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은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139)
- 목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설]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 55권 24책. 목판본. 1404년(태종 4) 아들 종선(宗善)에 의해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동문선 東文選≫ 권9에는 ≪목은집≫ 70권이란 기록이 있어 전래본과 다른 판본이...
- 목은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말과 조선 초의 학자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시문집.정의고려 말과 조선 초의 학자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시문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ogeun jip | MR표기Mogŭn ch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牧隱集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5_D_0042 牧隱集 서적-문집 頡頏 蘇黃, 鄭麟趾, 儒士 筆苑 D_06_03_167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6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6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사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열었을 때 참찬관이 되었으며, 밀직부사를 거쳐 이듬해에는 서해도도관찰사(西海道都觀察使)를 지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1396년(태조 5)에 도성축조 일을 맡아보던 관리를 때려서 옥에 갇힌 일이 있었다. 이색(李穡)과 친교가 있어 『목은집(牧隱集)』에 그에...
- 목은집(牧隱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은집 목은집 牧隱集 시문집 한문 한국 조선 태종 성낙수 박종국 2016 이색 미상 1404 55권 24책 목판본 목은집(牧隱集) 규장각 [정의] 이
고서·고문서(11)
- 목은집(牧隱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목은집(牧隱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은집(牧隱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은집(牧隱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人事門5_母憂掌試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母憂掌試 勝國之世, 座主、門生之禮極嚴. 掌試之官, 視一榜若子. 曾見《牧隱集》, 有一人得罪於其座主, 牧老喩之以子之事父, 至誠哀訴, 冀或感悟, 當時之俗習如此. 李陶隱 崇仁亦一時名勝, 然諫臣駁之曰: “崇仁當母憂, 求爲監試試官, 母死纔踰百日, 啗肉自若, 以毁人紀.” 權陽村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10)
-
목은집 / 牧隱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이색(李穡)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목록 1책, 시(詩) 35권 17책, 문(文) 16권 4책, 부록 1책 합 23책(영본), 전 55권 25책. 이색의 시문유고로 조선후기 간행본 소장본은 시고목록상(詩藁目錄上), 중(中) 2책, 문
-
다식 / 茶食 [생활/식생활]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과정류(菓飣類)의 하나이다. 다식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목은집 牧隱集≫에 팔관회(八
-
동동주 / [생활/식생활]
찹쌀로 빚은 맑은술에 밥알을 동동 뜨게끔 빚은 술. 『목은집(牧隱集)』에 기록이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나 구체적인 제법은 『고사촬요』·『음식디미방』·『산림경제』·『양주방』·『음식방문』 등의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고사촬요』에
-
동지팥죽 / 冬至─粥 [생활/식생활]
동짓날 붉은팥을 삶아 거른 팥물에 쌀을 넣고 쑨 죽. 동짓날 절식의 하나이다. 동짓날 그가 생전에 싫어하던 붉은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던 중국의 풍습이 있었다. 그 전래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목은집』·『익재집』 등에 동짓날 팥죽을 먹는 내용의 시가 있는 것으
-
이색 / 李穡 [종교·철학/유학]
1328-1396. 고려 말의 유학자.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이라 불리운다. 원나라에 유학하였고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불교와 도교에 대해 비판하면서 본원유학을 강조했다. 문화에 권근, 정도전 등이 배출되어 조선 성리학의 기틀을 조성했다. 저서에 <목은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