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4)
사전(195)
- 목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한다. 학명은 Magnolia kobus A.P. DC. 이다. 높이 20m, 지름 1m이...
- 목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木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127 木蓮 식물 中夏, 淸香, 擁鼻, 白蓮 天磨山, 大興洞 梅月堂 勝覽, 本集 D_05_01_20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목련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이라고 하여 나복은 그날 정성껏 공양을 올렸다. 마침내 어머니는 도리천궁에 태어나서 온갖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은 나복목련의 지극한 효성을 실은 경전으로, 효를 강조하는 조선시대 불교의 특징인 지극한 효성을 반영시킨다는 점에서 널리 읽히고 수용...이칭별칭대목건련경
- 목련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작가‧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목판본. ‘불설목련경(佛說目連經)’이라 통용된다. 국문본과 한문본이 공존하며 목판본‧필사본이 함께 전한다. 국문본에는 목판본으로 ≪월인석보≫ 23권(무량사판, 1559)에 수록된 것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목련경≫ (191...
고서·고문서(91)
- 목련꽃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련꽃 이 여자 베이징시(北京市) 해정구(海淀区) 도좌답 1호 6 4 목련꽃, 활짝, 피었습니다, 희망, 안겨주어, 봄,...대표표제어목련꽃 | 성씨이
- 조선시대 역학서:1690_역어유해(下)_香氣花 진.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역어유해 106 1690_역어유해(下) 香氣花 진. 1690역어유해(하)_40a.jpg 香氣花 진. 鷄冠花 만도라미. 蘡粟花 양구빗곳. 金鳳花 봉션화. 鳳仙花 봉션화. 捲丹花 개너리곳. 水葒花 료화. 水蓼 료화. 冬花 동. 木槿花 무궁화. 木蓮花 木蓮花. 映...편명1690_역어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문제풀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참고, 9인, 융기, 오스트리아, 백목련, 목련꽃, 메주, 황제의이름, 당나라역사, 석자, 두자, 모르는문제, 참고재료, 지식,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이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菊花 국화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菊花 국화 1778방언유석_해부방언022b.jpg 菊花 국화 四季花 계 月季花 월계 芍藥 쟈약 紫薇花 미화 玉簪花 옥화 木槿花 무궁화 映山紅 영산홍 木蓮花 목년화 薔薇 쟝미 葵花 규화 金錢花 금젼화 石榴花 셕류곳 杜鵑花 진...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77_박통사언해(下)_프른 旋旋 圓頂이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박통사언해 376 1677_박통사언해(下) 프른 旋旋 圓頂이오 1677박통사언해下8b.jpg 프른 旋旋 圓頂이오 흰 淨淨 顔面이오 聰明과 智慧 사의게 디나고 唱念 聲音은 衆을 壓고 經律論을 다 通니 진실로 이 德行 잇 和尙이러라 目連尊者의 救母...편명1677_박통사언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1)
- 피난민이 부른 ‘비 내리는 고모령’이 슬펐던 이유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란 넝쿨가시장미가 있구, 뭐 저기 목련, 뭐 이런 것들이 저기 옥잠화, 이런 그 지금 돌이 있고, 이런 화단이 기억에 남는다고. [조사자 : 아깝네요.] 형체도 없더라구요, 그게 다. [조사자 : 그니까 그 자리터가 시가지 있는 그쪽에 있어요?] 예예, 네네. [조사조사지역충북 청주 | 조사일2013년 3월 14일
신문·잡지(51)
- 一寸木連之助(一寸木連之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一寸木連之助(一寸木連之助) 서울 一寸木連之助 一寸木連之助 壽町 8 기계기구 - 기계공구 도매 48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一寸木連之助(一寸木連之助)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기계공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木蓮花그늘에서(上)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86 1926 5 13 3 1 安民世 안재홍 木蓮花그늘에서(上) 四月二十一日 智異山雙鷄寺 신문 조선일보 1면5단석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晉州 花開, 雙鷄寺, 眞鑑國師 A19260513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木蓮花그늘에서(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87 1926 5 15 3 2 安民世 안재홍 木蓮花그늘에서(下) 四月二十一日 智異山雙鷄寺 신문 조선일보 1면5단석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晉州 花開, 雙鷄寺, 眞鑑國師 A19260515조선0...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木蓮花그늘에서(下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88 1926 5 16 3 3 安民世 안재홍 木蓮花그늘에서(下下) 四月二十一日 智異山雙鷄寺 신문 조선일보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晉州 花開, 雙鷄寺, 眞鑑國師 A19260516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장백산_1993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복수천사 정환 60 멀리서 불렀건만 한여 100 목련화 송이송이-목련 12곡 박화 117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3
기타자료(16)
- (시) 목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 목련 (시) 목련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이순재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순재 | 사료철명교육경남
- (시조) 자목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조) 자목련 (시조) 자목련 (詩調) 紫木蓮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소파 | 사료철명교육전남
- (동시) 목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동시) 목련 (동시) 목련 (童詩) 목련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지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위영남 | 사료철명교육전남
- 고목련우;高木鍊祐;박연우;朴鍊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2232 일본 京都 京都帝國大學 京都帝國大學朝鮮學生同窓會 제6호 1941―12―30 238면 고목련우;高木鍊祐;박연우;朴鍊祐 間島省 龍井街 北新區 大通路 第八牌 학부학생졸업생 1941년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왜가 신라에 난파길사목련자(難波吉士木蓮子)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왜가 신라에 난파길사목련자(難波吉士木蓮子)를 보내다 교류담당 584년(甲辰/신라 진평왕 6, 建福 1/고구려 평원왕 26/백제 위덕왕 31/陳 至德 2/倭대표표제어왜가 신라에 난파길사목련자(難波吉士木蓮子)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84년(甲辰/신라 진평왕 6, 建福 1/고구려 평원왕 26/백제 위덕왕 31/陳 至德 2/倭 敏達 13)
주제어사전(12)
-
목련 / 木蓮 [과학/식물]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한다. 학명은 Magnolia kobus A.P. DC. 이다. 높이 20m, 지름 1m이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고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
목련전 / 目連傳 [문학/고전산문]
대부터 『불설목련경』으로 불교계에 유통되면서 조상의 명복을 빌고 정진을 마친 스님들에게 공양하는 우란분재(盂蘭盆齋)때 강설(講說)하는 데 활용되었다.
-
경성백목련 / 鏡城白木蓮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경성군 하온포리에 있는 백목련. 경성군 하온포리 온천요양소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백목련으로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429호. 이 백목련은 목란과의 넓은잎키나무이며, 암수의 생식세포가 한 그루에 있는자웅동주(雌雄同株)의 활엽(闊葉)교목(喬木
-
삭주황목련군락 / 朔州黃木蓮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삭주군 온천노동자구에 있는 일본목련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96호. 황목련은 일본목련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일본목련 군락은 온천휴양소 주변의 해발높이 500m의 북쪽 비탈면에 퍼져있다. 주변에는 참나무·가래나무·자작나무·소나무들과
-
구포집 / 鷗浦集 [종교·철학/유학]
표(表)·명·찬(贊)·상량문·부(賦)·잠·송(頌)·주의(奏議) 등 26편이 수록되어 있다.시에는 낭만과 서정을 드러낸 것이 상당수 있다. 「상화(賞花)」는 봄의 낭만을 노래한 것으로, 남녀간의 사랑을 은연 중 나타내고 있다. 「상국(賞菊)」·「목련화(木蓮花)」 등 영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