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40)
사전(551)
- 목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무거운 물건이나 돌덩이를 밧줄로 얽어 어깨에 메고 옮기는 일, 또는 그 일에 쓰는 둥근 나무 몽둥이. [내용] 목도채는 굵고 납작하며 길이는 1m쯤 된다. 1690년에 간행된 『역어유해(譯語類解)』에서는 목도채[扁擔]를 ‘짐메 나모’로이칭별칭목도채
- 식목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都兵馬使)이고, 또 하나는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식목도감(式目都監)이었다. 식목도감은 중앙관제가 성립한 뒤인 성종(成宗) 말과 현종(顯宗) 초에 걸쳐 설치되어 적어도 1023년(현종 14)에는 그 기능을 나타내게 되었다. 구성은 그것이...
- 목도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구려시대의 대신. [내용] 123년(태조왕 71) 패자(沛者)에서 좌보(左輔)로 임명된 뒤 왕의 동생 수성(遂成 : 뒤의 차대왕)과 함께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수성이 왕위를 찬탈하고자 하는 뜻이 있음을 알고 132년 병을 ...
- 목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추위를 막거나 모양을 내기 위하여 목애 두르는 물건. [내용] 목도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신라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에 나타난 표(裱)이다. 당시의 표는 방한용이라기보다는 옷의 일부인 장식용으로서 당나라 복식의 영포(領布)와 같은 것이...
- 목도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무거운 물건이나 돌을 옮기면서 부르는 소리. [내용]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토속적인 일반 노동요의 하나이다. 큰 돌을 밧줄로 동여매고 어깨에 걸고서 두 사람에 의한 2목도, 네 사람에 의한 4목도, 혹은 여덟 사람에 의한 8목도가 발을
고서·고문서(1,749)
- 冒韜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50 喪禮外編 卷三 ITKC_MP_0597A_0950_010_0090 冒韜駁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喪禮外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달목도(達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299 B039299 달목도 達木島 도서 전라남도 世祖實錄 六年(1460) 六月 세조실록_10606012_005 ○兵曹據全羅道觀察使啓本啓: “靈巖郡達木島、露島、甫叱吉島、白羅島, 人物逃匿者多, 請刷出治罪。” 從之。출처전거世祖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달목도(達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300 B039300 달목도 達木島 도서 전라남도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06_004 ○靈嚴居前靑山縣監朴地蕃上疏, 略曰:○露島、達木島等兩島, 邈在大海之中, 以爲放馬之場。 當其點馬之時, 點馬別監與監牧官, 率軍人, 乘船而涉, 其水路, 自達梁...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달목도(達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301 B039301 달목도 達木島 도서 전라남도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06_004 ... 16]露島、達木島等兩島, 邈在大海之中, 以爲放馬之場。 當其點馬之時, 點馬別監與監牧官, 率軍人, 乘船而涉, 其水路, 自達梁去露島, 幾於四息, 其間...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비단 목도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420 창가 新式流行 二八靑春唱歌集 22068 京城 時潮社 發行 비단 목도리 〈#24〉 [ 一 ] 쌀쌀한 바람 부는 겨을날 밤에 맑은 달빗 나의 몸을 나리 빗춘다 닛지 못할 너의 자태(姿態) 내 눈에 어려 애타는 나의 슬픔 일층 새롭다 [ 二...구분창가
구술자료(127)
- 목도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요 28]을 부른 뒤에, 혹시 목도 노래는 모르시냐고 묻자, 안다고 했다. 한 번 불러 보라고 권했더니, 마침 대접해 드린 술기운도 좀 오르고 해서 흥을 내며 불러 주었다. 이 노래를 끝으로 조사를 마치게 되었는데, 진술득씨가 볼 일이 있어서 아까부터 자리를 ...조사일시1981-07-31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 제보자이상정
- 목도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미상
- 목도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노래에 이어서 지봉순 할머니가 "산에 올라갈 때 나무 비러{베러} 올라 갈 때, 나무가 무거운 께 몇이서 목도해가 가잖아, 목도 하는데."라 면서 목도소리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 03. 26 (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광품1리 324-1번지 노인 회관 | 제보자지봉순
- 목도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요50]에 이어서 원연사를 찾아갔다. 원연사에서 조사를 마치고 마을을 떠나려고 하는데, 이실숙 할머니가 조사자 일행을 데리러 왔다. 따라 갔더니, 방 안에는 할머니 15명이 모여 있었다. 어제 저녁에 만나 뵈었던 분이 다수 있어서 쉽게 친숙해 졌고, 조사도 순...조사일시1984-02-13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 제보자김예자
- 목도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윤만세가 [민요 12]를 구연할 때, 조사자들이 저녁을 먹도록 이야기를 얼른 마치라고 하던 제보자는 오히려 조사자들이 저녁을 먹는 동안에도 자리를 뜨지 않고, [민요 24]를 부르고 이어서 물래 잣는 이야기등 여러가지 시골 생활 이야기를 했다. 식사를 마친 조사자...조사일시1984-02-17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 제보자우두성
신문·잡지(374)
-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1 華嚴經科目圖 화엄경과목도 형태서지 華嚴經隱科 華嚴經科目 [著者未詳] [朝鮮]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1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2 華嚴經科目圖 화엄경과목도 형태서지 [最訥 著] [朝鮮] [韓國] 筆寫本 朝鮮後期 1冊 23.3x15.0 경남 통영 안...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2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3 華嚴經科目圖 화엄경과목도 형태서지 華嚴科 最訥 著 朝鮮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朝鮮後期]寫 線...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3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4 華嚴經科目圖 화엄경과목도 형태서지 華嚴科 韓國 筆寫本 金龍寺 大成庵 朝鮮時代 1冊 28.5x18.7 寫記: 戊子之冬嶺...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4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5 華嚴經科目圖 화엄경과목도 형태서지 華嚴科目 韓國 筆寫本 近代 1冊 26.8x20.3 부산시 범어사 성보박물관 無 ...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華嚴經科目圖) 5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39)
- 김목도;金木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518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6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2) 제2회(1934년) 김목도;金木道 함주군 주지면 항...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종석;沈宗錫;청목도명;靑木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365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20면 심종석;沈宗錫;청목도명;靑木道明 제4회 192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교류담당 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대표표제어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 太康 6/倭 應神 16)
-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와 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와 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교류담당 405년(乙巳/신라 실성이사금 4/고구려 광개토왕 14 永樂 15/백제 아...대표표제어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平群木菟宿禰)와 적호전숙녜(的戶田宿禰)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05년(乙巳/신라 실성이사금 4/고구려 광개토왕 14 永樂 15/백제 아신왕 14, 전지왕 1/東晉 義熙 1/倭 履中 6)
-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 등을 보내어 조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 등을 보내어 조를 내리다. 교류담당 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 太康 6/倭 應神 1...대표표제어왜가 가야에 평군목도숙녜 등을 보내어 조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 太康 6/倭 應神 16)
연구과제(6)
-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신체제' 시기 조선의 역사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혜진 | 세명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
식민지조선의 감옥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종민 | 연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Ⅲ) - 17세기 이전 연행록 230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2 | 국내 | 경기
-
조선의 '글로벌 기프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구도영 | 동북아역사재단 | 2023 | 국내 | 서울
-
승화와 잔혹의 토폴로지: K-Cinema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유희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 2024 | 국내 | 세종
주제어사전(30)
-
목도 / [경제·산업/산업]
무거운 물건이나 돌덩이를 밧줄로 얽어 어깨에 메고 옮기는 일, 또는 그 일에 쓰는 둥근 나무 몽둥이. 목도채는 굵고 납작하며 길이는 1m쯤 된다. 1690년에 간행된 『역어유해(譯語類解)』에서는 목도채[扁擔]를 ‘짐메 나모’로 새기고 1779년경에 나온 『한한청문감(
-
삼목도 / 三木島 [지리/자연지리]
쳐져 있었으며, 대규모의 염전이 있었다. 인천국제공항을 영종도에 건설하면서 섬의 일부를 깎아 간석지를 매립하면서, 영종도·용유도·삼목도는 서로 연결되었다. 북쪽에 신도로 가는 배의 선착장이 위치해 있다.
-
우목도 / 牛目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에 있던 섬. 동경 126°05′, 북위 34°43′에 위치하며,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2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7㎢, 해안선 길이는 12㎞이었다. 내우목도와 외우목도가 장고도(長古島)를 사이에 두고 남북 방향으로 놓여 있었는데,
-
고려식목형지안 / 高麗式目形止案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식목도감에서 합의·결정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 법안. 작성시기·체재·내용은 미상이다. 명칭을 볼 때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합의, 결정된 내용을 정리해 기록한 문서로 추측된다.최초로 명칭이 나타난 기록은 『문종실록』으로, 1450년(즉위년)
-
국자학 / 國子學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식. 인종 때 관학진흥책의 일환으로 식목도감에서 상정한 국자감 학식에 의하면, 국자감에는 유교 경전을 교육하는 국자학·대학·사문학과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서학·산학 등 여섯 개의 학식이 있었고, 이를 경사육학이라 하였다.