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목우자수심결” 에 대한 검색결과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선 수행의 필독서이며, 세조가 불경간행을 위하여 설치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국역본 가운데 하나로 간경도감의 성격 및 초기의 훈민정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언해) ...
    연계항목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沁訣)
  • 부사법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천혜봉‧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87) 및 사법어(언해)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국역본 선이론서. 1책. 목판본. 보물 제934호. 이 판본은 고려시...
  • 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해 지눌의 '수심결'을 신미가 언해한 책. 비현합에서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가 언해하여 1467년 간경도감에서 간행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언해...
  • 언해(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해 언해 諺解 철학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세조(世祖) 성낙수 박종국 2014 신미(信眉) 간경도감 1467년(세조 13) 1책 서울...
  • 사법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결(慧覺尊者譯訣)’이라 되어 있으므로 구결과 번역이 혜각존자 신미(信眉)에 의한 것이다. 모두 10장 정도의 책으로, 단행본으로 간행되지 않고 『()』 또는 『몽산법어언해(蒙山法語諺解)』에 합철되어 있다. 이 책 자체에는 간기가 없으나, 한...

고서·고문서(1)

신문·잡지(39)

  • ()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1 형태서지 修心訣 知訥 著 高麗 韓國 木版本 1447年(世宗 29) 跋 1冊 35.2x12.8...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2 형태서지 修心訣 知訥 著 高麗 韓國 木版本 1799年(正祖 23) 1冊 T48, p.1005...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3 형태서지 修心訣 高麗國普照禪師修心訣 知訥 著 高麗 韓國 木版本(後刷本) 順天 松廣寺 17...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3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4 형태서지 知訥 著 高麗 韓國 木版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1447年(世宗 29) 44...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4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5 형태서지 知訥 高麗 韓國 木版本 順天 松廣寺 1799年(正祖 23) 東裝 1冊 23....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5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불교]

    불교 문헌. 1467년 간경도감에서 국역으로 간행된 고려의 고승 지눌의 저술이다. 보물 제770호이다. 혜각존자 신미가 국역하였다. 이 책은 선이론서로서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다. 은 선수행의 필독서로서 간경도감의 성격 및 초기의 훈민정음 연구에 귀

  • 언해 / 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 중기의 승려 지눌(知訥)의 저술인 『수심결(修心訣)』을 신미(信眉)가 언해한 책. 『수심결』은 지눌이 세속화된 불교이념의 말폐적(末弊的) 현상에 대해서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대립적인 입장을 지양하고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밝히고자 엮은 책이다. 동궁의 편당(

  • 사법어언해 / 四法語諺解 [언어/언어/문자]

    역이 혜각존자 신미(信眉)에 의한 것이다. 모두 10장 정도의 책으로, 단행본으로 간행되지 않고 『()』 또는 『몽산법어언해(蒙山法語諺解)』에 합철되어 있다. 이 책 자체에는 간기가 없으나, 한글의 용법이 합철된 『』에 일치하므로 그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