2-40 제1회 졸업기념 1944 1면 목자본경애;木子本敬愛 경기;인천부 화수정 302 제1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仁川昭和高等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기황;李起晃;목자기황;木子起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623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57면 15. 제28회 졸업생 이기황;李起晃;목자기황;木子起晃 1941년 12월 28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
-
목자 / 牧子 [경제·산업/산업]
각 목장에서 우마 사육에 종사하는 사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조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양노 또는 노자라 했고, 그 뒤 몽고가 제주도의 목장 경영을 위해 목마사육 전문가인 목호를 파견했는데, 1367년(공민왕 16)부터 목자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와 같은 목
-
목상동들말두레놀이 / 木上洞─ [생활/민속]
대전광역시 대덕구 목상동 들말에서 행해졌던 두레놀이. 음력 6월 15일 전후에 마을의 중심지인 토산(土山)에서 회의를 열어 농사를 위한 두레를 조직하고, 마을의 문서와 재정을 담당하는‘좌상’을 선출한다. 풍년을 기원하여 토산에 기를 꽂고 토산제를 지낸 후에, 두레패는
-
목재영언 / 木齋詅言 [언론·출판]
저자 이삼환(1729-1813). 필사본. 2권 1책. 이 책은 모두 42면으로 두 면을 한 장으로 헤아리면 총 21장이 된다. <목재영언>은 구성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 부분에는 다섯 편의 산문이 6면에 걸쳐서 실려 있는데, 비교적 짧은 논설문으로 되
-
목재선생문집 / 木齋先生文集 [종교·철학/유학]
목재 홍여하의 문집. 목판본, 서:권유(1693),12권6책. 권1~2는 시 287제 374수로 이루어져 있다. 권3은 소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4는 서 40편, 권5는 설 7편, 논 2편, 기사 1편, 의변 1편, 문 2편, 기적 4편, 전 2편,책제 1편, 서
-
공작미 / 公作米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왜와의 공무역 때 사용되던 목면과 교환해준 미곡. 공작미의 관리는 동래부에서 담당하였는데, 매년 5월이 그 수납기한이었으며, 왜에게 공작미를 내어줄 때 왜관까지 해로로 운송해주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