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민심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4)
사전(219)
-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열을 기울였다. 이는 해배 전년에 ≪경세유표 經世遺表≫, 해배되던 해에 ≪목민심서≫, 해배 다음해에 ≪흠흠신서 欽欽新書≫를 계속 펴낸 것만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해배 후에는 저작 활동이 부진해 ≪경세유표≫는 결국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그러나 그...
- 목민심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정의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ongmin simseo | MR표기Mongmin sim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아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도사(都事). 『목민심서』권3 「봉공육조(奉公六條)」[문보(文報))에 “아영은 도사를 말한다(亞營者 都事也)”라고 함. 寄浿亞營, 이재의(李載毅), 44-11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관청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를 맡았다. 회계의 근거를 남겨야 하므로 모든 식용품의 조달 및 지출을 매일 기록하는 등 업무가 매우 복잡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은 『목민심서』에서 지방행정개혁의 일환으로 보다 간편하고 합리적인 관청색의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칭별칭주리(廚吏)
- 동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도피자의 부담을 인근의 주민에게 공동분담시켰는데 이를 동징이라 한다. 이에 농촌을 떠나는 농민은 더욱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농촌은 점점 더 황폐해졌다. 『목민심서(牧民心書)』...
단행본(3)
- 정본 여유당전서 27-목민심서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赴任六條 2.律己六條 3.奉公六條 4.愛民六條 5.吏典六條 6.戶典六條
- 정본 여유당전서 28-목민심서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禮典六條 2.兵典六條 3.刑典六條
- 정본 여유당전서 29-목민심서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工典六條 2.賑荒六條 3.解官六條
고서·고문서(672)
-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번역한 것이다.자료구분한문고전 | 저자細井肇 譯[自由討求社 편] | 출처通俗朝鮮文庫 1집 | 발행년도1921
- 목민심서(牧民心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민심서(牧民心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민심서(牧民心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민심서(牧民心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기초학문(5)
-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경, 게재일 : 201041828 김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10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경, 게재일 : 201241829 김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12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8세기 목민서의 발전양상과 목민심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9132 한국연구재단 다산학술문화재단 2016 18세기 목민서의 발전양상과 목민심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동양고전에서 이해한 배려의 리더십-『도덕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수동, 게재일 : 2007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4585&local_id=10009344 동양고전에서 이해한 배려의 리더십- 『도덕경』, 『논어』,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동양고전에서 이해한 배려리더십 -논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수동, 게재일 : 2011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4585&local_id=10009705 동양고전에서 이해한 배려의 리더십- 『도덕경』, 『논어』,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65)
- 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廣文社게재일1902년 5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廣文社게재일1902년 5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廣文社게재일1902년 5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廣文社게재일1902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 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牧民心書 一帙定價 二元五十戔 下漢洞 廣文社게재일1902년 6월 5일 | 기사분류광고
연구과제(2)
-
무예도보통지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노영구 | 국방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반계수록』「전제」「전제후록」 영역 사업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배우성 | 서울시립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목민심서 / 牧民心書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목민심서> 48권 가운데 권7에서 권9에 해당하는 낙질본이다. <목민심서>의 권7부터 권9까지의 부분이다. 권7에는 봉공육조의 선화, 수법, 예제, 권8에는 봉공육조의 문보, 공납, 왕역, 권9에는 애민
-
정약용 / 丁若鏞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1762∼1836). 정조 연간에 문신으로 활동,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생활을 했다. 이 유배 기간 동안 《경세유표》·《목민심서》·《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이후 자신의 회갑을 맞아 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